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70Y1 - 차량용 범퍼보호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70Y1
KR200267770Y1 KR2020010034678U KR20010034678U KR200267770Y1 KR 200267770 Y1 KR200267770 Y1 KR 200267770Y1 KR 2020010034678 U KR2020010034678 U KR 2020010034678U KR 20010034678 U KR20010034678 U KR 20010034678U KR 200267770 Y1 KR200267770 Y1 KR 200267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light
attached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진
Original Assignee
최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진 filed Critical 최용진
Priority to KR2020010034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70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범퍼 모서리에 부착시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빛이 전달되면 일정시간동안 환하게 밝혀주어 상대방에서 차량을 쉽게 확인할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차량(10)의 범퍼(20) 각 모서리측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범퍼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할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30)의 전면측에 주변으로 부터 밝혀지는 불빛에 의해 자체적으로 불빛을 발광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발광체(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주므로서, 야간에 차량의 운행도중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범퍼에 부착된 보호대의 발광체로 부터 발광되는 불빛으로 인해 차량 또는 폭을 쉽게 확인할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수 있는 것이고, 또한 좁은 지역에서 차량을 운행및 주차 또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운행시켜 줄때 발광체로 부터 발광되는 불빛으로 범퍼 모서리와 다른 차량및 벽면과의 간격을 식별할수 있어 접촉사고가 없이 차량을 주차및 운행시켜 줄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보호대{a bumper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범퍼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범퍼 모서리에 부착시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빛이 전달되면 일정시간동안 환하게 밝혀주어 상대방에서 차량을 쉽게 확인할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범퍼는 차량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범퍼내에 갖추어진 완충부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이 손상됨을 최대한으로 예방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의 범퍼는 차체의 전,후방측 하단부분에 장착되어 있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범퍼의 각 모서리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없어 좁은 골목길이나, 주차되어 있는 차량 사이를 빠져나갈때 범퍼의 모서리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없어 차량을 운행도중 범퍼의 모서리 부분이 다른 차량이나 벽면등에 부딪혀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므로서, 상기 범퍼의 각 모서리 부분에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고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될수 있는 완충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보호대를 부착시켜 주어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 보호대는 범퍼의 모서리측에 부착될수 있도록 후면에 양면테이프가 접착된 상태에서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완충고무를 재질로 하는 단순한 보호대 기능만을 수행할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범퍼 모서리에 부착되는 보호대에 빛이 전달되면 일정시간동안 빛을 발할수 있는 발광체를 갖추어 주므로서, 발광체로 부터 발광되는 빛에 의해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먼 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어두운 장소에서 차량을 주차시켜 주고자 할때 보호대로 부터 밝혀지는 빛에 의해 범퍼 모서리 부분과 다른 차량및 벽면과의 거리를 쉽게 측정할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파손을 예방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차량의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인 범퍼보호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범퍼 30:보호대
31:완충고무 32:양면테이프
33:요입홈 40:발광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보호대의 사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보호대의 측단면도로서, 각종의 차량(10) 전,후방측에 장착된 범퍼(20) 각 모서리측에 보호대(30)가 부착된다.
