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41Y1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41Y1
KR200266241Y1 KR2019990009466U KR19990009466U KR200266241Y1 KR 200266241 Y1 KR200266241 Y1 KR 200266241Y1 KR 2019990009466 U KR2019990009466 U KR 2019990009466U KR 19990009466 U KR19990009466 U KR 19990009466U KR 200266241 Y1 KR200266241 Y1 KR 200266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handle
door
regulator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82U (ko
Inventor
서창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9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41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밀착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핸들의 조립/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어의 내부 부품 수리등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보스(58)의 주위로 다수의 관통공(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이 외부와 관통되도록 개방부(2)가 형성된 핸들(50)과, 상기한 개방부(2)와 나사 결합되어 이 개방부(2)를 개폐시키는 캡(3)과, 상기한 핸들(50)과 도어 트림(T)의 사이에 개재되고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4)이 형성된 이스커션(55)과, 상기한 보스(58)와 레귤레이터 샤프트(57)에 형성된 고정홈(59)에 결합되어 보스(58)와 레귤레이터 샤프트(57)를 결합/고정시키는 클립(5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HANDLE OF DOOR REGULATO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바디에는 승하차를 위해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도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 글래스가 환기등을 위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도어 글래스는 도어 레귤레이터 어셈블리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0)에 의해 회전되는 레귤레이터(51)와, 상기한 레귤레이터(51)에 의해 이동/동작되는 와이어(52)와, 상기한 와이어(52)에 연결되어 연동함과 아울러 도어(D) 내부에 고정된 채널(53)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더(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더(54)에는 도어 글래스(G)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한 각 부품들은 도어(D) 내부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핸들(50)을 회전시키면 이와 결합된 레귤레이터(51)가 회전되면서 와이어(52)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한 와이어(52)에 의해 슬라이더(54)가 승강되면서 도어 글래스(G)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핸들(50)과 레귤레이터(51)는 이스커션(55)과 클립(56)으로 결합되어 있는 바, 이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T)을 관통하여 돌출된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핸들(50)의 보스(58)가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한 핸들(50)과 도어 트림(T)의 사이에 이스커션(55)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한 결합 상태에서 서로 일치되도록 보스(58)와 레귤레이터 샤프트(57)에 고정홈(5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고정홈(59)에 끼워져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보스(58)를 제한하도록 클립(56)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한 도어 트림(T)에 이스커션(55)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핸들(50)과 레귤레이터 샤프트(57)를 결합하면, 상기한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보스(58)에 형성된 고정홈(59)이 일치되는 바, 여기에 클립(56)을 끼워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보스(58) 즉, 핸들(5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핸들(50)을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T)과 이스커션(55)의 사이로 천(W)등과 같은 것을 밀어 넣은 후 이를 당겨서 상기한 클립(56)을 압박하면서 분리시키고, 클립(56) 분리 후 핸들(50)을 레귤레이터 샤프트(57)에서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천등을 상기한 이스커션과 도어 트림 사이로 밀어 넣어 클립을 분리시키는 작업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숙련되어 있지 않으면,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클립을 천으로 압박하여 고정홈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편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어 내부에 장착된 부품의 정비를 위해 도어 트림을 분리시키는 작업에 선행되어야 하는 핸들 분리 작업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밀착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핸들의 조립/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어의 내부 부품 수리등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조립 단면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캡을 제거하고 클립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3의 저면도,
도5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핸들과 레귤레이터 샤프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은 도6의 조립 단면도,
도8은 도7의 저면도로서 천 등으로 클립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통공2: 개방부
3: 캡4: 이동공
5: 제1이동공6: 제2이동공
7: 걸림턱8: 탄성공
9: 개폐홈50: 핸들
55: 이스커션56: 클립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귤레이터 샤프트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보스의 주위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이 외부와 관통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핸들과, 상기한 개방부와 나사 결합되는 캡과, 상기한 핸들과 도어 트림의 사이에 개재되고 레귤레이터 샤프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이스커션과, 상기한 보스와 레귤레이터 샤프트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어 보스와 레귤레이터 샤프트를 결합/고정시키는 클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보스(58)의 주위로 다수의 관통공(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이 외부와 관통되도록 개방부(2)가 형성된 핸들(50)과, 상기한 개방부(2)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캡(3)과, 상기한 핸들(50)과 도어 트림(T)의 사이에 개재되고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4)이 형성된 이스커션(55)과, 상기한 보스(58)와 레귤레이터 샤프트(57)를 고정시키도록 고정홈(59)에 결합된 클립(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핸들(50)을 레귤레이터 샤프트(57)에 결합시켰을 때 캡(3)을 제거함과아울러 이스커션(55)을 이동시키면 이동공(4)과 관통공(1)을 통해 클립(56)이 보이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클립(56)을 작업자가 보면서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이스커션(55)의 