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69B1 - 차량용 총합검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총합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69B1
KR102246069B1 KR1020190122456A KR20190122456A KR102246069B1 KR 102246069 B1 KR102246069 B1 KR 102246069B1 KR 1020190122456 A KR1020190122456 A KR 1020190122456A KR 20190122456 A KR20190122456 A KR 20190122456A KR 102246069 B1 KR102246069 B1 KR 10224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pection
assembly
vehicle parts
part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799A (ko
Inventor
문병건
Original Assignee
문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건 filed Critical 문병건
Priority to KR102019012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정밀도를 검사하도록, 본 발명은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검사프레임; 상기 검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장착부; 및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총합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총합검구{integrated inspec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총합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정밀도를 검사하는 차량용 총합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엔드와 차체 프레임은 각각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후 조립된다. 상기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는 차량의 본네트 전방측에 조립되는 램프, 범퍼빔, 및 프론트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기본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론트 캐리어, 범퍼빔은 사출물 내지 합금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램프는 외곽면이 유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전장부품이 실장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에서 지지프레임으로 기능하는 프론트 캐리어의 상부 양측은 차량의 본네트 개구부 테두리에 고정되고, 중앙 하부 양측은 사이드 멤버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은 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차량용 프론트 캐리어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볼트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리어는 지지부재로서 사용되므로 다양한 장치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램프 및 범퍼빔도 이러한 체결홀 중의 일부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엔드 조립체가 정확한 규격으로 제조되지 않는 경우, 차체 조립과정에서 대응되는 부품의 홀과 체결홀이 일치되지 않음으로 인한 조립의 지연 및 제품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성 결여 등의 여러 문제점을 유발한다.
한편, 차체의 기본 프레임과 프론트엔드 조립체는 작업공정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조업체 내지 공정에서 제조된 후 조립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가 설계 규격에 맞추어 정확히 제작되어야 하지만, 사출 내지 주물과정에서 불가피한 설계치수대비 오차를 발생시키는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체프레임이 정확하게 가공됨을 전제하에 조립과정에서 상기 프론트엔드 조립체의 설계치수 대비 미소한 공차를 수정하여야 한다. 특히, 램프의 경우에는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이므로, 그의 외곽 프로파일이 차체와 연속적인 유선형을 이루도록 정확한 규격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체 프레임을 먼저 설계치수대비 정확하게 수정한 다음에, 예비 조립된 프론트엔드 조립체를 상기 차체프레임에 임시고정하여 치수의 정밀도를 검사한 후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되었는데, 작업이 번거롭고 불가피한 오차가 다시 발생되는 경우 해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차체 프레임에 프론트엔드 조립체를 장착하여 검사한 후 수정하는 경우에는 차체프레임의 정확도 수정 및 프론트엔드 조립체의 정확도 수정의 2단계에 거친 수정작업이 진행되며 생산공정이 지연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차종별 10~50KG의 중량을 가지는 프론트엔드 조립체를 검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프론트엔드 조립체를 검사용 검사구에 정렬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힘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583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정밀도를 검사하는 차량용 총합검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검사프레임; 상기 검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장착부; 및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장착부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1차 장착되는 장착평판부가 구비되되, 상기 장착평판부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에 형성된 제1관통홀이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에 형성된 제2관통홀이 정렬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장착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레일부에 의해 검사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된 슬라이드장착부에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1차 장착된 후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기만 하면 복수개의 고정부에 한번에 자동 정렬되어 착탈고정장치를 통해 최종 가고정되므로 정밀검사의 준비가 신속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어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각 연결연장부의 홀과 각 고정부의 고정홈이 한번에 자동 정렬된 상태에서 착탈고정장치의 착탈구가 삽입되면 정밀검사 수행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므로 검사준비에 소요되던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므로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착탈구의 하단에 형성된 스크류체결부를 고정부에 고정된 스크류삽입부의 스크류체결홀에 삽입 후 회전시켜 걸림 체결시키기만 하면 착탈구의 가압단턱이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를 가압 조임하여 가고정되는 간편한 구조로 정밀검사 준비 및 검사후 해체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수행되며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의 외면에 기설정된 검사치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높이로 검사평면부가 연장 돌설되어 계측기구의 바닥이 접촉되므로 램프의 치수 오차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검사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검사평면부가 곡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램프의 최외곽 외면에 접하는 가상의 접선으로부터 검사치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계측기구의 바닥을 검사평면부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검사치수가 신속 정확하게 측정되므로 검사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슬라이드장착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슬라이드장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슬라이드장착부에 1차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검사 프레임에 최종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램프검사부와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착탈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슬라이드장착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슬라이드장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슬라이드장착부에 