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840B1 - 자동차 패널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패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840B1
KR100410840B1 KR10-2001-0026161A KR20010026161A KR100410840B1 KR 100410840 B1 KR100410840 B1 KR 100410840B1 KR 20010026161 A KR20010026161 A KR 20010026161A KR 100410840 B1 KR100410840 B1 KR 10041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ixture
wheel guard
male
ma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170A (ko
Inventor
안정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그 일측은 차체(1)의 적소에 웰딩되고 타측은 휠 가드(20)의 체결홀(20a)에 끼워지도록 소정 형상을 갖는 수 고정구(110)와; 상기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끼워져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휠 가드(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121)이 형성된 암 고정구(12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패널 고정구{Panel fixing instrumen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적소에는 납작한 화살촉 형상의 수 고정구를 용접하고 이 수 고정구의 끝단에는 암 고정구를 손으로 돌려 끼울 수 있어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체결이 용이한 자동차 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디의 펜더 패널은 차체외판의 일부로서 타이어를 커버하여 흙탕물이나 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펜더 패널의 내측면에는 휠 가드가 볼트 및 웰딩 너트로 고정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휠 가드 고정구(10)는 윌딩 너트(11)와 볼트(12)로 이루어지는 바, 차체(1: 펜더 패널)에는 웰딩 너트(11)가 용접 고정되고 이 웰딩 너트(11)의 체결홀(11a)과 휠 가드(20)의 체결홀(20a)에는 볼트(12)가 고정되어 휠 가드(20)를 차체(1)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 휠 가드 고정구는, 차체의 체결 부위마다 너트를 웰딩해야 하고, 볼트를 체결함에 있어서도 특정 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휠 가드 고정구(10)를 이용하여 휠 가드(20)를 차체(1)에 체결함에 있어서, 휠 가드(20)의 체결부위는 휠(바퀴)과 근접되기 때문에 우수(雨水)가 차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가 필요한 곳이다. 따라서, 대부분 휠 가드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고정구를 사용하지만 일부분은 차체의 부식을 위하여 고정구를 체결하는 곳도 있다.
따라서, 현재 소정 체결력만을 가지면서도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반드시 체결해야만 하는 곳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결이 간편한 고정구의 필요가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체 적소에는 납작한 화살촉 형상의 수 고정구를 용접하고 이 수 고정구의 끝단에는 암 고정구를 손으로 돌려 끼울 수 있어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체결이 용이한 자동차 패널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암 고정구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0 : 휠 가드
20a : 체결홀 100: 휠 가드 고정구
110 : 수 고정구(Male fixing instrument)
111 : 플랜지부 112 : 걸림부
113 : 가이드부 120 : 암고정구(Female fixing instrument)
121 : 걸림턱 122 : 삽입홈
123 : 돌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일측은 차체의 적소에 웰딩되고 타측은 부속패널의 체결홀에 끼워지도록 소정 형상을 갖는 수 고정구와; 상기 수 고정구의 끝단에 끼워져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부속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암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 고정구는, 그 일측에 웰딩을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끝이 뾰족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간에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암 고정구는 그 전면에 상기 수 고정구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휠 가드를 차체(펜더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휠 가드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고정구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 가드의 암 고정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 가드 고정구는 차체(1)의 적소에 웰딩되는 수 고정구(110)와, 이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결합되는 암 고정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 고정구(110)의 일측은 차체(1)의 적소에 웰딩되고 타측은 부속패널, 즉 휠 가드(20)의 체결홀(20a)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 고정구(110)는 납작한 화살촉 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에 웰딩을 위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끝이 뾰족한 가이드부(113)가 형성되며 중간에 상기 걸림턱(121)과 결합되는 걸림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2)의 정확한 위치는 가이드부(113)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바, 이 걸림부(112)와 걸림턱(121)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구의 결합력이 결정되므로 상기 걸림부(112)와 걸림턱(121)는 꼭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 고정구(120)는 상기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끼워져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휠 가드(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121)이 형성되며 그 전면에 상기 수 고정구(110)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돌기(123)가 형성된다. 상기 암 고정구(120)는 제조가 용이한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 고정구(110)에 휠 가드(20)의 체결홀(20a)을 맞추어 끼우고 다시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암 고정구(120)의 삽입홀(122) 맞추어 끼운 상태에서, 암 고정구(120)를 90도 정도 돌리면 걸림부(112)가 걸림턱(12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을 요약 정리하면, 차체(1)의 적소에 수 고정구(110)를 웰딩하고 이 수 고정구(100)의 끝단에 암 고정구(120)를 끼운 후, 이 암 고정구(120)를 소정각도로 돌리면 상기 수 고정구(110)의 걸림부(112)에 암 고정구(120)의 걸림턱(121)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패널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1)의 적소에 수 고정구(110)의 플랜지부(111)를 용접 고정한다. 그 다음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휠 가드(20)의 체결홀(20a)을 일치시켜 수 고정구(110)의 가이드부(113)가 체결홀(20a)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수 고정구(110)의 가이드부(113)가 암 고정구(120)의 삽입홈(122)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수 고정구(110)의 플랜지부(111)가 암 고정구(120)의 삽입홈(122)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암 고정구(120)를 90°정도 돌린다.
