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85Y1 -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85Y1
KR200260185Y1 KR2020010017652U KR20010017652U KR200260185Y1 KR 200260185 Y1 KR200260185 Y1 KR 200260185Y1 KR 2020010017652 U KR2020010017652 U KR 2020010017652U KR 20010017652 U KR20010017652 U KR 20010017652U KR 200260185 Y1 KR200260185 Y1 KR 200260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terial
mold
core
core materia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현
Original Assignee
김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현 filed Critical 김택현
Priority to KR2020010017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85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headlining) 표피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간금형으로 성형된 자동차 헤드라이닝 심재에 표피재를 접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심재에 보존된 잠열로 표피재의 표면에 코팅된 핫멜트필름(hot melt film)을 녹여 심재의 상측 및 심재의 테두리 하측에 표피재를 접착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심재의 상측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냉간금형 과정과 심재의 테두리부 하측에 상기 표피재를 접곡시켜 접착되게 하는 폴더백과정이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표피재의 접착상태가 개선되고 작업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car headlining skin layer adhesion equipmen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headlining) 표피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간금형으로 성형된 자동차 헤드라이닝 심재에 표피재를 접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심재에 보존된 잠열로 표피재의 표면에 코팅된 핫멜트필름(hot melt film)을 녹여 심재의 상측 및 심재의 테두리 하측에 표피재를 접착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심재의 테두리 뒷면에 표피재를 감싸 부착하는 장치를 폴드백장치라고 한다.
상기 폴드백장치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자동차의 천정부분에 위치하는 헤드라이닝의 심재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심재에는 표피재가 부착되어 자동차의 천정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표피재는 도1과 같은 심재에 붙일 수 있도록 표피재의 접착면에 핫멜트필름을 부착시켜 놓는다.
상기 핫멜트필름은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면 녹아서 접착성을 가지는 필름인데, 상기와 같이 표피재에 핫멜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핫멜트필름을 녹인 다음 가압하여 표피재를 심재에 부착한다.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분에서는 표피재가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표피재를 심재의 안쪽으로 접어 심재의 뒷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심재의 테두리 뒷면까지 표피재를 감싸 부착하는 장치를 일반적으로 폴드백장치라고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닝(headlining) 폴드백(fold back; 접곡 접착)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로써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출원 (20-2000-0029223)이 있다.
상기 출원에서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심재의 테두리부 잠열을 보존시키면서, 상기 잠열로 표피재를 심재의 테두리 뒷면에 부착시키는 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출원은 심재에 보존된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표피재를 심재의 상측에 압착접합시키는 냉간금형으로 생산되는 상기 표피재와 심재가 접합된 접합물을 폴더백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심재의 테두리부를 재가열하고 상기 표피재를 접곡 접착시키는 폴더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2는 상기 선출원의 기술적 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 헤드라이닝 공정을 간략히 표현한 공정도이다.
도2a는 열금형(10,11)으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를 만드는 열간금형 이전의 모습이고 도2b는 상기 심재가 성형된 열간금형 이후의 모습이다.
도2a의 과정이 끝나면 도2b와 같이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55)가 성형되는데, 상기 심재(55)에는 열간금형 과정에서 가해진 열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열은 통상 200℃ 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도2c는 상기 심재의 상측에 표피재(50)를 위치시키고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접착을 위하여 가압시키는 냉간금형(40,41)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심재(55)에 보존된 열은 상기 표피재(50)의 하측에 코팅된 핫멜트필름을 녹혀 상기 표피재(50)에 접착력이 발생되게 하고, 상기 냉간금형의 가압력은 심재(55)와 표피재(50)의 접착압력을 제공시키게 된다.
도2d는 상기 도2c의 과정으로 생산되는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물이 도시된 것이다.
도2c까지의 공정은 자동차 헤드라이닝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시 이용되던 종래의 기술방식과 다를 바 없다.
