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628Y1 -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 Google Patents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628Y1
KR200264628Y1 KR2020010034962U KR20010034962U KR200264628Y1 KR 200264628 Y1 KR200264628 Y1 KR 200264628Y1 KR 2020010034962 U KR2020010034962 U KR 2020010034962U KR 20010034962 U KR20010034962 U KR 20010034962U KR 200264628 Y1 KR200264628 Y1 KR 200264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handle
wet tissu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2020010034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62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티슈용 포대에서 물티슈 인출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선단 중앙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32)을 갖는 걸림테(31)가 하면에 형성되는 뚜껑체(3)와; 상기 뚜껑체(3)가 안착되는 안착부(41)가 상면에서 가장자리의 내측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안착부(41)의 내측에는 물티슈용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42)의 주연부에는 상기 걸림턱(32)이 록킹되는 걸이턱(44)을 가지며 상기 걸림테(31)가 감싸지는 걸이테(43)가 형성되어 상기 포대(1)에 부착고정되는 본체(4)와; 상기 뚜껑체(3)와 본체(4)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뚜껑체(3)가 본체(4)의 개구(42)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5);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뚜껑체(3)의 선단 중앙에는 손잡이부(33)가 일체로 형성되되, 손잡이부(33)의 양단에는 회동시 상기 본체(4)의 안착부(41)의 상면과 반작용되어 상기 뚜껑체(3)의 걸림턱(32)을 본체(4)의 걸이턱(44)에서 이탈시키는 누름부(34)가 하향 돌출형성되어 힌지부(35)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뚜껑체(3)의 개방시에 손잡이부(33)를 힌지부(35)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누름부(34)가 본체(4)의 안착부(41) 상면에 가하는 힘이 뚜껑체(3)에 반작용되어 용이하게 뚜껑체(3)를 개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lid of wet tissue pack}
본 고안은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 재질로 제조된 포대에 적용되어 개폐가 원활하게 실시되는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티슈는 유아용 이외에도 각종 용도에 의하여 많이 애용되고 있는 바, 물티슈가 수납되어 있는 용기가 통상 플라스틱재질이기 때문에 물티슈의 사용후에 포대는 폐기처분되므로 자원을 낭비함은 물론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물티슈의 포대를 비닐류로 대체하고 있으나, 비닐류로 제조된 포대는 물티슈 인출구를 차단하기 위한 덮개가 통상적으로 테이프이므로 한번 테이프가 개봉되면 물티슈 인출구를 통해 포대내의 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물티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용되는 물티슈가 포함하고 있는 습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뚜껑의 원활한 개방동작을 구현하도록 한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덮개가 적용된 물티슈용 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의 뚜껑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뚜껑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뚜껑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티슈용 포대 2 ; 덮개
3 ; 뚜껑체 31 ; 걸림테
32 ; 걸림턱 33 ; 손잡이부
34 ; 누름부 35 ; 힌지부
4 ; 본체 41 ; 안착부
42 ; 개구 43 ; 걸이테
44 ; 걸이턱 5 ; 힌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 중앙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갖는 걸림테가 하면에 형성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서 가장자리의 내측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는 물티슈 인출구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록킹되는 걸이턱을 가지며 상기 걸림테가 감싸지는 걸이테가 형성되어 상기 포대에 부착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뚜껑체와 본체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뚜껑체가 본체의 개구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뚜껑체의 선단 중앙에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손잡이부의 양단에는 회동시 상기 본체의 안착부의 상면과 반작용되어 상기 뚜껑체의 걸림턱을 본체의 걸이턱에서 이탈시키는 누름부가 하향 돌출형성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덮개가 적용된 물티슈용 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용 덮개의 뚜껑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뚜껑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뚜껑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는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는 연질의 비닐류로 제조된 포대(1)의 상면 즉, 물티슈 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덮개(2)를 부착하여 물티슈를 인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포대(1)에 수용된 물티슈가 포함하고 있는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덮개(2)는 포대(1)에 부착되는 본체(4)와, 본체(4)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부(5)가 후단부에 결합되어 포대(1)의 상면에 형성된 물티슈 인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4)의 상면 가장자리의 내측에는 뚜껑체(3)와 형합되는 대략 장방형의 안착부(41)가 요입형성되어 있고, 안착부(4)의 내측에는 물티슈 인출구가 노출되도록 대략 장방형의 개구(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42)의 주연부에는 걸이테(43)가 형성되어 있고, 걸이테(43)의 외주면에서 선단 중앙에는 걸이턱(44)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뚜껑체(3)의 하면에는 뚜껑체(3)를 닫아주었을 때, 본체(4)의 걸이테(43)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걸림테(31)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테(31)의 외면에서 걸이턱(44)과 대응되는 선단 중앙부에는 걸이턱(44)에 착탈되어 뚜껑체(3)를 본체(4)에 고정시키는 걸림턱(32)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뚜껑체(3)의 전면 중앙에는 손잡이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손잡이부(33)의 양단부에는 뚜껑체(3)와 하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누름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33)는 뚜껑체(3)와 원호형의 힌지부(35)로 연결되어손잡이부(33)를 회동시 누름부(34)가 회동되면서 본체(4)의 안착부(41)의 상면과 반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4)의 전방측 중앙부에는 뚜껑체(3)의 손잡이부(33)가 안착되는 안착홈(45)이 절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해 덮개의 뚜껑체가 개방되는 작용을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뚜껑체가 닫혀있는 상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체(3)의 걸림턱(32)이 본체의 걸이턱(44)에 규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뚜껑체(3)는 본체(4)의 안착부(41)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손잡이부(33)의 누름부(34)의 하면은 본체(4)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뚜껑체의 개방시 손잡이부(33)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손잡이부(33)는 원호형의 힌지부(3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들려지게 되며, 이때 손잡이부(33)의 양측 누름부(34)도 동시에 들려지면서 누름부(34)의 하단 선단부가 본체(4)의 안착부(41) 상면과 접촉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며, 안착부(41)에 가해지는 힘의 반작용에 의하여 손잡이부(33)는 누름부(34)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더욱 상승된다.
