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217Y1 -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217Y1
KR200267217Y1 KR2020010037941U KR20010037941U KR200267217Y1 KR 200267217 Y1 KR200267217 Y1 KR 200267217Y1 KR 2020010037941 U KR2020010037941 U KR 2020010037941U KR 20010037941 U KR20010037941 U KR 20010037941U KR 200267217 Y1 KR200267217 Y1 KR 200267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base plate
fix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종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7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217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캐비넷에 고정되며 상면 양측에서 위로 돌출된 고정편(17)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고정돌기(18)가 형성된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 위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홀(22)이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고정편(16)들 사이에 배치되게 폭이 감소된 요입부가 형성된 판부재(19)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저면에 힌지핀(13)이 하방으로 형성되고 냉장고 캐비넷의 앞쪽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선단부(21)로 이루어진 힌지판(14), 상기 베이스판(12)의 고정편(16)들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판(14)의 요입부 위에 배치되어 베이스판에 대하여 힌지판(14)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부 도어를 장착하기 위한 상부 힌지 조립체를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AN UPPER HINGER ASSEMBLY FOR AN UPPER DOOR OF REFRIGERATORS}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냉장고 캐비넷에 장착하기 위한 상부 힌지의 분해 조립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도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 캐비넷(1)에 상부 도어(2)와와 하부 도어(3)를 캐비넷에 고정된 하부 힌지(4)와 중간 힌지(5) 및 상부 힌지(6)들의 힌지 핀(7)에 상부와 하부 도어(2,3)들의 대응된 힌지구멍(8)들을 끼워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부 도어(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캐비넷에 고정된 중간 힌지(5)에 상부 도어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 구멍을 끼워 임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힌지(6)의 힌지핀(7)을 상부 도어(2)의 힌지 구멍(8)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상부 힌지(6)의 베이스판(9)을 캐비넷(1) 상면에 형성된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고정용 공구를 사용하여 베이스판(9)을 정확히 고정시켜야 한다.
이와같이 상부 힌지(6)를 냉장고의 상부 도어(2)의 힌지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냉장고 캐비넷(1)에 상부 힌지의 베이스판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함으로써 상부 도어의 조립 오차가 발생하기 쉬어 도어의 정확한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냉장고의 도어, 특히 상부 도어의 조립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힌지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캐비넷의 상면에 조립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상부 힌지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상부 힌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힌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 힌지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힌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부 힌지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 조립체 12 : 베이스판
13 : 힌지핀 14 : 힌지판
15 : 고정수단 16 : 고정편
19 : 고정돌기 20 : 홀
23 : 지지판 25 : 쐐기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는 냉장고 캐비넷에 고정되며 상면 양측에서 위로 돌출된 고정편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고정편들 사이에 배치되게 폭이 감소된 요입부가 형성된 판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저면에 힌지핀이 하방으로 형성되고 냉장고 캐비넷의 앞쪽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진 힌지판, 상기 베이스판의 고정편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판의 요입부 위에 배치되어 베이스판에 대하여 힌지판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로트가 각각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힌지판 위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측 돌출부의 슬로트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선단에 양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힌지판에 대하여 쐐기작용을 하도록 선단 저면에 돌기들이 형성된 쐐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힌지판을 베이스판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힌지판의 선단부로 절곡된 경사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맞물리는 선단부를 갖는 제 1 판부분과 그로부터 절곡되어 베이스판의 돌출된 고정편 상단의 턱에 맞물리는 제 2 판부분으로 이루어진 탄성판부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10)는 냉장고 캐비넷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2)과, 그 베이스판 위에 배치되며 선단부에 힌지핀(13)이 형성된 힌지판(14), 그리고 상기 힌지판을 베이스판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힌지판 위에 배치되는 고정수단(1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에는 돌출된 고정편(16)이 양측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며, 고정편의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지지부(17)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고정수단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12)은 냉장고 캐비넷의 상면에서 정확한 위치에 용접과 같은 접합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판(14)은 베이스판(12) 위에, 양측의 고정편(16) 사이를 통해 배치되도록 고정편에 대응하여 양측부가 요입된 평면 형상의 판부재(19)와 그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20) 및 상기 경사면에서 다시 평면으로 절곡되고 저면에서 하방으로 힌지핀(13)이 돌출 형성된 선단부(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부(19)에는 베이스판(12)의 고정돌기(18)가 삽입될 수 있게 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21)는 힌지판이 베이스판에 고정될 때 캐비넷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판(14)은 요입된 평면부(19)를 베이스판(12)의 고정편(16)들 사이를 통하여 고정돌기(18)가 힌지판의 홀(22)에 삽입되게 배치하며,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고정수단(15)에 의해 힌지판(14)이 베이스판(12)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5)은 도 2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힌지판 위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23)과, 힌지판(14)에 대하여 쐐기작용을 하도록 선단 저면에 돌기(24)들이 형성된 쐐기판(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의 양측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로트(26)가 각각 형성된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판(25)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출한 돌출부(28)를 갖고, 그 돌출부(28)들은 지지판의 슬로트(26)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조립체 구조에서, 냉장고 캐비넷에 고정된 베이스판(12) 위에 힌지판(14)을 그 홀(22)에 베이스판의 돌기(18)가 삽입되게 배치한 다음, 지지판(23)을 힌지판(14) 위에서 베이스판(12)의 고정편(16)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7) 아래쪽에 배치하되 지지판(23)의 길이가 고정편(16)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어 지지판(23)의 슬로트(26)가 노출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판(25)을 힌지판의 선단부 쪽으로 밀어넣으면 쐐기판 저면의 돌기(24)에 의해 힌지판을 베이스판에 대하여 압박하게 되어 힌지판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5와 도 6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냉장고용 상부힌지 조립체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50)은 고정편(51)이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52)가 상면의 후방쪽에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도 두 개의 돌기(53)들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판(54)은 경사면(55)의 일부가 절개되어 저면으로 절곡되어 지지부(56)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돌기(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57)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판(50)의 고정편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7) 사이의 폭과 같에 양측가 만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판(54)을 베이스판(5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절곡된 탄성의 판부분(58,59)들로 이루어지며, 제 1 판부분(58)은 그 선단부가 힌지판의 경사면에서 절개되어 형성된 지지부(56)에서 맞물려 있고, 제 2 판부분(59)은 제 1 판부분(58)의 후측에서 절곡되어 베이스판(50)의 돌출된 고정편(51)의 상단에서 절곡된 지지부(57)의 저면에 맞물려서 베이스판에 대하여 힌지판(54)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라, 냉장고의 상부 도어 장착을 위하여 냉장고 캐비넷 상면에 제공되는 상부 힌지 조립체는 별도의 조립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정수단으로 힌지판을 베이스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 또는 분해 작업이 간편하여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3)