선출원 실용신안출원 (20-2000-0029223)의 기술적 요지는 도2d에 도시된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물이 도2e에 도시된 접곡 접착된 완성품으로 가공되는 데 까지의 공정으로써, 심재의 테두리부에 보존된 잠열을 보존시키고 상기 표피재를 심재의 뒷부분으로 접곡시킨 후,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에 보존된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 뒷면에 상기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폴더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여기서 폴더백이란 '접어서 뒤로 붙인다'는 의미로써 표피재의 짜투리부분을 심재의 뒤로 접어서 접착시키는 당업계의 용어이다.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방식의 상기 선출원인 실용신안출원 (20-2000-0029223)의 폴더백 장치에 의하면, 최종 완성품이 생산되는 데까지 열간금형, 냉간금형, 폴더백의 세단계의 공정으로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은 작업시 심재의 이동이 2번 발생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자동화 과정에 수작업이 개입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표피재의 폴더백과 냉간금형이 동시에 진행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자동차의 천정부분에 위치하는 헤드라이닝의 심재의 일 예
도2는 종래기술방식의 공정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금형 110 : 제1접곡툴
150 : 가공면 200 : 하부주금형
250 : 하부부금형 255 : 히터
270 : 하부 부금형 실린더 300 : 나이프
350 : 수직접곡툴 400 : 수평접곡툴
500 : 심재 550 : 표피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헤드라이닝의 표피재가 상기 심재에 잔존된 잠열에 의하여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상측면에서 하강되어 열금형으로 성형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를 표피재와 함께 냉간 압착시키면서 상기 심재에 보존된 잠열로 상기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상금형과, 상기 심재의 하측면에서 상기 표피재를 접곡 접착시킬 테두리부를 제외한 심재의 하측을 가압지지 시키는 하부주금형과, 상기 심재의 하측면에서 상기 심재 하측의 테두리부를 독립적으로 압착시킴과 동시에 내장된 히터로 헤드라이닝 심재의 테두리부 잠열이 보존되도록 심재를 가열시키는 하부부금형과, 상기 상금형의 측단에 위치되어 상기 표피재의 접착이 완료되면 하강되어 상기 표피재를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에 접착시키기 적합한 크기로 재단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와 상금형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이프와 함께 수직운동되어 상기 재단된 표피재를 하측으로 소정부분 접곡시키는 수직접곡툴과, 상기 수직접곡툴이 표피재를 하측으로 접곡시킨 후 상기 나이프와 함께 상승되면 수평운동되어 상기 표피재를 하부 금형으로 접곡시키는 수평접곡툴과, 상기 수평접곡툴의 수평운동전에 상기 하부부금형을 하강시키고, 수평운동 종료후 복귀되면 상기 하부부금형을 상승시켜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와 접곡된 표피재를 가압시키는 하부부금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표피재가 심재의 상측 및 심재의 테두리부 하측에 동시에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도4, 도5, 도6, 도7은 본 고안의 기술적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제조에 있어서는 종래기술방식의 설명시에 기술한 바와 같이, 열간금형과 냉간금형을 거치게 된다.
이하의 설명은 열간금형이 종료된 심재의 가공에 관하여 임을 밝혀둔다.
도3, 도4, 도5, 도6, 도7에서 본 고안은 크게 상금형(100)과, 하부주금형(200)과, 하부부금형(250)과, 열나이프(300)와, 수직접곡툴(350)과, 수평접곡툴(400)과, 하부부금형 실린더(2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금형은 가공면이 표피재와 접촉되는 금형부이며 상기 하금형은 심재와 접촉되는 가공면을 가진 금형부이다.
도3은 자동차 헤드라이닝 심재(550)에 표피재(500)를 부착시키는 과정이 도시된 것이고, 도4는 상기 표피재(500)가 심재(550)의 상측에 접착된 후 재단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이며, 도5는 상기 표피재(500)의 접곡작업이 도시된 것이며, 도6는 상기 표피재(500)가 접곡 압착되는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도3에서 상기 심재(550)는 열금형과정이 종료된 직후의 상태로써 심재에 보존되는 잠열의 온도는 200℃에 이른다.
상기 표피재(500)는 표면에 열용융성 접착재가 코팅되어 있는데, 상기 접착재는 심재(550)에 보존된 상기 잠열에 의하여 용융됨으로써 접착 준비상태로 된다.
도3에서 상기 금형과정은 냉간금형으로써 열금형이 종료된 상기 심재(550)를 상기 표피재(500)와 함께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심재(550)의 상측에 표피재(500)를 접착시키는 과정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도3의 상기 상금형(100)은 심재와 표피재를 상온에서 금형으로 접착시키는 가공면(150)과 상기 심재및 표피재의 가공면(150)에서 소정이격되고 소정높이로 돌출된 제1접곡툴(110)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가공면(150)은 상기 심재와 표피재에 압착력을 제공시켜 접착되게 하는 부분으로 종래기술방식과 다를바 없다.
그러나 상기 제1접곡툴(110)은 상기 상금형(100)이 하강될 때, 상기 표피재를 하강방향으로 찍어 눌림으로써, 상기 표피재(500)가 상금형(100)의 하강방향으로 접곡되고자 하는 변형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변형력의 작용은 도4의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변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접곡툴(110)과 상기 가공면과의 이격거리는 표피재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압착시 가공면 외선을 따라 접곡선이 형성되어 상기 접곡선을 따라 접곡 변형력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하금형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하부 주금형(200)과 하부 부금형(250)으로 구성되어 심재(550)와 같은 크기의 가공면을 형성시킨다.
