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41Y1 -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41Y1
KR200267641Y1 KR2020010037932U KR20010037932U KR200267641Y1 KR 200267641 Y1 KR200267641 Y1 KR 200267641Y1 KR 2020010037932 U KR2020010037932 U KR 2020010037932U KR 20010037932 U KR20010037932 U KR 20010037932U KR 200267641 Y1 KR200267641 Y1 KR 200267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late
roof
fixed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트랜드
Priority to KR2020010037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4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서까래에서 지지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대하여 다수의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지붕판들을 고정시키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에 있어서, 인접한 지붕판(9,10)들의 대향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2)을 양측에 갖고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3), 상기 지지부재(3)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4)를 통해 지붕판의 대향 단부들을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지붕판 결합구(5), 및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지붕판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장볼트(6)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의 지지편(2)과 연결되는 연결구(7)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대하여 지붕판들을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맞물림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지붕판의 신축 작용에도 결합부위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모서리부분(9'.10')들에 의해 빗물이 내측으로 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지붕판들과 지지부재(3)들의 부식과 같은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지붕판의 보수유지 작업에 대한 부담 또한 크게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APPARATUS FOR MOUNTING ROOF PANELS FOR A PREFABRICATED HOUSE}
본 고안은 창고나 공장과 같은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조립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지붕판과 천정판을 서로에 대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이 짧아 대형 창고나 공장등의 건축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바닥면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의 상단에 지붕용 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먼저 지붕판을 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체결시켜 고정하고 이어서 천정판을 역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붕판에 고정시켜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별개로 제작된 지붕판과 천정판을 조립하는 시공방법에서 볼트의 헤드나 너트와 지붕판 또는 천정판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어 누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시일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장기간이 지나면서 기온의 변화에 따라 금속 판넬의 팽창, 수축이 반복됨에 따라 지붕판 또는 천정판과 볼트 사이에 틈새가 커져서 판넬의 유동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고, 결국은 보수적인 시일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보수 유지 비용이 부담되었으며, 이러한 볼트에 의한 조립 작업은 작업자가 지붕에 올라가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사고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볼트 작업에 의한 종래의 조립식 지붕판의 구조 및 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부위가 지붕판과 천정판에서 노출되지 않게 요입되게 형성하고, 지붕판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타이트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하도록 하는 고정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붕판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붕판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붕판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붕판 고정구 2 : 지지편
3 : 지지부재 4 : 연결부재
5 : 결합구 6 : 장볼트
7 : 연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는 건축물 서까래에서 지지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대하여 다수의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지붕판들을 고정시키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로서, 인접한 지붕판들의 대향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을 양측에 갖고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지붕판의 대향 단부들을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지붕판 결합구, 및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지붕판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장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편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붕판 결합구는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상부는 두 개의 인접한 지붕판의 대응하여 절곡된 단부들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절곡된 하부는 연결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지붕판 결합구와 유사하게 '??'자를 90°회전시킨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부는 지붕판 결합구의 절곡된 하부와 맞물려 지붕판 결합구를 고정하고, 타측부는 지지부재의 요입된 중앙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붕판 고정구(1)는 두 개의 인접한 지붕판들의 대향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2)을 양측에 갖고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3), 상기 지지부재(3)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4)를 통해 지붕판의 대향 단부들과 결합되는 지붕판 결합구(5), 및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20)에 대하여 지붕판을 지지하도록 장볼트(6)에 의해 상기 지지편(2)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7)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편(2)은 지붕판 단부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각 지지편의 단부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20)에 연결하기 위한 장볼트(6)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8)를 배치하되 지붕판 설치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입홈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즉 양측의 지지편이 서로 연결되는 상측부에는 지붕판 결합구(5)를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요입되어 있다.
상기, 지붕판 결합구(5)는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상부에서 두 개의 인접한 지붕판의 절곡된 단부들이 맞물리게 되는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일측의 지붕판(9)의 단부는 지붕판 결합구(5)의 상면과 동일하게 절곡되어 모서리부분(9')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비가 오더라도 내측면을 타고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인접한 다른 지붕판(10)의 단부는 지붕판 결합구(5)의 절곡된 상부에서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모서리부분(10') 또한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지붕판 결합구(5)의 상부와 인접한 지붕판(9,10)들의 모서리부분(9',10')들이 서로 견고하게 맞물림과 함께 빗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붕판 결합구(5)는 인접한 지붕판들의 단부들을 따라 연장되어 양측 단부들을 함께 절곡 결합시킴으로써 통상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지붕판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크류의 부식에 따른 문제 및 그 구멍으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을 비롯하여 후속적인 보수유지 작업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지붕판 결합구(5)는 연결부재(4)에 의해 지지부재(3)에 연결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부재(4)는 지붕판 결합구(5)와 유사하게 '??'자를 90°회전시킨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서 일측부는 지붕판 결합구(5)의 절곡된 하부와 맞물려 지붕판 결합구를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부의 요입된 부분은 (도면에서 오른쪽 부분) 지지부재(3) 중앙 상부의 요입된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접한 지붕판들의 대향측 단부들과 결합되는 지붕판 결합구(5)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 및 전후로 이동하지 않고 제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의 지붕판 결합구(5)와 연결부재(4)들은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붕판의 인접한 단부들을 전체적으로 결합 고정시키며, 지지부재(3)는 연결부재의 저면측에 일정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하측의 타이트 프레임에 대하여 지붕판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서까래위에서 지지되는 타이트 프레임(20)에 대하여 다수의 판넬로 된 지붕판(9,10)들을 지지하도록 타이트 프레임(20)과 볼트 또는 스크류로 고정되는 연결(7)는 판상의 부재로서 양단부에서 볼트로 연결되며 지지부재(3)와 장볼트(6)에 의해 이격되어 연결되며, 하나의 연결구(7)에는 인접한 지붕판 지지용의 2개의 지지부재(3)들이 함께 연결될 수 있게 2개의 장볼트(6) 체결용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0)들은 연결구(7)에서 저면에서 볼 때 요입홈부(12)에 형성됨으로써 장볼트의 헤드가 연결구 저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하여 타이트 프레임(20)과의 체결수단에 의한 연결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3)의 지지편(2)의 수평의 단부에도 요입홈(13)이 형성되어 장볼트(6)의 상단에 지지편 위에서 체결되는 너트(8)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지붕판 고정구(1)를 이용하여 지붕판 설치 작업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까래 위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공지의 타이트 프레임(20)에 연결구(7)를, 거기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해 장볼트(6)들을 끼운 상태에서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상기 각각의 장볼트(6) 상단에 지붕판용의 인접한 지지부재(3)들의 대향측 지지편(2)을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지지편(2)의 저면을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별도의 지지용 너트(8')를 장볼트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지지부재(3)들을 지붕판의 재료, 지붕판의 단위 크기등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4)를 복수개의 이격된 지지부재(3)의 중앙 상부의 요입된 부분에 안착시켜 스크류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부재(3)의 일측, 도 3에서 오른쪽의 절곡된 부분 밑에 형성된 틈새를 통하여 지붕판 결합구(5)의 절곡된 하부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설치하고, 결합구(5)의 절곡된 상부에는 두 개의 인접한 지붕판(9,10)들의 단부들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지붕판들의 모서리부분(9',10')들을 결합구(5)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지붕판(9,10)들의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지붕판(10,10')들과 타이트 프레임(20) 사이에는 통상의 단열재, 흡음재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은 본 고안의 고정구들을 타이트 프레임(20)에 고정한 다음 지붕판을 조립설치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에 대하여 지붕판들을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맞물림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지붕판의 신축 작용에도 결합부위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모서리부분(9'.10')들에 의해 빗물이 내측으로 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지붕판들과 지지부재(3)들의 부식과 같은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지붕판의 보수유지 작업에 대한 부담 또한 크게 감소된다.

