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176A -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 Google Patents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176A
KR20190074176A KR1020180023139A KR20180023139A KR20190074176A KR 20190074176 A KR20190074176 A KR 20190074176A KR 1020180023139 A KR1020180023139 A KR 1020180023139A KR 20180023139 A KR20180023139 A KR 20180023139A KR 20190074176 A KR20190074176 A KR 20190074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contact portion
tight cont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ublication of KR2019007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판넬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판넬이 내측에 삽입되고 판넬을 검사 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판넬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판넬을 단단하게 고정하고, 정확하고 간편하게 검사하며,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CAR PANEL FIX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차 판넬을 검사하기 위해 고정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 판넬은 각각의 부분마다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후 조립된다. 상기 자동차 판넬은 차량의 기본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본네트, 프론트 도어, 프론트 범퍼, 트렁크 판넬, 백 도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본골격을 이루는 상기 자동차 판넬은 사출물 내지 합금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생산된 자동차 판넬은 그 형상이 자유 곡면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자동차 판넬의 정밀도 확인을 위해 측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자동차 판넬들이 정확한 규격으로 제조되지 않는 경우, 차체 조립과정에서 대응되는 부품의 홀과 체결홀이 일치되지 않음으로 인한 조립의 지연 및 제품의 파손으로 인한 안정성 결여 등의 여러 문제점을 유발한다.
한편, 차체의 기본 프레임 등의 조립체는 작업공정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조업체 내지 공정에서 제조된 후 조립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 판넬 조립체가 설계 규격에 맞추어 정확히 제작되어야 하지만, 사출 내지 주물과정에서 불가피한 설계치수대비 오차를 발생시키는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체 프레임이 정확하게 가공됨을 전제하에 조립과정에서 상기 자동차 판넬 조립체의 설계 치수 대비 미소한 공차를 수정하여야 한다. 특히, 헤드램프, 안개등 등의 램프의 경우에는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이므로, 램프를 둘러싸는 외곽 프로파일이 차체와 연속적인 유선형을 이루도록 정확한 규격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체 프레임을 먼저 설계치수대비 정확하게 수정한 다음에, 예비 조립된 자동차 판넬 조립체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임시 고정하여 치수의 정밀도를 검사한 수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되었는데, 작업이 번거롭고 불가피한 오차가 다시 발생되는 경우 해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제 차체 프레임에 자동차 판넬 조립체를 장착하여 검사한 후 수정하는 경우에는 차체 프레임의 정확도 수정 및 자동차 판넬 조립체의 정확도 수정의 2단계에 거친 수정작업이 진행되며 생산공정이 지연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10840호 (2003.12.0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21410호 (2007.02.2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판넬의 정확도를 보다 편리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검사 전, 육안으로 대략적인 검사를 할 수 있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판넬이 틀어지지 않고, 파손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판넬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판넬이 내측에 삽입되고 판넬을 검사 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판넬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밀착부 및 제 2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판넬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에 자동차 판넬을 삽입함으로써, 육안으로 정확도를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부를 통해 자동차 판넬이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판넬의 외측 테두리 뿐만 아니라, 램프 등이 삽입되는 테두리까지 정확하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 판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검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자동차 판넬의 정확한 치수를 측정하여 조립 시 정확도를 높여 자동차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삽입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가압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고정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고정핀 삽입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밀착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고정핀 삽입 단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자동차 판넬(10)은 자동차의 외곽을 이루는 판넬(10)을 모두 포함하여 총칭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는 각각의 판넬(10)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각각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는 지지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치수의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여야 하므로, 금형에 의한 주조방식으로 제작된 후 CNC(Computer NumericalControl) 공작기계에 의하여 정밀하게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뒤틀리지 않도록 단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10)는 자동차 판넬(10)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각 부위별 자동차 판넬(10)의 테두리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차 판넬(10)의 곡선 형상을 각각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각 위치마다 다른 형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부(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10)는 