상기 하부 주금형(200)은 상기 심재의 하측면에서 상기 표피재를 접곡 접착시킬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을 하부 부금형과는 독립적으로 가압지지 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부금형(250)은 상기 심재의 하측에서 상기 헤드라이닝 심재(550) 하측의 테두리부를 압착시킴과 동시에 내장된 히터(255)로 헤드라이닝 심재(550)의 테두리부 잠열이 보존되도록 심재를 가열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부금형에는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255)가 내장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심재의 하측면을 가열시킨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이는 상기 심재(550)와 표피재(500)는 심재(550)에 보존된 잠열에 의하여 접착되는데, 도3의 공정은 냉간금형공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심재(550)에는 열손실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부 부금형에 내장된 히터(255)는 상기 열손실을 보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간금형과정 중에 상기 심재에서 상기 표피재가 접곡되어 부착될 부분인 테두리 부분에만 열을 가함으로써 잠열이 보전되게 한다.
도3의 공정으로 심재(550)의 상측에 상기 표피재(500)의 접착은 완료된다.
도4는 상기 냉간금형과정이 종료된 상기 표피재(500)를 나이프(300)를 이용하여 폴더백시킬 크기로 재단시키는 과정이다.여기서 폴더백이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접어서 뒤로 붙인다'는 의미로써 표피재의 짜투리부분을 심재의 뒤로 접어서 접착시키는 당업계의 용어이다.
상기 나이프(300)는 상기 상금형의 측단에 위치되어 상기 표피재(500)의 접착이 완료되면 하강되어 상기 표피재(500)를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에 접착시키기 적합한 크기로 재단시킨다.
상기 나이프(300)에는 열을 제공시켜 상기 표피재의 재단이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나이프는 소정온도가 가해지는 열나이프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나이프로 재단된 표피재는 도3의 과정에 형성된 변형력에 의하여 상금형의 하강방향으로 소정 접곡된다.
즉, 상기 상금형에 형성된 제1접곡툴(110)은 상기 나이프가 표피재를 재단시키면 1차적으로 표피재가 접곡되게 하는 변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나이프(300)와 상금형 사이에는 수직접곡툴(350)이 위치되는 데, 상기 나이프와 함께 수직운동되어 상기 나이프에 의하여 재단된 표피재(500)를 하측으로 소정각도로 재차 접곡시키게 된다.
상기 나이프(300)와 수직접곡툴(350)은 하나의 실린더에 의하여 동시에 수직운동된다.
즉, 상기 나이프(300)와 상기 수직접곡툴(350)은 함께 수직운동됨으로써 재단 및 하향접곡작업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접곡툴(350)은 나이프(300)의 날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되어 재단이 종료되고 난 후, 수직밀링 작업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5는 상기 재단과정이 종료된 표피재(500)에 수평밀링 작업을 실시하는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4 과정에서 상기 수직접곡툴(350)이 표피재(500)를 하측으로 접곡시킨 후 상기 나이프(300)와 함께 상승되면, 상기 수평접곡툴(400)이 수평운동되어 상기 표피재(500)를 심재의 하측으로 접곡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부금형(250)은 하강되어 상기 표피재가 접곡되는 공간을 만들어준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상기 표피재가 접곡되는 과정은, 제1접곡툴(110)에 의한 1차적인 접곡으로 상기 표피재에 상기 상금형의 하강방향으로 접곡 변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접곡툴(350)에 의하여 표피재를 상기 변형력 방향으로 접곡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평접곡툴(400)에 의하여 상기 표피재를 심재의 하측면으로 안내하는 수평접곡단계에 의하여 표피재의 접곡이 실시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5의 과정에 의하여 심재의 하측으로 접곡된 표피재(500)는 상기 하부부금형의 상승으로 심재의 하측 테두리부에 밀착되고, 상기 심재에 보존되는 잠열에 의하여 접착성분은 용융되며, 상기 하부부금형(250)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표피재(500)와 심재(550)는 접착 압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하부 부금형(250)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직운동하게 되는 데, 이는 상기 하부부금형(25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 부금형(250)에 힘을 제공시키는 하부 부금형 실린더(270)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상 설명된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심재의 상측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냉간금형과정과 테두리부분의 접곡 접착까지를 하나의 공정으로 완료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간금형 과정과 표피재의 접착과정이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표피재의 접착상태가 개선되고 작업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헤드라이닝의 표피재가 상기 심재에 잔존된 잠열에 의하여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재(550)의 상측면에서 하강되어 열금형으로 성형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550)를 표피재(500)와 함께 상온압착시키면서 상기 심재에 보존된 잠열로 상기 표피재(500)를 접착시키는 상금형과;