손잡이부(33)에 상승에 의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2)이 동시에 들려지면서 본체(4)의 걸이턱(44)에서 걸림턱(32)이 이탈되며, 걸림턱(32)이 완전히 이탈되면 뚜껑체(3)는 이미 본체(4)와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손잡이부(33)를 계속해서 상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힌지부(5)를 중심으로 뚜껑체(3)가 개방되는 것이다.
뚜껑체(3)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티슈 인출구(미도시)에서 물티슈를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물티슈의 사용 후에 물티슈 인출구를 차단하기 위해 뚜껑체를 닫는 동작은 뚜껑체(3)을 회동시켜 본체(4) 위에 위치시키고, 손잡이부(33)를 눌러주면 뚜껑체의 걸림턱(32)의 하면이 본체의 걸이턱(44)의 상면을 타고 들어가면서 걸림턱(32)이 걸이턱(44)의 하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걸이턱(44)에 규제됨으로써 록킹상태가 되므로 뚜껑체(3)는 본체(4)에 결합되면서 안착부(41)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는 합성수지재가 아닌 연질재로 제조된 물티슈용 포대에 적용되어 물티슈 인출구를 통해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물티슈를 사용하더라도 품질이 저하되지 않아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물티슈용 덮개는 뚜껑체의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불편함이 없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 중앙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32)을 갖는 걸림테(31)가 하면에 형성되는 뚜껑체(3)와;
    상기 뚜껑체(3)가 안착되는 안착부(41)가 상면에서 가장자리의 내측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안착부(41)의 내측에는 물티슈 인출구를 노출시키는 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42)의 주연부에는 상기 걸림턱(32)이 록킹되는 걸이턱(44)을 가지며 상기 걸림테(31)가 감싸지는 걸이테(43)가 형성되어 상기 포대(1)에 부착고정되는 본체(4)와;
    상기 뚜껑체(3)와 본체(4)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뚜껑체(3)가 본체(4)의 개구(42)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5);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뚜껑체(3)의 선단 중앙에는 손잡이부(33)가 일체로 형성되되, 손잡이부(33)의 양단에는 회동시 상기 본체(4)의 안착부(41)의 상면과 반작용되어 상기 뚜껑체(3)의 걸림턱(32)을 본체(4)의 걸이턱(44)에서 이탈시키는 누름부(34)가 하향 돌출형성되어 힌지부(35)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물티슈용 용기의 덮개.
KR2020010034962U 2001-11-14 2001-11-14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KR200264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62U KR200264628Y1 (ko) 2001-11-14 2001-11-14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62U KR200264628Y1 (ko) 2001-11-14 2001-11-14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628Y1 true KR200264628Y1 (ko) 2002-02-16

Family

ID=7311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62U KR200264628Y1 (ko) 2001-11-14 2001-11-14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62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76B1 (ko) * 2015-06-25 2016-01-07 박명규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커버 장치
KR102016445B1 (ko) 2018-03-05 2019-08-3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중 티슈팩용 캡 및 이러한 캡이 적용된 이중 티슈팩
KR20210133094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소독티슈 덮개부재
KR102322394B1 (ko) 2021-02-19 2021-11-0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KR20230054175A (ko) 2021-10-15 2023-04-24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76B1 (ko) * 2015-06-25 2016-01-07 박명규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커버 장치
KR102016445B1 (ko) 2018-03-05 2019-08-3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중 티슈팩용 캡 및 이러한 캡이 적용된 이중 티슈팩
KR20210133094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소독티슈 덮개부재
KR102322394B1 (ko) 2021-02-19 2021-11-05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KR20230054175A (ko) 2021-10-15 2023-04-24 홍성용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007070B1 (pt) recipiente com uma tampa.
TW201636281A (zh) 具有吸管之上蓋
KR200264628Y1 (ko)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JP4536881B2 (ja) 蓋付き包装用紙箱
JP2007501681A (ja) 新規な装置
JP3554920B2 (ja) ヒンジ付きワンピースキャップ
JP3770447B2 (ja) 蓋付き注出キャップ
JP3936416B2 (ja) 容器
JPH10338260A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KR200217611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80270Y1 (ko) 물티슈 용기
JP2002211613A (ja) 液体容器の吸い口付き栓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91952Y1 (ko) 물티슈 포장팩용 캡
JP3677676B2 (ja) ヒンジ付キャップ
KR200327519Y1 (ko) 측방으로 회전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갖는 미용용구 케이스
JP3676461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362252B2 (ja) 液体容器の口部栓体
JP3708327B2 (ja) 気密性容器
JP3887631B2 (ja) 液状化粧品の吐出孔開閉構造
JP4425425B2 (ja) バージン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リングパーツ付き)
JP2522240Y2 (ja) 注出口体付き包装容器
KR200304787Y1 (ko) 분유통용 뚜껑
JP3519148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3806822B2 (ja) 組合せ開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