바닥판과 브라켓 등의 연결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상면에 가이드부(1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날개를 갖는 레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2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판넬(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판넬(1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판넬(10)의 외곽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판넬(10)의 테두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120)는 단단한 금속 재질 보다는 탄성이 있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폴리우레탄, 기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넬(10)의 부위에 따라, 안개등, 헤드 램프 등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판넬(10)일 경우, 홀이 위치하는 내측에도 홀가이드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가이드부(120, 121)는 모두 결합하였을 때, 판넬(10)의 외측 형상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고정부(2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부(200)는 가이드부(120)의 내측에 판넬을 삽입한 후, 삽입된 판넬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넬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부(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200)의 구성 요소는 유사하나 형상은 고정하는 판넬의 위치 및 형상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고정부(200)는 가위 형상으로 일단이 힌지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는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가 고정된 후, 더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나사(230) 및 조임나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밀착부(210)는 제 2 밀착부(220)와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하 힌지 운동을 하며, 타단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착부(210)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 밀착부(220)의 홈부(221)에 삽입되었을 때,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판넬(10)의 상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밀착부(210)의 돌출된 부분은 판넬(10)을 가압하였을 때, 판넬에 흠집 등의 손상이 가지 않도록 판넬에 접촉되는 면에 파손 방지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손 방지부(211)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밀착부(220)는 제 1 밀착부(210)와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힌지 연결부위를 수평축으로 제 1 밀착부(210)가 상하 운동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 2 밀착부(220)는 지지부(11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밀착부(220)는 상측에 제 1 밀착부(2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221)를 구비하여, 제 1 밀착부(210)가 홈부(221)의 사이로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로 밀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홈부(221)에 제 1 밀착부(210)가 삽입되면, 제 1 밀착부가 판넬(10)의 상측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나사(230) 및 조임나사(240)는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가 서로 맞닿았을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며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나사(230)는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제 2 밀착부(22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가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고, 검사 도중 제 1 밀착부(210)의 가압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해준다. 조임나사(240)는 고정나사(230)로 고정된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를 더욱 밀착시켜, 판넬(1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나사운동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조여줌으로써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가 더욱 밀착되고, 제 1 밀착부(210)의 돌출된 부분이 판넬(10)의 상면을 단단하게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작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삽입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가압 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고정 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고정핀 삽입 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판넬 밀착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먼저 고정부(200)가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가이드부(120) 내측에 판넬(10)을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부(120)는 판넬(10)의 외측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판넬(10)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판넬(10)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된 이후, 도 4에 따르면, 제 1 밀착부(21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판넬(10)의 상면에 제 1 밀착부(210)의 돌출된 부분이 닿도록 하측 방향으로 내려 놓는다. 