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53A -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53A
KR19990025353A KR1019970046934A KR19970046934A KR19990025353A KR 19990025353 A KR19990025353 A KR 19990025353A KR 1019970046934 A KR1019970046934 A KR 1019970046934A KR 19970046934 A KR19970046934 A KR 19970046934A KR 19990025353 A KR19990025353 A KR 1999002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tor
starting
starter mo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남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53A/ko
Publication of KR1999002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53A/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10)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동기(20)와, 이 기동전동기(20)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동스위치(30) 및 각 기구를 연결하는 배선(40)으로 구성된 엔진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동기(20)와 시동스위치(30)를 연결하는 배선(40)에 릴레이스위치(1)가 설치되고, 이 릴레이스위치(1)는 상기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2)의 출력신호에 따라 콘트롤러(3)로부터 밧데리전원을 인가받아 온/오프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엔진의 기동상태에 따라 기동전동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주게 되므로써 기동전동기의 파손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불필요한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An automatic cutoff for startmotor in a car)
본 발명은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동전동기의 시동완료 즉시 기동전동기의 구동을 멈추게 하므로써 기동전동기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엔진은 자기기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기동시키려면 외부로 부터 크랭크축을 회전시켜야 하고, 또 그 회전이 일정이상의 속도이어야만 되는 바, 이러한 크랭크축을 일정회전속도이상으로 동작시키게 해주는 것을 기동장치라 한다.
이러한 기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1)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동기(102)와, 이 기동전동기(102)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동스위치(103)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계기판에 위치되는 시동스위치(103)를 시동위치로 닫으면 밧데리전원이 기동전동기(102)로 인가되어 이 기동전동기(102)를 작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기동전동기(102)에 연결되어 있는 엔진(101)의 크랭크축이 회전하면서 엔진(101)이 시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엔진이 기동된 후 기동전동기의 동력전달기구를 엔진으로 부터 분리하고, 기동전동기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상기 시동스위치를 수동으로 차단시켜 주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동전동기는 보통의 전기기기와는 달라서 안전사용시간이 매우 짧고, 또한 연속운전시간도 30초이내로 제한하여야 되는 데, 만약 이 연속사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기동전동기가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이 기동된 다음에 스위치를 닫으면 기어소음이 발생되고 기동전동기의 하우징이 파손되기 쉬우며, 기동전동기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동전동기가 동작하여 엔진이 시동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동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된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동기와, 이 기동전동기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동스위치 및 각 기구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계기판에 위치되는 시동스위치를 시동위치로 닫으면 밧데리전원이 기동전동기로 인가되어 이 기동전동기를 작동시키도록 된 차량의 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동기와 시동스위치를 연결하는 배선에 릴레이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릴레이스위치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콘트롤러로부터 밧데리전원을 인가받아 온/오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온시켜 기동전동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기동전동기와 연결된 크랭크축이 회전하면서 엔진이 가동되게 되는 바, 엔진이 가동되게 되면 그 회전수를 센서가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는 컨토롤러에 인가되어 밧데리전원을 릴레이스치에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가 작동되어 시동스위치와 기동전동기를 연결하는 배선을 차단시켜 기동전동기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와같이 엔진이 시동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기동전동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주므로써 기동전동기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엔진에 설치되는 기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릴레이스위치 2 : 센서
3 : 콘트롤러 10: 엔진
20: 기동전동기 30: 시동스위치