    상기 심재(550)의 하측면에서 상기 표피재(500)를 접어서 접착시킬 (이하 폴더백이라함)부분인 심재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을 가압지지 시키는 하부주금형(200)과;
    상기 심재(550)의 하측면에서 상기 표피재(500)가 폴더백되는 심재의 테두리부를 상기 하부주금형과 독립적으로 가압지지 시킴과 동시에 내장된 히터(255)로 상기 심재의 테두리부에 잠열이 보존되도록 심재를 가열시키는 하부부금형(250)과;
    상기 심재와 상기 표피재(500)의 접착이 완료되면 상기 상금형(100)의 측단에 위치된 실린더에 의하여 하강되어 상기 표피재(500)를 상기 심재(550)의 테두리부에 폴더백시키기 적합한 크기로 재단시키는 나이프(300)와;
    상기 나이프(300)와 상금형(100) 사이에서 상기 나이프와 결합되어, 상기 나이프(300)와 함께 수직운동되면서 상기 재단된 표피재(500)를 하측으로 소정부분 접곡시키는 수직접곡툴(350)과;
    상기 수직접곡툴(350)이 표피재(500)를 하측으로 접곡시킨 후 상기 나이프(300)와 함께 상승되면 수평운동되어 상기 표피재(500)를 하부 금형으로 접곡시키는 수평접곡툴(400)과;
    상기 수평접곡툴(400)의 수평운동전에 상기 하부부금형(250)을 하강시키고, 수평운동 종료후 복귀되면 상기 하부부금형(250)을 상승시켜 상기 심재(550)의 테두리부와 접곡된 표피재(500)를 가압시키는 하부 부금형 실린더(2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표피재(500)가 심재(550)의 상측 및 심재의 테두리부 하측에 동시에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100)에는
    상기 심재및 표피재의 가공면(150)에서 소정이격되고 소정높이로 돌출된 제1접곡툴(110)이 형성되어
    상기 상금형(100)이 하강되어 심재와 표피재를 상온압착 시킬 때, 상기 표피재에 상금형의 하강방향으로 접곡하려는 변형력이 발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KR2020010017652U 2001-06-13 2001-06-13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KR200260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52U KR200260185Y1 (ko) 2001-06-13 2001-06-13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52U KR200260185Y1 (ko) 2001-06-13 2001-06-13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85Y1 true KR200260185Y1 (ko) 2002-01-10

Family

ID=7310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652U KR200260185Y1 (ko) 2001-06-13 2001-06-13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43B1 (ko) * 2012-09-13 2014-02-18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콘솔박스덮개의 외피밀착장치
KR101558603B1 (ko) 2009-12-0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닝 제조 방법
KR101673008B1 (ko) * 2015-07-16 2016-11-04 주식회사 신영 핫 프레스 포밍 가공물용 접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603B1 (ko) 2009-12-0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닝 제조 방법
KR101363943B1 (ko) * 2012-09-13 2014-02-18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콘솔박스덮개의 외피밀착장치
KR101673008B1 (ko) * 2015-07-16 2016-11-04 주식회사 신영 핫 프레스 포밍 가공물용 접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6716A (en) Method of producing interior material of corrugated cardboard
US6056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vy corrugated plastic construction
KR960017225A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9276A (ko) 자동차 인테리어용 헤드라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장치
KR101898014B1 (ko)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
KR200260185Y1 (ko) 자동차 헤드라이닝 표피재 접착장치
JP2008531322A (ja) 予備含浸合成物の部品の平面領域に圧伸成形点火孔を設けるプロセス
KR20160025136A (ko) 헤드라이닝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을 이용한 헤드라이닝 제조방법
JPH0349739B2 (ko)
JP2006503729A (ja) ポリウレタン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関連装置
JP3196167B2 (ja) 積層材の端末処理装置とその端末処理方法
JPH10291248A (ja) 積層材の端末処理装置とその端末処理方法
JPH0349740B2 (ko)
CA1211972A (en) Production for the manufacture of blanks and folding cartons
CN208759873U (zh) 汽车热压成型内饰件的三层生产模具
JP2696136B2 (ja) 差圧成形における同時裏貼加工方法
CN205905423U (zh) 一种汽车天窗密封条无缝对接装置
CA1057922A (en) Method of enveloping articles with thermoplastic strip material
JPH04359978A (ja) シートカバーの溝部接着方法
JPH03244524A (ja) 表装部材の端末処理方法
KR102274851B1 (ko) 합성수지제 창틀 프레임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CN218314157U (zh) 一种曼陀铃一体成型的压合制造设备
CN207842082U (zh) 车门前立柱芯材与皮质材料预粘贴装置
CN206106420U (zh) 塑料射出件的加工头结构及其加工机台
US20230092542A1 (en) Injection mold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