각각의 고정부(2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 1 밀착부(210)는 동시에 내려 놓을 수도 있지만, 판넬(10)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나씩 차례로 내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밀착부(210)를 내려 놓을 때는 제 2 밀착부(220)의 상측에 구비된 홈부(221)에 제 1 밀착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 1 밀착부(210)를 모두 내려 놓은 후, 고정나사(230)로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나사(23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나사(230)가 제 1 밀착부(210)를 관통하여 제 2 밀착부(220)와 연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는 고정핀(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가 고정된 이후, 상기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를 밀착시키기 전에 고정핀(310)을 각각의 차량용 판넬(10)에 형성된 고정홀(11)에 삽입하여, 판넬(10)을 세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1)에 고정핀(31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판넬(10)의 형상이 틀어진 곳은 없는지, 고정홀(11)의 위치가 모두 정확한지 육안으로 확인작업을 거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불량품으로 확인되었을 시, 추가적인 검사과정을 거치치 않고 걸러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고정핀(310)은 판넬에 형성된 고정홀(1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고정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20)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310) 삽입이 완료되면, 고정부(200)의 조임나사(240)를 조임으로써, 판넬(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정확한 고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고정핀(310)이 고정홀(11)에 모두 관통된 후,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 구비된 조임나사(240)를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도록 나사운동을 통해 조일 수 있다. 조임 나사(240)가 하측 방향으로 조여지면,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는 더욱 밀착되며, 동시에 제 1 밀착부(210)의 타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의해 판넬(10)의 상면은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판넬(10)이 더이상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고정핀 삽입 단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의하면, 각각의 고정핀(310)은 고정홀(11)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1)에 고정핀(310)이 바로 삽입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가이드홀(20)을 통과하도록 하여, 판넬(10)에 형성된 고정홀(11)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고정핀(310)이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홀(20)은 가이드부(120) 또는 제 2 밀착부(220)의 측면에 판넬(10)의 고정홀(11)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밀착부(210)의 측면에도 제 1 밀착부(210)가 하측 방향으로 힌지 운동하여 판넬(10)의 상면에 놓였을 때 판넬(10)의 고정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 또는 제 2 밀착부(220) 의 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0)은 판넬(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판넬(10)의 고정홀(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밀착부(2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0)은 제 1 밀착부(210)를 하측 방향으로 힌지 운동 하였을 때, 판넬(1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고정홀(11)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홀(20)은 판넬(1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고정홀(11)을 가이드하여 고정홀(11)에 고정핀(310)을 삽입 시, 수직 방향으로 고정핀(3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고정홀(1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홀(11)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홀(20)은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기타 합성 수지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에 고정홀(11)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판넬 고정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판넬 고정 방법은 판넬 삽입 단계(S100), 판넬 가압 단계(S200), 판넬 고정 단계(S300), 고정핀 삽입 단계(S400), 판넬 밀착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넬 삽입 단계(S100)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에 판넬(1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판넬(10)은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의 지지부(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판넬 가압 단계(S200)는 삽입된 판넬(10)의 상면에 제 1 밀착부(210)를 내려놓아 판넬(10)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이다. 제 1 밀착부(210)는 제 2 밀착부(22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 운동을 통해 제 1 밀착부(210)의 타단에 돌출된 돌출부가 판넬(10)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이 때, 제 1 밀착부(210)는 제 2 밀착부(220)의 타단에 형성된 홈부(221)의 사이에 삽입되어 판넬(10)의 정확한 위치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넬 고정 단계(S300)는 제 1 밀착부(210) 및 제 2 밀착부(220)를 고정하여, 판넬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나사(23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나사(230)가 제 1 밀착부(210)를 관통하여 제 2 밀착부(220)와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가 고정되면, 제 1 밀착부(210)가 판넬(10)의 상면을 가압하여, 판넬(1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핀 삽입 단계(S400)는 판넬에 형성된 고정홀(11)에 고정핀(310)을 삽입하여 판넬(1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고정핀 삽입 단계(S400)를 거치면서, 판넬(10)이 틀어지거나, 흠집이 생긴 부분이 없는지 확인 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판넬(10)의 고정홀(11)들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1)에 고정핀(310)이 모두 삽입되면, 판넬(10)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판넬 밀착 단계(S500)는 정확한 위치에 놓여진 판넬(10)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는 단계이다. 판넬 밀착 단계(S500)는 제 1 밀착부(210)와 제 2 밀착부(220)를 밀착시켜 판넬(10)이 흔들리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것이다. 제 1 밀착부(210)의 상면에 구비된 조임나사(24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사운동 함으로써, 제 1 밀착부(210)가 제 2 밀착부(220)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밀착부(210)가 밀착됨에 따라, 제 1 밀착부(210)의 타단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의해 판넬(10)의 상면이 가압될 수 있다.