40: 배선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엔진에 설치되는 기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차량의 엔진 시동장치는 엔진(10)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동기(20)와, 이 기동전동기(20)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동스위치(30) 및 각 기구를 연결하는 배선(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계기판에 위치되는 시동스위치(30)를 시동위치로 닫으면 밧데리전원이 기동전동기(20)로 인가되어 이 기동전동기(2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 기동전동기(20)와 연결되어 있는 엔진(10)의 크랭크축이 회전하면서 엔진(10)이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시동장치에서 엔진(10)이 구동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기동전동기(2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동기(20)와 시동스위치(30)를 연결하는 배선(40)에 릴레이스위치(1)가 설치되고, 이 릴레이스위치(1)는 상기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2)의 출력신호에 따라 콘트롤러(3)로부터 밧데리전원을 인가받아 온/오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레이스위치(1)가 평상시에는 닫혀져 있고, 센서(2)의 감지신호에 따라 컨트롤러(3)로부터 밧데리전원을 인가받게 되면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운전자가 시동스위치(30)를 온시켜 상기 기동전동기(20)를 작동시키게 되면 기동전동기(20)와 연결된 크랭크축이 회전하면서 엔진(10)이 가동되게 되는 바, 엔진(10)이 가동되게 되면 그 회전수를 센서(2)가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는 컨토롤러(3)에 인가되어 밧데리전원을 릴레이스위치(1)에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1)가 작동되어 시동스위치(30)와 기동전동기(20)를 연결하는 배선(40)을 차단시켜 기동전동기(20)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와같이 엔진(10)이 시동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기동전동기(2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주므로써 기동전동기(2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시동스위치(30)에 키를 꽂고 온위치로 돌려주게 되면 상기 시동스위치(30)의 회로가 연결되면서 전원을 기동전동기(20)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동스위치(30)와 기동전동기(20)를 연결하는 배선(40)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스위치(1)는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기동전동기(20)가 작동되게 되면 이 기동전동기(20)와 연결되어 있는 엔진(10)의 크랭크축이 회전하게 되는 바, 그러다가 엔진(10)이 기동되면 엔진(10)은 급격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엔진(10)의 회전축에는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센서(2)에 상기 엔진(10)의 회전수가 감지되게 된다.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지한 센서(2)는 그 출력신호를 컨트롤러(3)로 인가하게 되고, 이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3)는 현재 엔진(10)이 구동되었는 가를 판단하여 엔진(10)이 구동되었으면 밧데리전원을 상기 릴레이스위치(1)로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전원을 인가받은 릴레이스위치(1)는 시동스위치(30)와 기동전동기(20)를 연결하는 배선을 단락시키면서 기동전동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바, 기동전동기(20)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엔진(10)이 구동하게 되면 바로 기동전동기(20)의 작동을 멈춰, 기동전동기(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동전동기 제어장치는, 엔진의 기동상태에 따라 기동전동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주게 되므로써 기동전동기의 파손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불필요한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10)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동기(20)와, 이 기동전동기(20)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동스위치(30) 및 각 기구를 연결하는 배선(40)으로 구성된 엔진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동기(20)와 시동스위치(30)를 연결하는 배선(40)에 릴레이스위치(1)가 설치되고, 이 릴레이스위치(1)는 상기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2)의 출력신호에 따라 콘트롤러(3)로부터 밧데리전원을 인가받아 온/오프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KR1019970046934A 1997-09-12 1997-09-12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KR19990025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34A KR19990025353A (ko) 1997-09-12 1997-09-12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34A KR19990025353A (ko) 1997-09-12 1997-09-12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53A true KR19990025353A (ko) 1999-04-06

Family

ID=6604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934A KR19990025353A (ko) 1997-09-12 1997-09-12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43464A (ko) 원동기의 시동 장치 및 시동 방법
CA2449063C (en) Engine start controller, engine star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9990025353A (ko) 기동전동기의 자동차단장치
KR0123540Y1 (ko) 자동차의 시동제한장치
KR200266245Y1 (ko)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KR100286526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방법
KR200173310Y1 (ko) 승용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자동 폴딩장치
KR0131427Y1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200313244Y1 (ko) 자동차에서 시동 오프 시에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KR980009874A (ko) 자동차 스타터 모터의 보호장치
KR200146795Y1 (ko) 자동차의 엔진 재시동 장치
KR100226677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자동 닫힘장치
KR19980049914U (ko) 스타트 모터 파손 방지 장치
KR19980044586A (ko) 스타트모타의 과회전방지장치
KR0163396B1 (ko) 이그니션 키이 셋트 오동작 방지장치
JP2920724B2 (ja) エンジン停止装置
KR200147575Y1 (ko) 스타터 모터의 손상방지장치
KR960004324Y1 (ko) 기어걸림 경고장치
KR200144050Y1 (ko) 이그니션 록 장치
KR19990026584U (ko) 시동 모터 보호 장치
KR20010110826A (ko)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KR19990011854A (ko) 자동차의 스타트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55128A (ko) 스타트 모터 이중 작동 방지장치 및 방법
KR19980066922U (ko) 자동차 주정차시 엔진공회전방지장치
JPH02286449A (ja) 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