1차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검사 프레임에 최종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램프검사부와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에서 착탈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100)는 검사프레임(10), 레일부(20), 슬라이드장착부(30), 및 램프검사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총합검구(100)는 베이스(미도시)상에 상기 검사프레임(10)이 고정되어 구비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가볍고 견고한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총합검구(100)를 구성하는 부품은 치수의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여야 하므로, 금형에 의한 주조방식으로 제작된 후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에 의하여 정밀하게 가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는 검사대상 차량용 프론트캐리어(2), 검사대상 차량용 범퍼빔(3), 검사대상 차량용 전방프레임(4), 및 검사대상 차량용 램프(5) 등이 조립된 장치를 말하며, 기타 추가적인 부품이 부속되어 조립된 상태의 장치를 말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서 상기 차량용 총합검구(100)가 프론트캐리어(2), 범퍼빔(3), 전방프레임(4), 및 램프(5)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조립체, 즉 차량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예로써 도시 및 설명되나, 차량의 중앙부 및 후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립체 전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사프레임(10)은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11)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미도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차체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될 때 본네트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위치와, 사이드멤버 측에 고정되는 위치에 각각 대응되어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고정부(11)에는 상기 부분품 조립체(1)에 형성된 정렬홀(4b)에 착탈고정장치(50) 등이 고정되도록 고정홈(1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작업자는 검사수행을 위하여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를 상기 착탈고정장치(50) 등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11)에 가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부(20)는 상기 검사프레임(10)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0)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 및 범퍼빔(3)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프론트캐리어(2) 및 상기 범퍼빔(3)에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검사프레임(10)에는 상기 레일부(20)가 관통 배치되도록 전방에 상기 프론트캐리어(2) 및 상기 범퍼빔(3)에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한쌍의 레일관통공(2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차량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므로 전후방향으로 설명하나, 이는 상기 검사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관통공(21)은 상기 범퍼빔(3)이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레일관통공(21)의 내경은 상기 레일부(2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2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사프레임(10)에는 상기 레일관통공(21)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레일부(20)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가이드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2)는 상기 레일부(2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레일부(20)의 외면과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0)는 상기 가이드부(22)에 의해 안내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인출시에는 상기 검사프레임(10)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며, 삽입시에는 상기 검사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는 상기 레일부(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10)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20)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는 상기 레일부(20)에 의해 상기 검사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일측이 1차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에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1차 장착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최종 가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부(20)에 의해 상기 검사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1차 장착된 후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면 복수개의 고정부(10)에 한번에 정렬되어 착탈고정장치(50)를 통해 최종 가고정되므로 정밀검사 수행을 위한 준비가 신속 용이하게 수행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검사프레임(10)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에 형성된 장착부(2a)가 정렬되어 상호간 체결되도록 정렬고정부(11b)가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부(2a) 및 상기 정렬고정부(11b)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1차 장착된 후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장착부(2a)가 상기 정렬고정부(11b)에 자동으로 정렬되므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정밀검사를 위한 정렬이 용이하게되어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 범퍼빔(3), 및 램프(5)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조립체의 전체 부분품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의해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한쌍의 상기 레일부(20)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연결부(36)와, 상기 연결부(36)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3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 및 범퍼빔(3)이 1차 장착되는 장착평판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평판부(31)는 상기 지지부(35)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장착평판부(31)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에 형성된 제1관통홀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2)가 상기 검사프레임(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장착평판부(31)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에 형성된 제2관통홀이 정렬되어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도록 장착홀(3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가 상기 레일부(20)에 의해 상기 검사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평판부(31)의 걸림돌기(32)에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에 형성된 제1관통홀이 삽입되어 1차 지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호 정렬된 상기 장착홀(33) 및 상기 제2관통홀이 볼트 체결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캐리어(2)가 