이때, 수 고정구(110)의 걸림부(112)가 암 고정구(120)의 걸림턱(121)에 걸리면서 차체(1)에 휠 가드(20)의 체결이 완료된다.
한편, 차체(1)로부터 휠 가드(20)를 탈거시킬 경우,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실행하면 되는 바,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암 고정구(120)를 90°정도 돌리면 수 고정구(110)의 걸림부(112)가 암 고정구(120)의 걸림턱(121)으로부터 빠지며, 이때 암 고정구(120)를 잡아당겨서 수 고정구(110)와 분리시키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 고정구(110)의 걸림부(112)는 회전되면서 암 고정구(120)의 걸림턱(12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암 고정구(120)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123)는, 암 고정구(120)를 돌릴 때 암 고정구(120)가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적소에 웰딩되는 수 고정구의 끝단에 암 고정구를 끼움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돌리면서 고정시키는 바, 손으로 체결작업이 가능하므로 체결이 쉽고, 조립성이 뛰어나며 차량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그 일측은 차체(1)의 적소에 웰딩되고 타측은 부속패널의 체결홀에 끼워지도록 소정 형상을 갖는 수 고정구(110)와; 상기 수 고정구(110)의 끝단에 끼워져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부속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121)이 형성된 암 고정구(120)로 이루어진 자동차 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 고정구(110)는 그 일측에 웰딩을 위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끝이 뾰족한 가이드부(113)가 형성되며 중간에 상기 걸림턱(121)과 결합되는 걸림부(1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암 고정구(120)는 그 전면에 상기 수 고정구(110)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돌기(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패널 고정구.
  2. 삭제
KR10-2001-0026161A 2001-05-14 2001-05-14 자동차 패널 고정구 KR10041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161A KR100410840B1 (ko) 2001-05-14 2001-05-14 자동차 패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161A KR100410840B1 (ko) 2001-05-14 2001-05-14 자동차 패널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170A KR20020087170A (ko) 2002-11-22
KR100410840B1 true KR100410840B1 (ko) 2003-12-18

Family

ID=2770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161A KR100410840B1 (ko) 2001-05-14 2001-05-14 자동차 패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76A (ko) 2017-12-19 2019-06-27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KR102136238B1 (ko) 2019-12-24 2020-07-21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치
KR102250435B1 (ko) 2019-11-07 2021-05-10 김병철 판넬 검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6851A (ja) * 1984-05-11 1985-11-25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外装部品取付構造
JPH0458458A (ja) * 1990-06-26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鉛蓄電池の電槽化成方法
JPH07269540A (ja) * 1994-03-31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ファスナ
JPH08284925A (ja) * 1995-04-17 1996-11-01 Piolax Inc 固定クリップ
KR19980038085A (ko) * 1996-11-23 1998-08-05 박병재 패널고정용 클립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6851A (ja) * 1984-05-11 1985-11-25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外装部品取付構造
JPH0458458A (ja) * 1990-06-26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鉛蓄電池の電槽化成方法
JPH07269540A (ja) * 1994-03-31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ファスナ
JPH08284925A (ja) * 1995-04-17 1996-11-01 Piolax Inc 固定クリップ
KR19980038085A (ko) * 1996-11-23 1998-08-05 박병재 패널고정용 클립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76A (ko) 2017-12-19 2019-06-27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KR102250435B1 (ko) 2019-11-07 2021-05-10 김병철 판넬 검사 장치
KR102136238B1 (ko) 2019-12-24 2020-07-21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170A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5918A3 (en) Molding fastening assembly
US6419307B1 (en)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US6250524B1 (en) Spare-tire fastening structure
KR100410840B1 (ko) 자동차 패널 고정구
US20190225010A1 (en) Cap member for wheel mounting nut, and method of mounting wheel
KR200147828Y1 (ko) 자동차의 판넬장착용 너트
JP2505078Y2 (ja) スクリュ―グロメット
JP3740921B2 (ja) スプリングナット
KR101537172B1 (ko) 스노우 체인용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노우 체인
KR900000958Y1 (ko) 관 연결구
JPH07269540A (ja) ファスナ
KR200307165Y1 (ko) 자전거용 흙받이
KR200153046Y1 (ko) 자동차에 결합되는 펜더용 너트
JPH0324888Y2 (ko)
JPH071580Y2 (ja) ホースクリップ
KR0114487Y1 (ko) 시작 지그의 다우얼 핀
KR0129398Y1 (ko) 자동차 혼 체결구조
KR200430506Y1 (ko) 차량용 램프의 인너렌즈
KR19980068134U (ko) 자동차의 번호판 봉인장치
KR970045791A (ko) 자동차의 루프안테나 체결용 너트
JPH0322008Y2 (ko)
JPH0755375Y2 (ja) オーバフェンダのリベット締付用グロメット
JPH0612808U (ja) ハ−ネスクリップ
JPH08270856A (ja) ホース類締付具
JPS62155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