이동공(4)에는 이스커션(55)이 레귤레이터 샤프트(57) 중심에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편심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 유지 수단은 상기한 이동공(4)의 내주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레귤레이터 샤프트(57)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폭이 형성됨으로써 그 양측으로 제1, 2이동공(5, 6)을 형성하는 걸림턱(7)과, 상기한 걸림턱(7)에 탄성을 부여하여 레귤레이터 샤프트(57) 이동 시 압축되면서 파손되지 않도록 걸림턱(7) 측부에 형성된 탄성공(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캡(3)을 드라이버 또는 동전(미 도시)등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캡(3)의 상면에 개폐홈(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 트림(T)에 장착되어 있는 핸들(50)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또는 동전등으로 캡(3)을 회전시켜 핸들(3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핸들(50)에서 캡(3)이 분리되면 핸들(50)에 형성된 관통공(1)을 통해 클립(56)이 보이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상기한 이스커션(55)을 드라이버등으로 밀어 레귤레이터 샤프트(55)와 편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이스커션(55)을 이동시키기 전에는 제1이동공(5)에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위치되어 있는 상태인 바, 상기한 이스커션(55)이 이동되면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걸림턱(7)을 통과하여 제2이동공(6)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한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걸림턱(7)을 통과할 때 걸림턱(7)을 확장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확장 시 탄성공(8)이 압축되면서 이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스커션(55)이 이동 완료되면 상기한 제1이동공(5)을 통해 클립(56)이 보이게 되고, 상기한 관통공(1)으로 드라이버(DR)등을 삽입시켜 클립(56) 일측에 끼우게 된다.
클립(56)에 드라이버(DR)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한 드라이버(DR)를 기울여 상기한 클립(56)이 레귤레이터 샤프트(57)와 보스(58)의 고정홈(59)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클립(56)이 상기 고정홈(59)에서 이탈되면 상기한 보스(58) 즉, 핸들(50)과 레귤레이터 샤프트(57)가 분리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핸들(50)을 당기면 레귤레이터 샤프트(57)로부터 핸들(50)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핸들(50)이 분리되면 이스커션(55)과 도어 트림(T)을 분리하여 도어 내부의 부품등을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도어 핸들(5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순서와 반대로 실시하면 매우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조립 후 캡(3)을 핸들(50)에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외관이 보다 미려하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핸들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클립을 드라이버등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 핸들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도어 내부의 부품 수리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레귤레이터 샤프트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보스의 주위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이 외부와 관통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핸들과, 상기한 개방부와 나사 결합된 캡과, 상기한 핸들과 도어 트림의 사이에 개재되고 레귤레이터 샤프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이스커션과, 상기한 보스와 레귤레이터 샤프트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어 보스와 레귤레이터 샤프트를 결합/고정시키는 클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스커션의 이동공측에는 이스커션이 레귤레이터 샤프트 중심에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레귤레이터 샤프트와 편심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 유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 유지 수단은 상기한 이동공의 내주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레귤레이터 샤프트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폭이 형성됨으로써 그 양측으로 제1, 2이동공을 형성하는 걸림턱과, 상기한 걸림턱에 탄성을 부여하여 레귤레이터 샤프트 이동 시 압축되면서 파손되지 않도록 걸림턱 측부에 형성된 탄성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캡을 동전등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캡의 상면에 형성된 개폐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KR2019990009466U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KR200266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6U KR200266241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6U KR200266241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82U KR20000021582U (ko) 2000-12-26
KR200266241Y1 true KR200266241Y1 (ko) 2002-02-28

Family

ID=5476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466U KR200266241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82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9317B2 (ja) 自動車用ドア
KR200266241Y1 (ko)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KR200353440Y1 (ko) 측면상향개폐식 차량문짝용 힌지
KR101028027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KR100563355B1 (ko) 차량도어용 씰링조립체
KR100571670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KR20050042320A (ko) 자동차의 사이드도어용 인너핸들
KR100422865B1 (ko) 자동차용 러기지 사이드커버의 조립구조
KR100537000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KR0125162Y1 (ko) 자동차용 트림 고정구
KR100337817B1 (ko) 커티시램프 취부구조
KR940008367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결합장치
KR0180833B1 (ko)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핸들 탈,장착 구조
KR100397120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KR100535621B1 (ko) 자동차 도어프레임의 결합구조
KR0135511Y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고정구조
KR19980031715U (ko) 트림류의 바디 플랜지 고정용 탄성클립
KR100550043B1 (ko) 윈도우 글라스 마운팅용 그립구조
KR200169775Y1 (ko) 자동차용 커버
KR200189782Y1 (ko) 철도차량용윈도우프레임의구조
KR100506918B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램프 서비스 커버
KR200258584Y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의 디프로스트 노즐과 조인트의 체결구조
KR20060084645A (ko) 자동차용 랙 고정장치
CN117103964A (zh) 车辆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