판넬 밀착 단계(S500)까지 완료되면, 판넬(10)이 고정된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를 옮겨 검사 장비로 이동할 수 있다. 검사 장비에 의해 판넬(10)의 상측면을 검사하여 판넬(10)의 형상, 치수 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판넬 11: 고정홀
20: 가이드홀
110: 지지부 120: 가이드부
121: 홀가이드부
200: 고정부 210: 제 1 밀착부
211: 파손 방지부 220: 제 2 밀착부
221: 홈부 230: 고정나사
240: 조임나사
310: 고정핀
S100: 판넬 삽입 단계 S200: 판넬 가압 단계
S300: 판넬 고정 단계 S400: 고정핀 삽입 단계
S500: 판넬 밀착 단계

Claims (4)

  1. 자동차 판넬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기 판넬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도록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판넬을 고정 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판넬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밀착부 및 제 2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밀착부의 타단은, 상하 힌지 운동을 하고,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판넬의 상측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밀착부는 상기 제 1 밀착부가 상기 판넬의 상측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할 때,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 1 밀착부를 고정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착부 타단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하면에는 파손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밀착부 및 상기 제 2 밀착부를 고정하는 고정나사 및
    상기 제 1 밀착부 및 상기 제 2 밀착부를 밀착시키는 조임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판넬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4. 자동차 판넬을 가이드부의 내측에 삽입하는 판넬 삽입 단계;
    제 1 밀착부의 힌지 운동을 통해 상기 판넬의 상면을 가압하는 판넬 가압 단계;
    제 1 밀착부와 제 2 밀착부를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상기 판넬을 고정하는 판넬 고정 단계;
    상기 판넬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판넬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핀 삽입 단계;
    고정된 상기 판넬이 흔들리지 않도록 조임나사를 통해 밀착시키는 판넬 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판넬 고정 방법.
KR1020180023139A 2017-12-19 2018-02-26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KR20190074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5401 2017-12-19
KR1020170175401 2017-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76A true KR20190074176A (ko) 2019-06-27

Family

ID=6705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39A KR20190074176A (ko) 2017-12-19 2018-02-26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1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38B1 (ko) * 2019-12-24 2020-07-21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치
KR102250435B1 (ko) * 2019-11-07 2021-05-10 김병철 판넬 검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40B1 (ko) 2001-05-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패널 고정구
KR20070021410A (ko) 2005-08-18 2007-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판넬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40B1 (ko) 2001-05-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패널 고정구
KR20070021410A (ko) 2005-08-18 2007-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판넬 검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435B1 (ko) * 2019-11-07 2021-05-10 김병철 판넬 검사 장치
KR102136238B1 (ko) * 2019-12-24 2020-07-21 김병철 자동차 판넬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4176A (ko) 자동차 판넬 고정 장비
JP2005510407A (ja) 自動車のモジュラールーフ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210741347U (zh) 白车身背门检测工装
KR101010669B1 (ko) 차량용 프론트 캐리어 검사구
CN116989633A (zh) 一种汽车内饰门板总成让面检具
JPH1119830A (ja) 自動車部品の検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検査治具
CN113607037B (zh) 一种汽车后背门装配对齐度检验辅具
KR102250435B1 (ko) 판넬 검사 장치
KR20120006624U (ko) 자동차용 검사장치
KR100186648B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검사용 게이지
US6675455B2 (en)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opening leaves
KR100868291B1 (ko) 차량용 유리 검사구
CN218905144U (zh) 一种车门预调整装置
KR102270362B1 (ko) 자동차용 후드어셈블리의 완성차 조건 검사가 가능한 검사구 장치
CN219265261U (zh) 一种白车身后围开度检测工装
KR200147091Y1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후드 힌지 장착홀 검사구
CN209763924U (zh) 白车身与后背门的配合精度检具
CN220524923U (zh) 检具
JP4604601B2 (ja) 樹脂製車両部品の計測解析方法
KR102246069B1 (ko) 차량용 총합검구
CN212253884U (zh) 前保上支架分总成检具
CN118143886A (zh) 一种车门预调整装置及方法
CN115031602A (zh) 前门复合检具及其检测方法
KR200151147Y1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측면 플랜지부 검사구
KR0126798Y1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대시 보드 정위치 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