  1. 냉장고 캐비넷에 고정되며 상면 양측에서 위로 돌출된 고정편(17)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고정돌기(18)가 형성된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 위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홀(22)이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고정편(16)들 사이에 배치되게 폭이 감소된 요입부가 형성된 판부재(19)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저면에 힌지핀(13)이 하방으로 형성되고 냉장고 캐비넷의 앞쪽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선단부(21)로 이루어진 힌지판(14), 상기 베이스판(12)의 고정편(16)들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판(14)의 요입부 위에 배치되어 베이스판에 대하여 힌지판(14)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된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5)은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로트(26)가 각각 형성된 길이방향의 돌출부(27)를 갖고 힌지판(14) 위에 배치되는 지지판(23)과, 상기 지지판(23)의 양측 돌출부(27)의 슬로트(26)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선단에 양측으로 돌출한 돌출부(28)를 구비하고 힌지판(14)에 대하여 쐐기작용을 하도록 선단 저면에 돌기(24)들이 형성된 쐐기판(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5)은 절곡된 탄성의 판부분(58,59)들로 이루어지며, 제 1 판부분(58)은 그 선단부가 힌지판의 경사면에서 절개되어 형성된 지지부(56)에서 맞물려 있고, 제 2 판부분(59)은 제 1 판부분(58)의 후측에서 절곡되어 베이스판(50)의 돌출된 고정편(51)의 상단에서 절곡된 지지부(57)의 저면에 맞물려서 베이스판에 대하여 힌지판(54)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KR2020010037941U 2001-12-08 2001-12-08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KR200267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41U KR200267217Y1 (ko) 2001-12-08 2001-12-08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41U KR200267217Y1 (ko) 2001-12-08 2001-12-08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217Y1 true KR200267217Y1 (ko) 2002-03-09

Family

ID=7311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941U KR200267217Y1 (ko) 2001-12-08 2001-12-08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2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590B1 (ko) 전기 면도기
KR200267217Y1 (ko)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KR100766620B1 (ko) 가구용 힌지의 힌지 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
CZ13697A3 (en) Fixing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KR200267218Y1 (ko) 냉장고 상부 힌지 조립체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KR200270685Y1 (ko) 냉장고 도어 상부힌지 조립체
JP2020129594A (ja) ユニット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JP2003028113A (ja) 部材取付構造
JPH11339618A (ja) 電磁接触器の補助接点ユニット
JP3159611B2 (ja) 冷蔵庫等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JP3733877B2 (ja) 引手装置
CN110571577B (zh) 一种模块固定座
JPH10326982A (ja) 電子機器のディスクベイ
JP2000170440A (ja) スプリング性戸当たり材
JP3559342B2 (ja) 浴槽用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2644633B2 (ja) 板状部材の保持構造
JPH10125414A (ja) 可撓性プリント板用コネクタ
JP2007023480A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100443059B1 (ko) 산업용 컴퓨터본체 케이싱
JP4117698B2 (ja) 背板の取付構造
JP2894412B2 (ja) 開閉器
JP2023155608A (ja) 筐体
JP4083882B2 (ja) 端子板取付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