KR200256867Y1 -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 Google Patents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67Y1
KR200256867Y1 KR2020010028178U KR20010028178U KR200256867Y1 KR 200256867 Y1 KR200256867 Y1 KR 200256867Y1 KR 2020010028178 U KR2020010028178 U KR 2020010028178U KR 20010028178 U KR20010028178 U KR 20010028178U KR 200256867 Y1 KR200256867 Y1 KR 200256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se plate
bridge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28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67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 고핑의 상부와 이 상부에 거치되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받침슈의 상,하부를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상,하 및 종,횡방향으로 신축 이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부구조의 거치상태가 변화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낙교와 같은 대형참사가 빚어지는 문제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슈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각 고핑의 상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베이스판과; 하부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고정공 상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격자형태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 내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되, 일정 두께를 취하고 있는 탄성고무받침과; 하부에는 상기 탄성고무받침의 상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또다른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판과;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또다른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판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BOTH DIRECTION ELASTIC BOARD SHOES PREVENTING A FALL OF BRIDGE'S SLAB}
본 고안은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 고핑의 상부와 이 상부에 거치되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받침슈의 상,하부를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상,하 및 종,횡방향으로 신축 이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부구조의 거치상태가 변화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낙교와 같은 대형참사가 빚어지는 문제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 또는 강이나 바다와 같은 해상에 시공되는 교량은 구조공학 또는 측량공학 분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상,하부구조로 나누어 설명되어 진다.
여기서, 상부구조라 함은 차량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교량상판과 바닥틀 및 주형 그리고 강재박스 거더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라 함은 상기 상부구조를 거치하여 이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받침슈와 교대, 교각 및 기초(말뚝 기초,우물통 기초등)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 교량은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자체 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가 하부구조에서 이탈되어 낙교되는 문제현상이 자주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현상을 발생시키는 구조적인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교량 상,하부구조와 직접적으로 연결을 취해 지탱을 이루는 받침슈가 외부적인 충격요인에 의해 변동을 취하게 되는 교량 상부구조의 위치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받침슈는 교량 상,하부구조를 일정 간격을 취하도록한 상태로 연결 고정만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교량 상부구조가 어떠한 외부적인 충격 요인에 의해 소정의 변동을 이룰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하지 못하고 파손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각 고핑의 상부와 이 상부에 거치되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받침슈의 상,하부를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상,하 및 종,횡방향으로 신축 이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부구조의 거치상태가 변화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낙교와 같은 대형참사가 빚어지는 문제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교각 고핑의 상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베이스판과; 하부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고정공 상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격자형태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 내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되, 일정 두께를 취하고 있는 탄성고무받침과; 하부에는 상기 탄성고무받침의 상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또다른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판과;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또다른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판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교각 2 : 교각 고핑
4 : 교량 상판 6 : 강재박스 거더
10a,10b ; 고정공 12 ; 하부 베이스판
14a,14b ; 고정돌기 16a,16b ; 이탈방지돌기
18 ; 하부 받침부 20 ; 탄성고무받침
22 ; 상부 받침판 24 ; 상부 베이스판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고핑(2)의 상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10a)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베이스판(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베이스판(12)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판(12)의 고정공(10a) 상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고정돌기(14a)가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격자형태의 이탈방지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받침판(18)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받침판(18)의 상부에는 이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16a) 내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되, 일정 두께를 취하고 있는 탄성고무받침(20)이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고무받침(20)의 상부에는 이 탄성고무받침(20)의 상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16b)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또다른 고정돌기(14b)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받침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받침판(22)의 상부에는 강재박스 거더(6)의 하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또다른 고정공(10b)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판(24)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탄성받침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는 평상시 교각 고핑(2)과 강재박스 거더(6)의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호간을 일정유격을 유지토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나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하부구조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강재박스 거더(6)와 교각 고핑(2)상에 앵커 고정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판(24)과 하부 베이스판(12)은 각자 연결되어 있는 교량 상,하부 구조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각자의 이동을 취하게 되는 상부 베이스판(24)과 하부 베이스판(12)은 이동과 동시에 고정돌기(14a),(14b)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는 상,하부 받침판(22),(18)을 각자의 이동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상,하부 받침판(22),(18)의 이탈방지돌기(16b),(16a) 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탄성고무받침(20)은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되는 변형을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부구조의 거치상태가 변화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낙교와 같은 대형참사가 빚어지는 문제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각 고핑의 상부와 이 상부에 거치되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받침슈의 상,하부를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상,하 및 종,횡방향으로 신축 이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 상부구조의 거치상태가 변화할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낙교와 같은 대형참사가 빚어지는 문제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량 상,하부구조와 연결 고정을 취해 상호간의 연결 지탱을 이루는 받침슈에 있어서,
    교각 고핑(2)의 상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10a)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베이스판(12)과;
    하부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판(12)의 고정공(10) 상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고정돌기(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격자형태의 이탈방지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받침판(18)과;
    상기 하부 받침판(18)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16a) 내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되, 일정 두께를 취하고 있는 탄성고무받침(20)과;
    하부에는 상기 탄성고무받침(20)의 상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16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또다른 고정돌기(14b)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판(22)과;
    강재박스 거더(6)의 하부에 앵커를 통한 고정을 취하고 있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또다른 고정공(10b)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판(24)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슈.
KR2020010028178U 2001-09-13 2001-09-13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KR200256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78U KR200256867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78U KR200256867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67Y1 true KR20025686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178U KR200256867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11B1 (ko) 2007-03-20 2008-01-21 강홍석 교량의 진동 흡수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11B1 (ko) 2007-03-20 2008-01-21 강홍석 교량의 진동 흡수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33757A (ja) 免震装置、滑り支承また免震構造
KR101198270B1 (ko) 지진 격리 장치
CN111962659A (zh) 一种预制装配式自复位框架整体结构
KR200256867Y1 (ko)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KR100365698B1 (ko) 판스프링형 이동제한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CN111236057A (zh) 一种高架桥面板的抗震支座与桥面板的连接装置
KR20090112512A (ko) 쐐기형 전단키
KR100303287B1 (ko)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US20030205004A1 (en) Roof seismic motion-absorbing gap cover
KR200420377Y1 (ko) 교량의 수평 받침 장치
KR200338431Y1 (ko) 교량의 충격하중 분산 교좌장치
WO2001042593A2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JP2004232259A (ja) すべり支承装置
JP3837686B2 (ja) 水平二次元免震床への渡り床構造
KR200272144Y1 (ko) 반원통형 교좌장치
KR200386976Y1 (ko) 교량의 부반력 저항 탄성받침
KR200252608Y1 (ko) 교량 상판 이탈방지용 양방향 탄성받침의 지지구조
KR200256866Y1 (ko) 교량 상판의 이음새 슬립형 이탈방지 핑거죠인트
KR200252609Y1 (ko) 이탈방지틀이 보강된 교량 상판의 고무탄성받침 지지구조
KR102250263B1 (ko) 연속화 공법을 위한 교좌장치의 임시 서포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거더의 연속화 공법
JP2004360797A (ja) 免震構造体
CN213596798U (zh) 一种公路桥梁伸缩缝结构
KR200256861Y1 (ko) 교량 상판 횡방향 가동단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KR100381835B1 (ko) 교좌장치의 이동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설치법
KR200256838Y1 (ko) 교량상판 낙교 방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