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84Y1 -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84Y1
KR200266084Y1 KR2020010035261U KR20010035261U KR200266084Y1 KR 200266084 Y1 KR200266084 Y1 KR 200266084Y1 KR 2020010035261 U KR2020010035261 U KR 2020010035261U KR 20010035261 U KR20010035261 U KR 20010035261U KR 200266084 Y1 KR200266084 Y1 KR 200266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ody
band
clamp
rubber boot
constant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기
Original Assignee
신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기 filed Critical 신동기
Priority to KR2020010035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84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브 샤프트와 외륜 사이에 마련된 고무부트의 양단부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 및 상기 밴드 몸체를 소정 조임력으로 조이면서 밴드 몸체의 양단부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밴드 몸체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Clamp-band for universal joint}
본 고안은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무부트의 굴곡 변위시 밴드 몸체의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어 고무부트가 찢어지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속조인트는 전륜 구동차에서 종감속장치에 연결된 구동차축에 설치되어 구동차축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항상 구동축과 피동축의 접점을 축의 교차각에 대해 이등분선 상에 위치되게 하여 조향각에 관계없이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등속조인트(100)는 드라이브 샤프트(10)와 외륜(11) 사이에 설치된 자바라 형상을 가진 고무부트(12)의 외주면 양단에 클램프 밴드 (200)를 설치하여 고무부트(12) 내부에 주입된 윤활유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에 따른 클램프 밴드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클램프 밴드(20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밴드 몸체(21)의 일단부에 체결편(22)이 스폿 용접식으로 고정되고, 밴드 몸체(21)의 타단부에 체결편(22)이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23)이 형성되고, 체결공(23)에 체결된 체결편(22)을 바이어스시켜 밴드 몸체(21)를 조인 상태에서 체결편(2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23)측에 형성된 클립부(24)가 마련된다.
따라서, 클램프 밴드(200)는 윤활유의 누출 방지를 위해 고무부트(12: 도 1)의 양단 외주면에 클램핑되는데, 체결편(22)을 체결공(23)에 체결한 상태에서 체결편(22)을 밴드 몸체(21) 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체결편(22)은 체결공(23)에 바이어스되면서 밴드 몸체(21)를 소정 조임력으로 조이게 된다. 이 후, 클립부(24)를 밴드 몸체(21)측으로 절곡시켜 체결편(22)을 고정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클램프 밴드는 밴드 몸체가 소정 폭을 가진 띠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무부트가 신축되면서 굴곡되는 경우, 밴드 몸체가 클램핑되는 고무부트의 양단부위가 밴드 몸체의 사이드에 의해 찢겨져 고무부트 내에 주입된 윤활유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밴드 몸체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별도로 체결편을 가공하여 밴드 몸체의 일단부에 스폿 용접으로 고정시킨 다음, 클립부를 가공하여 밴드 몸체의 타단부측에 스폿 용접으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 고무부트의 굴곡 변위시 밴드 몸체의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어 고무부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무부트의 외주면 양단부에 대해 조임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및 체결 공정이 단순화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클램프 밴드를 나타내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램프 밴드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Ⅴ-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4의 클램프 밴드가 등속조인트의 고무부트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밴드 몸체 40... 휨부
50... 체결부재 51... 걸림돌기
53... 걸림공 55... 장공
57... 제1조임돌기 59... 제2조임돌기
60... 드라이브 샤프트 70... 외륜
80... 고무부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드라이브 샤프트와 외륜 사이에 마련된 고무부트의 양단부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있어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 및 상기 밴드 몸체를 소정 조임력으로 조이면서 밴드 몸체의 양단부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밴드 몸체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공; 상기 걸림공측으로부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및 상기 밴드 몸체의 양단부를 포개어 가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 몸체를 조임과 동시에 걸림돌기에 걸림공을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장공의 길이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조임돌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가 