1차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착평판부(31)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범퍼빔(3)에 대응되는 위치에 범퍼빔체결홀(3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범퍼빔(3)이 상기 장착평판부(31)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정밀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검사프레임(10)에는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10)에 최종 가고정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외면이 고정되도록 회전고정부(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고정부(12)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의 상기 검사프레임(10) 폭방향 양측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연장로드부(12a)와, 상기 연장로드부(12a)의 단부에 일체로 절곡 연결되되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 외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외면고정부(1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면고정부(12b)의 일측에는 상기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에 형성된 정렬홀(4b)을 관통하여 착탈고정장치(50) 등이 고정되도록 전방고정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1차 장착된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고정부(10)에 최종 가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고정부(12)에 의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외면까지도 가고정되어 정밀검사 수행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견고하게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검사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검사프레임(10)에는 실제차량(미도시)의 차륜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회전고정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회전고정부(13)에는 상기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 중 차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정렬홀(4b)을 관통하여 착탈고정장치(50) 등이 고정되도록 차륜고정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1차 장착된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회전고정부(1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 중 차륜에 대응되는 부분의 외면이 착탈고정장치(50) 등에 의해 가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에는 상기 검사프레임(10)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상기 연결연장부(4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연결연장부(4a)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11)의 고정홈(11a)에 정렬되는 정렬홀(4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11a) 및 상기 정렬홀(4b)은 상호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슬라이드장착부(30)에 1차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기만 하면 각 상기 연결연장부(4a)의 정렬홀(4b)과 각 상기 고정홈(11a)이 한번에 자동 정렬된다. 더욱이, 상기 착탈고정장치(50)는 상기 고정홈(11a)뿐 아니라 상기 전방고정홈 및 상기 차륜고정홈(미도시)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연결연장부(4a)의 정렬홀(4b)과 각 상기 고정홈(11a)이 한번에 자동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고정장치(50)의 착탈구(51)가 삽입되기만 하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검사프레임(10)에 신속 용이하게 가고정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검사프레임(10)측으로 이동되어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각 연결연장부(4a)의 정렬홀(4b)과 각 고정부(11)의 고정홈(11a)이 한번에 자동 정렬된 상태에서 착탈고정장치(50)의 착탈구(51)가 삽입되면 정밀검사 수행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므로 검사준비에 소요되던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므로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검사부(40)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램프(5)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램프검사부(40)가 각 상기 램프(5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5)는 간단한 모델 변경 내지 제품의 사양에 따라 빈번히 그의 설계가 변경된다. 이러한 설계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검사부(40)는 미세한 설계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5)를 감싸며 배치되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의 외면에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램프검사부(40)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이 접촉되도록, 외면에 기설정된 검사치수(r)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높이로 연장 돌설되는 검사평면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계측기구(미도시)는 다이얼게이지 또는 마이크로스코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평면부(41)의 외면은 상기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 일측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 외면과 상기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 타측 간의 검사치수(r)를 검사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검사평면부(41)의 외면은 곡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의 최외곽 외면에 접하는 가상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검사치수(r)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램프(5)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40)의 외면에 기설정된 검사치수(r)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높이로 검사평면부(41)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이 접촉되므로 상기 램프(5)의 치수 오차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검사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과 상기 램프(5) 외면 간의 간격인 상기 검사치수(r)가 기설정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램프(5)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평면부(41)가 곡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램프(5)의 최외곽 외면에 접하는 가상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검사치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계측기구(미도시)의 바닥을 상기 검사평면부(41)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검사치수(r)를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검사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총합검구(100)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가 상기 검사프레임(10)에 최종 가고정되도록 연결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착탈고정장치(5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고정장치(50)는 착탈구(51)와, 결합부(52,53)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착탈구(51)는 하단 외주에 후술되는 스크류체결홀에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되기 위한 스크류체결부(51a)가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를 조임 가압하기 위해 후술되는 확장단턱(52a)를 가압하도록 길이방향 중앙부에 