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669Y1 -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669Y1
KR200254669Y1 KR2020010024358U KR20010024358U KR200254669Y1 KR 200254669 Y1 KR200254669 Y1 KR 200254669Y1 KR 2020010024358 U KR2020010024358 U KR 2020010024358U KR 20010024358 U KR20010024358 U KR 20010024358U KR 200254669 Y1 KR200254669 Y1 KR 200254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plate
horizontal
trac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만
Original Assignee
우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만 filed Critical 우재만
Priority to KR2020010024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669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주써레판의 양단에 광폭의 보조써레판이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절첩될 수 있고 써레판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주써레판;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써레판; H형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트랙터의 링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설치된 한 쌍의 종축로드와 상기 한 쌍의 종축로드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연결된 횡축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횡축로드의 중앙에 작동실리더가 장착된 작동본체; 상기 횡축로드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수평조절수단; 상기 수평조절수단과 상기 주써레판을 연결하는 H형 지지빔; 상기 보조써레판을 절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빔상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유압작동수단; 및 상기 주써레판 및 보조써레판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조절수단과 상기 주써레판 사이에 연결된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A HARROW FOR TRACTOR HAVING DAMPING FUNCTION}
본 고안은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써레판의 양단에 광폭의 보조써레판이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절첩될 수 있고 써레판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랙터는 작업목적에 따라 트랙터의 힌지 및 또는 상, 하부링크에 트레일러, 쟁기, 로터리 개토기 및 써레 등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작업기에 또 하나의 다른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유효 적절하게 연결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상기 트랙터는 짐을 실어 나르는 운반작업, 로터리작업, 쟁기작업, 개토작업 및 써레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는 써레는 국내 실용 공고 제85-444호, 제87-1440호 및 제87-3551호와 같이 선행기술로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다수의 써레날이 형성된 써레 횡간을 유압실린더 혹은 핸들로 회동토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전답 저면의 경반층(경운되지 않은 부분) 요철에 의해 발생되는 트랙터의 전후 좌우 요동에 따라 반응하고 이로인해 써레질 후의 표면이 파도형으로 평탄치 못하여 이에 이양기로 모를 심으면 모가 물에 뜨거나 잠기는 경우가 많은 것이었다.
특히, 전답지면의 굴곡이 심하거나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써레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완충기능이 없기 때문에 써레판 자체에 무리를 주어 써레판이 휘거나 파손될 수도 있어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경비의 손실이 많아 비효과적이고 비능률적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한 번의 작동으로 주써레판의 양단에 설치된 보조써레판을 안정되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답지면의 굴곡요철에 따라 발생하는 써레판의 상하유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써레 양측의 수평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써레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실린더 20 : 작동본체
21 : 횡축로드 23 : 종축로드
27: 고정편 28 : 너트
29 : 볼트 30 : 지지빔
40 : 수평조절수단 41 : 수평조절대
43 : 수평조절판 44 : 힌지축
45 : 수평조절스프링 47 : 고정판
48 : 스프링지지로드 49 : 돌출편
50 : 완충수단 55 : 완충스프링
56 : 스프링지지로드 60 : 유압작동수단
61 : 유압로드 62 : 유압실린더
63 : 보조로드 65 : 제 1유체공급부
66 : 실린더본체 67 : 제 2유체공급부
68 : 유체공급관 80 : 주써레판
83 : 블레이드 85 : 결합편
89 : 압축스프링 90 : 보조써레판
91 : 회동판 92 : 블레이드
93 : 회동축 95 : 결합수단
110 : 링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주써레판;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써레판; H형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트랙터의 링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설치된 한 쌍의 종축로드와 상기 한 쌍의 종축로드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연결된 횡축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횡축로드의 중앙에 작동실리더가 장착된 작동본체; 상기 횡축로드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수평조절수단; 상기 수평조절수단과 상기 주써레판을 연결하는 H형 지지빔; 상기 보조써레판을 절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빔상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유압작동수단; 및 상기 주써레판 및 보조써레판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조절수단과 상기 주써레판 사이에 연결된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이 회동축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써레판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회동판; 및 상기 주써레판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써레판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을포함한다.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작동본체의 횡축로드와 평행하게 횡으로 설치되는 수평조절대; 일측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횡축로드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조절대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조절판; 상기 수평조절대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종축로드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판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지지로드; 및 상기 스프링지지로드에 지지되는 수평조절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작동수단은 유압에 의해 좌우로 수평운동을 하는 한 쌍의 유압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각각의 유압로드의 일단과 상기 회동판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수평조절대의 양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과 상기 주써레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편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지지로드; 및 상기 스프링지지로드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써레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는 경작용 트랙터의 링크(110)에 결합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써레판(80)과 보조써레판(90)을 구비하여 물논의 평탄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써레판(80) 및 보조써레판(90)에는 다수의 블레이드(83),(9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써레판(90)은 결합수단(95)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80)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써레판(80) 및 보조써레판(90)은 