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45Y1 -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45Y1
KR200266245Y1 KR2019960017667U KR19960017667U KR200266245Y1 KR 200266245 Y1 KR200266245 Y1 KR 200266245Y1 KR 2019960017667 U KR2019960017667 U KR 2019960017667U KR 19960017667 U KR19960017667 U KR 19960017667U KR 200266245 Y1 KR200266245 Y1 KR 200266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 motor
motor
rpm
relay
prim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674U (ko
Inventor
강동진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2019960017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45Y1/ko
Publication of KR980005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45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타트 모터를 사용하는 원동기 차량(예를들어 자동차, 중장비 등)에서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키를 키박스의 스타트 모드에 장시간 위치시키거나, 키 박스의 내부 소손으로 스타트 모터에 배터리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스타트 모터에 무리가 가는 RPM이상이면,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타트 스위치(3), 스타트 릴레이(2) 및 스타트 모터가(1) 구비된 엔진시동부(10)와 원동기부(20)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스위치(3)와 스타트 릴레이(2) 사이에 안전 릴레이(4)가 설치되고, 이 안전 릴레이(4)의 제어단자에 콘트롤러(5)의 출력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5)의 양 입력단자에 RPM 센서(6)의 신호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RPM 센서(6)는 상기 원동기부(20)의 엔진 RPM을 감지하도록 접속구성된다. (제 2 도)

Description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
본 고안은 스타트 모터를 사용하는 원동기 차량(예를들어 자동차, 중장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키를 키박스의 스타트 모드에 장시간 위치시키거나, 키박스의 내부 소손으로 스타트 모터에 배터리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스타트 모터에 무리가 가는 RPM이상이면,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모터(1)가 스타트 릴레이(2)에 연결되고, 이 스타트 릴레이(2)는 키박스내부의 스타트 스위치(3)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스타트 스위치(3)를 온하면 스타트 릴레이(2)가 여자되고, 이에 의해 스타트 모터(1)로 배터리전원(B+)이 인가되어 원동기 차량의 초기시동이 스타트 모터(1)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상기 스타트 모터(1)를 시동시키기 위하여 미도시된 시동키를 키박스에 꽂고 스타트 스위치(3)를 장시간 온시키게 되면(즉, 시동키를 스타트 위치에 오래 잡고 있으면), 미도시된 엔진이 시동된 후에도 스타트 모터가 계속 회전됨으로써, 과도 회전에 의해 스타트 모터(1)의 내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도시된 키박스내의 스타트 스위치(3)에 고장이 발생하여 쇼트상태가 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타트 모터(1)에 배터리 전원(B+)이 계속 투입되어 스타트 모터가 계속 회전되고, 이에 의해 스타트 모터의 내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키를 키박스의 스타트 모드에 장시간 위치시키거나, 키 박스의 내부 소손으로 스타트 모터에 배터리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스타트 모터에 무리가 가는 RPM이상이면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스타트 스위치, 스타트 릴레이 및 스타트 모터가 구비된 엔진시동부와 이 엔진시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기부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스위치와 스타트 릴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할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온, 오프되도록 한 안전 릴레이와;
RPM 센서를 통한 RPM속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안전 릴레이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상기 원동기부의 RPM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시키기 위한 RPM 센서를 구비하는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가 부착된 스타트 모터의 내부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제 1 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같은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필수구성요소만을 설명한다.
제 2 도를 보면, 스타트 스위치(3), 스타트 릴레이(2) 및 스타트 모터가(1)구비된 엔진 시동부(10)와 원동기부(20)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스위치(3)와 스타트 릴레이(2) 사이에 안전 릴레이(4)가 설치되고, 이 안전 릴레이(4)의 제어단자에 콘트롤러(5)의 출력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5)의 양 입력단자에 RPM 센서(6)의 신호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RPM 센서(6)는 상기 원동기부(20)의 엔진 RPM을 감지하도록 접속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상기 스타트 모터(1)를 시동시키기 위하여 미도시된 시동키를 키박스에 꽂고 스타트 스위치(3)를 장시간 온시키게 되면(즉, 시동키를 스타트 위치에 오래 잡고 있으면), 미도시된 엔진이 시동된 후에도 스타트 모터(1)가 계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타트 모터(1)에 의해 시동된 원동기부(20)의 미도시된 엔진은 회전하게 되고, RPM 센서(6)는 상기 원동기부(20)의 엔진 RPM을 검출하게 된다.
검출된 엔진 RPM 신호는 콘트롤러(1)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미도시된 메모리에 기 입력된 스타트 모터의 파손설정 RPM 값과 비교하게 된다.
비교하여 스타트 모터의 파손설정 RPM 값보다 현재 입력되는 엔진 RPM값이 크다고 판단되면, 콘트롤러(5)의 출력단자를 통해 로직신호를 인가하여 안전 릴레이(4)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 릴레이(4)가 작동하여 스타트 스위치(3)를 통해 스타트 릴레이(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면 스타트 모터(1)가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3)가 손상되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타트 모터의 파손설정 RPM 값 이상이 되면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원동기부(20)가 시동된 후에 스타트 모터(1)의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는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키를 키박스의 스타트 모드에 장시간 위치시키거나, 키 박스의 내부 소손으로 스타트 모터에 배터리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스타트 모터에 무리가 가는 RPM이상이면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스타트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스타트 모터의 내부 회로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장치가 부착된 스타트 모터의 내부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스타트 모터
2 : 스타트 릴레이
3 : 스타트 스위치
4 : 안전 릴레이
5 : 콘트롤러
6 : RPM 센서
10 : 엔진 시동부
20 : 원동기부