상기의 보호대(30)는 완충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하여 범퍼의 모서리측에 부착될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완충고무(31)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고무의 후면에 범퍼에 접착될수 있도록 하는 양면테이프(32)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완충고무의 전면에 주변에서 발산되는 빛을 흡수하여 자체적으로 빛을 밝혀줄수 있도록 하는 발광체(40)를 갖추어주게 되는데, 상기의 발광체(40)는 완충고무(31)의 전면측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33)을 형성시켜 끼움 고정될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발광체(40)는 완충고무(31)의 전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시켜 줄수도 있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광체(40)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켜 줄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완충고무(31)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면테이프(32)를 이용하여 범퍼(20)의 각 모서리측에 완충고무가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도중 범퍼(20)의 모서리 부분이 다른 차량이나 벽면등에 부딪힐 경우 범퍼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대(30)인 완충고무(31)가 접촉되므로서, 범퍼와 다른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또한, 야간에 차량을 운행할 경우 발광체(40)로 부터 밝혀지는 불빛에 의해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위치와 폭을 정확히 확인시켜 줄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수 있게되는 것이고, 또한 어둡고 좁은 장소에서 차량을 주차 또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운행시켜 주고자 할때 자신의 차량과 다른 차량 사이의 간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수 있어 접촉됨이 없는 상태에서 차량을 주차및 운행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좁은 지역에서 차량을 운행시켜 주거나, 좁은 공간내에서 차량을 주차및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운행시켜 주고자 할때 차량을 운행시켜 주는 운전자는 자신이 운행시켜 주는 차량의 범퍼(20)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없어 범퍼의 모서리 부분이 다른 차량 또는 벽면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지 알수 없게되는데, 이때 범퍼(20)의 모서리에 부착된 완충고무(31)의 발광체(40)로 부터 발산되는 불빛을 이용하여 범퍼의 모서리 부분과 다른 차량과의 간격을 파악할수 있어 접촉사고를 사전에 예방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및 주차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전,후방에 장착된 범퍼의 각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보호대에 주변이 어두어지면 불빛을 밝혀줄 수 있는 발광체를 갖추어 주므로서, 야간에 차량을 운행시켜 줄 경우 발광체로 부터 불빛을 발광시켜 주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자신의 차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수 있으므로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또한, 어두운 장소나 좁은 길 또는 좁은 간격을 갖고 있는 주차장내에서 차량을 주차및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운행시켜 주고자 할 경우 범퍼의 모서리측에 부착된 보호대의 발광체로 부터 발산되는 불빛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자신이 운행하는 차량의 범퍼 모서리와 다른 차량과의 간격 또는 벽면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어 접촉사고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준 상태에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및 주차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10)의 범퍼(20) 각 모서리측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범퍼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할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30)의 전면측에 주변 이 어두워지면 불빛을 발광시켜 주변을 환하게 밝혀 줄수 있도록 하는 발광체(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40)는 보호대(30)의 전면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요입된 요입홈(33)내에 끼워고정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보호대.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발광체(40)가 보호대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보호대.
KR2020010034678U 2001-11-12 2001-11-12 차량용 범퍼보호대 KR200267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78U KR200267770Y1 (ko) 2001-11-12 2001-11-12 차량용 범퍼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78U KR200267770Y1 (ko) 2001-11-12 2001-11-12 차량용 범퍼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70Y1 true KR200267770Y1 (ko) 2002-03-13

Family

ID=7307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78U KR200267770Y1 (ko) 2001-11-12 2001-11-12 차량용 범퍼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3290T3 (es) Dispositivo de faro vehiculos.
US6466128B1 (en) Vehicle door step equipped with warning indicator devices
KR200267770Y1 (ko) 차량용 범퍼보호대
KR100411143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US20040090767A1 (en) Decorative electro-luminescent strip for automobiles
KR20160000893U (ko) 자동차용 인테리어 램프수단의 리플렉터
KR200273268Y1 (ko) 자동차용 장식몰딩
JP2547656Y2 (ja) 車輌用標識灯
KR101476885B1 (ko) 도로 경고 시스템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100791507B1 (ko) 리어스포일러 장치
JP4516895B2 (ja) 車両用発光装置
KR200275872Y1 (ko) 센터 범퍼가드
KR200251493Y1 (ko) 범퍼가드
KR100791508B1 (ko) 차량용 후사경
KR200223059Y1 (ko) 백라이트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거울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KR200386946Y1 (ko) 자동차의 에어빽 범퍼가드
KR200163634Y1 (ko) 안전 표시용 테이프
KR100449291B1 (ko) 자동차의 야간 후방시야 확보구조
KR200335017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324367B1 (ko) 자동차용 윙미러의 시그날램프 표시장치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JPH0661586U (ja) ドアミラ−
KR200267621Y1 (ko) 범퍼 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