마련되므로, 장시간 동안 고무부트가 굴곡되면서 신축되더라도 고무부트의 밀착부분이 휨부의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지 않아 고무부트의 밀착부분이 찢겨져 고무부트의 내부에 주입된 윤활유가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으며, 조임력이 더욱 향상되고, 제조 공정 및 체결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클램프 밴드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Ⅴ-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클램프 밴드(300)는 자동차의 드라이브 샤프트(60)와 외륜(70) 사이에 설치된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에 클램핑 되어 고무부트(80) 내부에 주입된 윤활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부부트(80)의 굴곡 변위시 고무부트(80)의 양단부측이 찢어지지 않도록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밴드 몸체(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40)와, 밴드 몸체(30)를 소정 조임력으로 조이면서 밴드 몸체(30)의 양단부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도록 밴드 몸체(30)에 마련된 체결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휨부(40)는 최초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띠형상의 판재를 암수 금형의 프레싱 동작에 의해 그 판재를 둥글게 밴딩시키면서 판재의 사이드 부분을 절곡시키는 통상적인 절곡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밴드 몸체(30)는 고무부트 (80)의 외주면 양단부에 접촉되어 클램핑되는 부분 즉, 휨부(40)을 제외한 부분이 고무부트(80)의 접촉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밴드 몸체(30)를 조일 때, 그 밴드 몸체(30)가 고무부트(80)의 접촉면을 집중적으로 가압하여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대해 조임력을 증가시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휨부(40)는 고무부트(80)가 신축되면서 굴곡되는 경우, 휨부(40)의 가장자리단이 고무부트(80)의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절곡된 각도 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그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어 고무부트(80)의 접촉면 부위가 찢어지지 않게 한다.
상기 체결부재(50)는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51)와, 걸림돌기(51)에 대응되도록 밴드 몸체(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공(53)과, 걸림공(53)측으로부터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측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55)과, 밴드 몸체(30)의 양단부를 포개어 가체결한 상태에서 밴드 몸체 (30)를 조임과 동시에 걸림돌기(51)에 걸림공(53)을 체결시키기 위해, 장공(55)의 길이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장공(55)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조임돌기(57,59)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돌기(51)는 통상적인 프레스장치에 의해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측 하면에서 밴드 몸체(30)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공(53)에 걸리는 부분이 밴드 몸체(30)의 타단부를 향하도록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제1 및 제2걸림돌기 (51a,51b)한 쌍으로 연속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걸림돌기(51)는 고무부트(80)의 양단부 외경에 대응하여 호환성을 갖도록 2개 이상의 갯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공(53)은 밴드 몸체(30)의 타단부를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측에 포개어 가체결한 상태에서 걸림돌기(51)에 걸릴 수 있도록 밴드 몸체(30)의 타단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피어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공(55)은 밴드 몸체(30)를 고무부트(80)의 양단부에 가체결한 경우,후술되는 제1조임돌기(57)가 구멍의 길이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걸림공(53)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조임돌기(57)는 밴드 몸체(30)의 일단 가장자리와 걸림돌기(51)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밴드 몸체(30)의 하면에서 밴드 몸체(30)의 상면으로 둥글게 돌출되고, 밴드 몸체(30)의 양단부를 포개어 가체결한 상태에서 장공(55)의 길이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제2조임돌기(59)는 밴드 몸체(30)의 일단측으로 향하는 장공(55)의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밴드 몸체(30)의 하면에서 밴드 몸체(30)의 상면으로 둥글게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즉, 밴드 몸체(30)를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가체결한 상태에서, 통상적인 클램핑 치구 예컨대, 플라이어(plier)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조임돌기(57,59)를 가압하면 밴드 몸체(30)는 고무부트(80)의 접촉면으로 조여지면서 걸림돌기(51)에 걸림공(53)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의 제조 공정 및 체결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 밴드(300)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띠형상의 판재를 통상적인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걸림돌기(51), 걸림공(53), 장공(55), 제1 및 제2조임돌기 (57,59)를 동시에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걸림돌기(51), 걸림공(53), 장공(55), 제1 및 제2조임돌기 (57,59)가 형성된 밴드 몸체(30)를 통성적인 절곡장치를 이용하여 둥글게 밴딩시킴과 동시에, 밴드 몸체(30)의 사이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절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가 완료된 클램프 밴드(300)를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각각 클램핑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에 밴드 몸체(30)의 타단부가 포개어지도록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가체결시킨다. 