Claims (4)

  1. 건축물 서까래에서 지지되는 타이트 프레임(20)에 대하여 다수의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지붕판들을 고정시키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에 있어서, 인접한 지붕판(9,10)들의 대향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2)을 양측에 갖고 지붕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3), 상기 지지부재(3)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4)를 통해 지붕판의 대향 단부들을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지붕판 결합구(5), 및 서까래에 고정되는 타이트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지붕판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장볼트(6)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의 지지편(2)과 연결되는 연결구(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결합구(5)는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상부는 두 개의 인접한 지붕판의 대응하여 절곡된 단부들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절곡된 하부는 연결부재(4)와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는 지붕판 결합구(5)와 유사하게 '??'자를 90°회전시킨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부는 지붕판 결합구(5)의 절곡된 하부와 맞물려 지붕판 결합구를 고정하고, 타측부는 지지부재(3)의 요입된 중앙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의 지지편(3)의 단부에는 장볼트 체결용 너트(8) 수용을 위한 요입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KR2020010037932U 2001-12-08 2001-12-08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KR200267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32U KR200267641Y1 (ko) 2001-12-08 2001-12-08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32U KR200267641Y1 (ko) 2001-12-08 2001-12-08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41Y1 true KR200267641Y1 (ko) 2002-03-09

Family

ID=7311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932U KR200267641Y1 (ko) 2001-12-08 2001-12-08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9774B2 (en) Waterproofing mounting system for attaching solar modules to a roof
KR101219555B1 (ko)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KR102083860B1 (ko) 조립식 지붕의 태양광 모듈 고정 장치
JP5101856B2 (ja) 外装構築用支持部材を用いた外装構造
KR200267641Y1 (ko) 조립식 건축물용 지붕판 고정구
JP5666325B2 (ja) 屋根用固定装置
JP2006144268A (ja) 機能パネルの取付構造
JP5430544B2 (ja) 補助垂木固定金具及び設備固定装置
JP5129967B2 (ja) 屋根構造
JP6741290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構造
JP7193368B2 (ja) 屋根パネル
JP5859098B1 (ja) 屋根上取付具
JPH0363620B2 (ko)
JP7065707B2 (ja) 斜材固定金具
JP2665430B2 (ja) 屋根パネルの接続構造
JPH10292592A (ja) バルコニーのフェンス装置
JP3128493B2 (ja) パネル支持構造
EP2767778A1 (en) System for assembling photovoltaic modules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or on the top of buildings
JP2003082823A (ja) 太陽熱集熱器の固定方法と固定構造
JP6415194B2 (ja) 隙間の屋根構造
JP2767723B2 (ja) 2重葺き屋根
AU2021424468A1 (en) Polycarbonate roof panel having reinforcement recess for coupling to sandwich panel
JPH0539126Y2 (ko)
JP3919336B2 (ja) 野地板及び外囲体
JPH03349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