가압단턱(51b)이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구(51)의 상부에는 검사작업자가 그립할 수 있는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체결부(51a)는 상기 착탈구(51)의 하단 외주에 나선형으로 일체로 확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체결홀의 내주는 상기 스크류체결부(51a)의 형상에 대응되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체결부(51a)는 조밀하게 형성된 나사산이 아닌, 기설정된 회전반경만큼 회전시 걸림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검사작업자가 상기 착탈구(51)의 헤드부를 그립하여 상기 스크류체결부(51a)를 상기 스크류체결홀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90~180°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착탈구(51)가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검사작업자가 상기 착탈구(51)를 반시계방향으로 90~180°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크류체결부(51a)가 상기 스크류체결홀로부터 신속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구(51)에는 상기 스크류체결홀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 걸림되도록 상기 스크류체결홀의 상단 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단턱(51c)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크류체결부(51a)가 상기 스크류체결홀에 걸림 체결시 상기 스토퍼단턱(51c)이 상기 스크류체결홀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착탈구(51)의 회전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53)는 상기 고정부(11)에 연결되되 상기 스크류체결부(51a)가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되도록 상기 스크류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를 조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단턱(51b)에 의해 조임 가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52,53)는 스크류삽입부(53)와, 클램프조임부(5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삽입부(53)는 상기 고정부(11)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11a)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되는 제1경사접촉부(53b)를 제외한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하부 높이는 상기 고정홈(11a)의 함몰 깊이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삽입부에는 복수개의 고정체결부(53c)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고정체결부(53c)는 상기 고정홈(11a)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정렬되어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크류삽입부(53)가 상기 고정부(11)의 고정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스크류체결부(51a)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스크류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경우에 따라 홈의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스크류삽입부(53)에는 상기 정렬홀(4b)에 삽입되도록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체결홀을 감싸며 일체로 상향 연장되되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의 내경은 상기 착탈구(51)의 하부 외주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착탈구(51)의 하단 직경을 초과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의 최대 외경은 상기 정렬홀(4b)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하부 외곽 테두리(53a)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에 형성된 상기 연결연장부(4a)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가 상기 정렬홀(4b)의 내측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램프조임부(52)는 상기 착탈구(51)가 통과되도록 반경방향 중앙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고정홈(11a)에 정렬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정렬홀(4b)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삽입부(53)에 정렬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램프조임부(52)는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상부에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하부 직경은 상기 정렬홀(4b)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하단에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에 가이드 형합되도록 제2경사접촉부(52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경사접촉부(53b) 및 상기 제2경사접촉부(52c)의 각 외면 프로파일은 상호간 형합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경사접촉부(52c)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경사접촉부(52c)의 내경은 상기 착탈구(51)의 하부 외주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착탈구(51)의 하단 직경을 초과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11)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제1경사접촉부(53b)에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제2경사접촉부(53b)가 가이드되며 삽입되기만 하면 상호간의 위치가 자동 정렬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조임부(52)에는 상기 정렬홀(4b)의 상부로 노출 배치된 상부에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볼트삽입홀(52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확장단턱(5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단턱(51b)에 대향되되 상기 가압단턱(51b)의 외경 미만의 내경으로 함몰단턱(52d)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상부가 상기 가압단턱(51b)에 의해 가압 조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크류삽입부(53)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고정홈(11a)에 상기 정렬홀(4b)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하부가 상기 정렬홀(4b)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삽입부(53)와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착탈구(51)가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반경방향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체결부(51a)가 상기 스크류체결홀에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압단턱(51b)이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상부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조임부(52)의 확장단턱(52a)이 상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전방프레임(4)에 형성된 상기 연결연장부(4a)의 상부, 즉 상기 정렬홀(4b)의 상단 테두리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삽입홀(52b)에 별도의 볼트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정렬홀(4b)의 상단 테두리를 더 가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체결부(51a)를 상기 고정부(11)에 고정된 상기 스크류삽입부(53)의 스크류체결홀에 삽입 후 회전시켜 걸림 체결시키기만 하면 상기 가압단턱(51b)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를 상기 확장단턱(52a)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임하여 가고정되는 간편한 구조로 정밀검사 준비 및 검사후 해체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수행되며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차량용 총합검구(100)를 통해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1)의 프론트캐리어(2), 범퍼빔(3), 전방프레임(4), 및 램프(5) 각각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 2: 프론트 캐리어
