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87Y1 - 분유통용 뚜껑 - Google Patents

분유통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87Y1
KR200304787Y1 KR20-2002-0033282U KR20020033282U KR200304787Y1 KR 200304787 Y1 KR200304787 Y1 KR 200304787Y1 KR 20020033282 U KR20020033282 U KR 20020033282U KR 200304787 Y1 KR200304787 Y1 KR 200304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upport
milk powder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영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텍 filed Critical (주) 에이텍
Priority to KR20-2002-0033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통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유통의 뚜껑을 개봉하는 경우 뚜껑이 분유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분유통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상단 둘레에 홈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걸림턱이 구비된 통상의 분유통과, 상기 분유통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분유통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 내측벽 둘레에 구비된 걸림 돌기가 상기 분유통의 홈부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유통의 외측 둘레를 공회전하는 지지체와, 내측벽 둘레 하부로 상기 분유통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밀폐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의 상부로 적층되되, 상기 밀폐 돌기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힌지편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외측 하부 둘레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 둘레가 테이프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유통용 뚜껑{A cap of the dried milk can}
본 고안은 분유통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유통의 뚜껑을 개봉하는 경우 뚜껑이 분유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분유통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유통의 뚜껑은 뚜껑에 절취체가 형성되고, 절취 손잡이 부분을 두어 상기 절취체를 제거하여 뚜껑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유통의 뚜껑(9)은 절취띠 형식의 절취체(91)를 형성하고 뚜껑을 닫았을 때 뚜껑의 내부 단턱(미도시)이 분유통의 상단 굴곡부에 밀착되며 절취체 부분이 분유통에 형성된 홈에 밀착되도록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봉 후 뚜껑으로 사용되는 부분(A)과 절취체의 연결 부분(B)에 절취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절취 손잡이(92)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절취홈(미도시)을 따라 절취체(91)가 손쉽게 제거되고 남은 부분(A)은 뚜껑으로 사용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분유통 뚜껑은 상기 절취체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분유통에서 분리된 뚜껑이 분실될 염려가 발생하고,뚜껑 자체가 분유통에서 분리되므로 분리된 뚜껑이 방안이나 주방 등과 같은 주거 공간 내에 어지럽게 돌아다닌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뚜껑의 하단부에 절취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초에 분유통을 개봉하는 경우 상기 절취체에 형성된 소형의 절취 손잡이를 이용하여 분유통을 감싸고 있는 절취체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분유를 탈 때마다 뚜껑 전체를 열고 사용함으로써, 분유통의 내부로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어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분유통의 최초 개봉 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개봉된 분유통의 뚜껑을 여는 경우 뚜껑이 분유통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유통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의 전체가 아닌 일 부분만을 개폐할 수 있는 분유통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개방 전의 상태도,
도 3b는 개방 후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개방 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종래 분유통용 뚜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부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11 : 커버
111 : 밀폐 돌기 112 : 힌지편 113 : 절곡홈부 114 : 절개부
12 : 지지체
121 : 걸림 돌기
13 : 테이프
5 : 분유통
51 : 걸림턱 52 : 홈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상단 둘레에 홈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걸림턱이 구비된 통상의 분유통과, 상기 분유통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분유통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 내측벽 둘레에 구비된 걸림 돌기가 상기 분유통의홈부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유통의 외측 둘레를 공회전하는 지지체와, 내측벽 둘레 하부로 상기 분유통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밀폐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의 상부로 적층되되, 상기 밀폐 돌기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힌지편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외측 하부 둘레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 둘레가 테이프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커버와 지지체를 동시에 테이핑하고 있는 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분유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지지체에 뚜껑의 일측이 힌지편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뚜껑을 개봉하더라고 분유통과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개방 구조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개방 구조를 보인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상단 둘레에 홈부(52)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걸림턱(51)이 구비된 통상의 분유통(5)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홈부(52)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지지체(12)와 상기 걸림턱(51)에 대응하는 밀폐 돌기(111)를 갖는 커버(11)는 힌지편(112)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지지체(12)와 커버(11)의 상, 하부는 테이프(13)에 의해 테이핑 된다.