이 때, 밴드 몸체(30)의 가체결 작업은 걸림공(53)이 제2걸림돌기(51b)에 걸리게 하여 제1조임돌기(57)를 장공(55)의 길이 영역 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통상의 클림핑 치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조임돌기(57,59)를 밴드 몸체(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가압한다. 그러면, 밴드 몸체(30)는 클램핑 치구의 가압력에 조여져 제2걸림돌기(51b)에 걸려 있던 걸림공 (53)이 이탈되면서 제1걸림돌기(51a)에 걸려 체결된다. 이 때, 밴드 몸체(30)는 클램핑 치구의 가압 동작에 의해 조여지면서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대응되는 밴드 몸체(30)의 하면 즉, 고무부트(80)의 양단부에 접촉되는 돌출부분이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 밴드(300)는 종래와 달리, 두 공정의 간단한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두 공정의 간단한 체결 공정에 의해 고무부트(80)의 외주면 양단부에 체결되고, 종래와 달리, 고무부트(80)가 굴곡되면서 신축되더라도 고무부트(80)의 밀착부분이 휨부(40)의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지 않아 고무부트(80)의 밀착부분이 상기 가장자리단에 의해 찢어질 염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가 마련되므로, 고무부트가 굴곡되면서 신축되더라도 고무부트의 밀착부분이 휨부의 가장자리단에 간섭되지 않아 고무부트의 밀착부분이 찢겨져 윤활유가 누출될 염려가 없다.
둘째, 종래와 달리, 제조 공정 및 체결 공정이 단순화 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에 따라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밴드 몸체에 휨부가 마련됨에 따라 밴드 몸체의 하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위가 고무부트의 접촉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다.

Claims (2)

  1. 드라이브 샤프트와 외륜 사이에 마련된 고무부트의 양단부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에 있어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사이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휨부; 및
    상기 밴드 몸체를 소정 조임력으로 조이면서 밴드 몸체의 양단부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밴드 몸체에 마련된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공;
    상기 걸림공측으로부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및
    상기 밴드 몸체의 양단부를 포개어 가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 몸체를 조임과 동시에 걸림돌기에 걸림공을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장공의 길이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조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KR2020010035261U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KR200266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61U KR200266084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61U KR200266084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84Y1 true KR200266084Y1 (ko) 2002-02-27

Family

ID=7311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61U KR200266084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908B1 (ko) 조인트 부트를 위한 설치구조
KR960002986B1 (ko) 귀없는 클램프 구조물
US8015672B2 (en) Tightening band
JP2947756B2 (ja) 締め付けバンド
KR200266084Y1 (ko) 자동차 등속조인트용 클램프 밴드
JP4922487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を被覆するための予め組み立てられたベロー状構造体
EP0153483B1 (en) Clamp band
JP4318824B2 (ja) 締付バンド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EP0777247A2 (en) Pressure switch
EP1568895B1 (en) Tightening band
JP2001208215A (ja) 等速自在継手
JP2942485B2 (ja) 締め付けバンド
KR200163514Y1 (ko) 플라스틱 튜브 어셈블리
JP4476637B2 (ja) クランプバンド
KR19980066120U (ko) 자동차 등속조인트의 윤활유 누출방지용 클램핑 밴드
KR100410840B1 (ko) 자동차 패널 고정구
KR100541145B1 (ko) 등속조인트의 부츠결합 구조
KR100262814B1 (ko) 클램핑 밴드
JP2000142068A (ja) スタビライザーの横ずれ防止具
JP4700285B2 (ja) クランプバンド
JPS595211Y2 (ja) ワンタツチ式結合バンド
JP4226920B2 (ja) クランプバンド
JPH0579579A (ja) ブラケツト
JPH03113105A (ja) ブーツクランプ
KR20020081612A (ko) 자동차용 전륜구동축의 부트실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