Claims (1)

  1. 스타트 스위치와 스타트 릴레이 및 스타트 모터가 구비된 엔진시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기부의 RPM속도를 감지하여 그 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RPM 센서;
    상기 RPM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에 대응하는 값을 연산하고 출력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스타트 모터의 파손설정 RPM 값이 기 설정된 메로리를 포함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구비되는 콘트로러;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온, 오프되도록, 상기 스타트 스위치와 스타트 릴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타트 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2019960017667U 1996-06-26 1996-06-26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KR200266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667U KR200266245Y1 (ko) 1996-06-26 1996-06-26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667U KR200266245Y1 (ko) 1996-06-26 1996-06-26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674U KR980005674U (ko) 1998-03-30
KR200266245Y1 true KR200266245Y1 (ko) 2002-06-29

Family

ID=6092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667U KR200266245Y1 (ko) 1996-06-26 1996-06-26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809A (ko) * 2003-10-23 2005-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험용 시동장치를 위한 전원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67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2176A (ko) 차량용 도난 방지 장치(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KR200266245Y1 (ko)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KR100286526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방법
KR100350272B1 (ko) 시동시 오토 크랭킹 스톱 제어 방법
KR100278197B1 (ko) 차량용 시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50244Y1 (ko) 엔진 시동장치
KR20010001107U (ko) 자동변속 자동차의 급발진 제어장치
KR19980029875U (ko) 자동차의 스타팅모타 보호회로
KR19980047968U (ko) 차량용 재시동 방지장치
KR100217573B1 (ko) 도난 방지장치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KR19990011854A (ko) 자동차의 스타트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014839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교착상태시 동작전원 차단장치
KR100209333B1 (ko) 차량용 시동전원 차단장치
KR19990025353A (ko)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KR0129069Y1 (ko) 엔진 스톨방지 장치
KR19990009146A (ko) 차량의 엔진 시동방법
KR19980037687A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 구동장치
KR19980045883U (ko) 자동차의 시동 모터 보호 장치
KR19990026584U (ko) 시동 모터 보호 장치
KR19980069326A (ko) 차량용 기둥모우터의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38502A (ko) 자동차 엔진 작동중 시동전동기의 재작동 방지장치
KR19980056655A (ko) 자동차의 시동 제어장치
KR19990024384U (ko) 차량의 재시동차단장치
KR19990007128U (ko) 자동차의 엔진 재 시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