3: 범퍼빔 4: 전방프레임
5: 램프 10: 검사프레임
11: 고정부 12: 회전고정부
20: 레일부 30: 슬라이드장착부
31: 장착평면부 32: 걸림돌기
33: 장착홀 34: 범퍼빔체결홀
35: 안착걸림부 40: 램프검사부
41: 검사평면부 50: 착탈고정장치
51: 착탈구 52: 클램프조임부
53: 스크류삽입부 100: 차량용 총합검구

Claims (10)

  1.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검사프레임;
    상기 검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장착부; 및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장착부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1차 장착되는 장착평판부가 구비되되,
    상기 장착평판부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에 형성된 제1관통홀이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에 형성된 제2관통홀이 정렬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장착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장착부에는 상기 레일부에 의해 상기 검사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1차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장착부에 1차 장착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최종 가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검사프레임에는 상기 레일부가 관통 배치되도록 한쌍의 레일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레일관통공의 전방부에 상기 레일부를 안내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드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부에 최종 가고정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면이 고정되도록 회전고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검사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연장로드부와,
    상기 연장로드부의 단부에 일체로 절곡 연결되되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외면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7. 삭제
  8.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검사프레임;
    상기 검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장착부; 및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램프검사부에는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계측기구의 바닥이 접촉되도록, 외면에 기설정된 검사치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높이로 연장 돌설되는 검사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평면부의 외면은 상기 계측기구의 바닥 일측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과 상기 계측기구의 바닥 타측 간의 검사치수를 검사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되,
    곡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램프의 최외곽 외면에 접하는 가상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검사치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9. 검사대상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외곽이 가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가 구비되며, 실제차량의 차체프레임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검사프레임;
    상기 검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장착되어 상기 검사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장착부; 및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면 프로파일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의 램프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램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가 상기 검사프레임에 최종 가고정되도록 연결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착탈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탈고정장치는
    하단 외주에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되기 위한 스크류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를 조임 가압하도록 길이방향 중앙부에 가압단턱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착탈구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되 상기 스크류체결부가 착탈식으로 걸림 체결되도록 스크류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를 조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단턱에 의해 상부가 조임 가압되는 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되, 중앙부에 상기 스크류체결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상기 스크류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스크류삽입부와,
    상기 스크류삽입부의 상부에 정렬 배치되되, 상기 착탈구가 통과되도록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에 형성된 정렬홀의 상부로 노출된 상부에 상기 차량용 부분품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단턱이 형성되는 클램프조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총합검구.
KR1020190122456A 2019-10-02 2019-10-02 차량용 총합검구 KR10224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56A KR102246069B1 (ko) 2019-10-02 2019-10-02 차량용 총합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56A KR102246069B1 (ko) 2019-10-02 2019-10-02 차량용 총합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99A KR20210039799A (ko) 2021-04-12
KR102246069B1 true KR102246069B1 (ko) 2021-04-29

Family

ID=7543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56A KR102246069B1 (ko) 2019-10-02 2019-10-02 차량용 총합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8B1 (ko) 2005-06-21 2007-09-14 (주)학림 차량 내외장 종합 검사구
KR100911388B1 (ko) * 2007-11-16 2009-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방 검사장치
KR101010670B1 (ko) * 2008-08-04 2011-01-24 형제테크(주)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 검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99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97774U (zh) 一种汽车零部件孔位检测定位一体工装
CN206710084U (zh) 衬套测试工装
CN101815601A (zh) 多片自动铺丝心轴自动夹紧和分度系统
CN102528426B (zh) 一种冷却风扇压接装置
KR102246069B1 (ko) 차량용 총합검구
KR101010669B1 (ko) 차량용 프론트 캐리어 검사구
CN106767251B (zh) 发动机舱检测焊接装置的侧部检测定位机构
KR20240054667A (ko)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용 총합검사구
CN106643379A (zh) 一种检具夹紧定位检测装置及其检具
KR102253810B1 (ko) 차량용 헤드라이닝 검사구
CN219415972U (zh) 汽车空调管路总成的工装检具
CN111774616B (zh) 三维投影辅助装配工装
CN207547990U (zh) 一种焊接定位装置
CN209410356U (zh) 装配型架
CN209342392U (zh) 一种用于转向器装配和性能测试的组合式工装夹具
CN107599997B (zh) 用于车辆迎宾踏板饰条的定位工装
KR101010670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 검사구
CN107538085B (zh) 大型非金属复合材料锥形舱体的加工方法
CN220524923U (zh) 检具
CN116294893A (zh) 汽车空调管路总成的检测方法
CN219776661U (zh) 一种三坐标测量用定位夹具
CN220825983U (zh) 台架装置
CN215374521U (zh) 一种后防撞梁总成检具
CN216954281U (zh) 一种商用车保险杠总成综合检具
CN218155840U (zh) 一种激光雷达开口检测治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