즉 상기 커버(11)와 지지체(12)는 테이프(13)에 의해 외측 둘레가 상호 연결되어 상, 하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1)와 지지체(12)는 자체 신장력을 가지는 탄성을 갖는 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지지체(12)는 상기 분유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홈부(52)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홈부(52)에 상응하는 위치로 내측벽 둘레에 걸림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121)가 상기 분유통의 홈부(52)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홈부(52)를 따라 상기 분유통의 외측 둘레를 공회전한다. 즉 상기 걸림 돌기(121)의 일측을 급경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분유통의 홈부(52)에 걸림 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1)는 상기 분유통 개구부의 외측 둘레를 수용하며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벽 둘레 하부로 상기 분유통의 걸림턱(51)에 대응하는 밀폐 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1)는 상기 밀폐 돌기(111)의 일측 하부로 힌지편(112)이 연장 구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편(112)을 통해 상기 지지체(12)와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를 개봉하더라도 분유통과분리가 되지 않고 분유통의 상단 일측으로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뚜껑을 구성하고 있는 커버가 분유통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체와 힌지편을 통해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뚜껑을 개봉하더라도 종래와는 달리 뚜껑이 분유통에서 이탈되지 않아 뚜껑이 방안이나 주방 등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을 구성하고 있는 커버와 지지체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결함으로써, 뚜껑의 마감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시 매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11)와 지지체(12)를 분유통의 개구부에 억지끼움 하여 체결하고, 상기 커버(11)와 지지체(12)를 테이프(13)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의 개방 구조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개방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개방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를 제거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유통의 뚜껑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뚜껑을 구성하고 있는 지지체(12)의 걸림 돌기(미도시)가 분유통(5)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부(미도시)에 삽입되어 밀착되어 있으며, 힌지편(112)에 의해 상기 지지체(12)와 일체화되어 있는 커버(11)에 형성된 밀폐 돌기(미도시)는 상기 분유통의 개구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에 결함되어 분유통의 개구부를 수용, 밀폐하고 있다.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억지끼움 결합되어 있던 커버의 일측, 즉 힌지편의 반대측을 위로 잡아당기면 상기 커버(11)가 개방되는데, 이 때 상기 뚜껑(1)를 구성하는 커버(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편(112)에 의해 뚜껑이 회전하며 열리게 되고, 열린 커버(11)는 상기 힌지편(112)에 의해 지지체(12)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분유통에서 분리가 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은 뚜껑의 커버(11)와 지지체(12)가 힌지편(112)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11)와 지지체(12)가 테이프(13)에 의해 연결 구성됨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상이함이 없으나,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커버(11)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부분을 개방하기 위하여 그 내측면에 절곡홈부(1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곡홈부(113)가 연장된 커버 둘레의 측벽이 절개된 절개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는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의 개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곡홈부(113)를 중심으로 일 부분만이 절곡되어 개방되며, 커버(11) 둘레의 측벽에 형성된 절개부(114)를 통해 커버의 변형 없이 원형을 유지하며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전체 개폐가 아닌 부분 개폐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부분 개폐에 따라 커버를 열어둔 상태에서 분유통 내부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전체적으로 개폐되는 뚜껑에 비하여 현격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용 뚜껑은 커버가 분유통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체와 힌지편을 통해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뚜껑을 개봉하더라도 종래와는 달리 뚜껑이 분유통에서 이탈되지 않아 뚜껑이 방안이나 주방 등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을 구성하고 있는 커버와 지지체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결함으로써, 뚜껑의 마감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시 매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 내측으로 절곡홈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개폐가 아닌 부분 개폐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부분 개폐에 따라 커버를 열어둔 상태에서 분유통 내부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전체적으로 개폐되는 뚜껑에 비하여 현격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

  1. 상단 둘레에 홈부(52)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걸림턱(51)이 구비된 통상의 분유통(5)과, 상기 분유통(5)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뚜껑(1)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분유통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은 :
    내측벽 둘레에 구비된 걸림 돌기(121)가 상기 분유통의 홈부(52)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유통의 외측 둘레를 공회전하는 지지체(12)와,
    내측벽 둘레 하부로 상기 분유통의 걸림턱(51)에 대응하는 밀폐 돌기(111)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12)의 상부로 적층되되, 상기 밀폐 돌기(11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힌지편(112)에 의해 상기 지지체(12)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커버(11)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11)의 외측 하부 둘레와 상기 지지체(12)의 상부 둘레가 테이프(13)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지용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는 :
    일 부분을 개방하기 위하여 그 내측면에 절곡홈부(1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곡홈부(113)가 연장된 커버 둘레의 측벽에 절개부(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지용 뚜껑.
KR20-2002-0033282U 2002-11-07 2002-11-07 분유통용 뚜껑 KR200304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82U KR200304787Y1 (ko) 2002-11-07 2002-11-07 분유통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82U KR200304787Y1 (ko) 2002-11-07 2002-11-07 분유통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87Y1 true KR200304787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282U KR200304787Y1 (ko) 2002-11-07 2002-11-07 분유통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US6685046B2 (en) Food preservative container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2004529039A5 (ko)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304787Y1 (ko) 분유통용 뚜껑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KR200264628Y1 (ko)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JPH1059501A (ja) 密封容器の蓋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KR200340188Y1 (ko) 음식물 보관용기
JP4688998B2 (ja) 気密容器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4686331B2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H08196323A (ja) 弁当箱
KR20022167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