운전장치(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10)가 장착된 작동본체(20), 상하로 회동가능한 수평조절수단(40), 상기 수평조절수단(40)과 상기 주써레판(80)을 연결하는 H형 지지빔(30), 및 상기 보조써레판(90)을 절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빔(30)상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유압작동수단(60)에 의해 작동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완충수단(50)이 상기 수평조절수단(40)과 상기 주써레판(80) 사이를 연결시키면서 제공됨으로써, 상기 주써레판(80) 및 보조써레판(90)이 경작면의 굴곡부를 정리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작동본체(20)는 H형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종축로드(23)와 상기 한 쌍의 종축로드(23)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연결된 횡축로드(21)를 구비하는데, 상기 각각의 종축로드(23)의 일단에는 트랙터의 링크(1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횡축로드(21)의 중앙에는 작동실린더(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조절수단(40)은 상기 횡축로드(21)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써레판(80)과 상기 보조써레판(9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95)은 회동판(91)과 압축스프링(89)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회동판(91)은 그 일측이 회동축(93)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8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써레판(9)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압축스프링(89)은 상기 주써레판(80)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써레판(90)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써레판(90)의 절첩시에 상기 회동축(93) 및 회동판(91)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하로 회동가능한 수평조절수단(40)은 수평조절대(41), 수평조절판(43), 스프링지지로드(48), 및 수평조절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조절대(41)는 상기 작동본체(20)의 횡축로드(21)와 평행하게 횡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조절판(43)은 그 일측이 힌지축(4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횡축로드(21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상기 수평조절채(41)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로드(48)는 상기 수평조절대(41)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종축로드(23)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판(47)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조절스프링(45)이 상기 스프링지지로드(48)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조절대(41)가 항상 상기 작동본체(2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압작동수단(50)은 유압실린더(62)와 상기 유압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로드(63)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실린더(62)는 유압에 의해 좌우로 수평운동을 하는 한 쌍의 유압로드(61)를 가지고, 상기 보조로드(63)는 상기 각각의 유압로드(61)의 일단과 상기 회동판(91)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써레판(90)을 상기 주써레판(80)에 대해 절첩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62)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압실린더(62)는 상기 지지빔(30)의 횡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실린더본체(66)와 상기 실린더본체(66)의 양단부를 연결시키는 유체공급관(68)을 구비하는데, 상기 실린더본체(66)의 중앙부에는 제 1유체공급부(65)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공급관(68)의 중앙부에는 제 2유체공급부(6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50)은 상기 수평조절대(41)의 양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949)과 상기 주써레판(80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편(85)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지지로드(56)과, 상기 스프링지지로드(56)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필요한 때에 작업자가 본 고안의 써레를 트랙터의 링크(11)에 고정편(27)과 볼트(29) 및 너트(28)를 이용하여 고정결합시키고, 작동실린더(10)를 횡축로드(21)에 연결한다.
그 후에, 작업자는 운전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작동실린더(1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써레를 지면 근처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다른 운전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유압작동수단(60)을 작동시키는데, 보조써레판(90)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1유체공급부(65)에 유체가 공급되면 그 유체압에 의해 실린더본체(66) 내부의 피스톤(미도시)이 외부로 밀리고 유압로드(61)가 외부로 밀린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로드(61)에 연결된 보조로드(63)가 밀리면서 상기 회동판(91)을 외부쪽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그 회동판(91)이 일체로 결합된 보조써레판(90)이 상기 회동축(93) 및 주써레판(80)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그와 반대로, 상기 보조써레판(9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2유체공급부(67)에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본체(66)의 양단부에 유압이 걸려서 피스톤을 내부로 밀게 되고 유압로드(61)가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로드(63)가 내부쪽으로 잡아당겨지고 상기 회동판(91)이 내부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보조써레판(90)이 상기 회동축(93) 및 주써레판(80)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접혀지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보조써레판(90)이 펼쳐지면 상기 작동실린더(10)를 이용하여 상기 써레가 지면에 맞닿도록 하여 경작면의 평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조절수단(40)에 의해 본 고안의 써레는 항상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려고 하고, 최종적으로 완충수단(50)에 의해 지면의 굴곡에도 큰 저항없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써레판 및 다른 구성요소들이 크게 손상되지 않고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래는 한 번의 작동으로 주써레판의 양단에 설치된 보조써레판을 안정되게 절첩할 수 있다는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래는 경작지면의 굴곡요철에 따라 발생하는 써레판의 상하 유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써레 양측의 수평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블레이드(8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주써레판(80);
    결합수단(95)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80)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블레이드(9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써레판(90);
    H형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트랙터의 링크(1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7)이 설치된 한 쌍의 종축로드(23)와 상기 한 쌍의 종축로드(23)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연결된 횡축로드(21)를 구비하되, 상기 횡축로드(21)의 중앙에 작동실리더(10)가 장착된 작동본체(20);
    상기 횡축로드(21)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수평조절수단(40);
    상기 수평조절수단(40)과 상기 주써레판(80)을 연결하는 H형 지지빔(30);
    상기 보조써레판(90)을 절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빔(47)상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유압작동수단(60); 및
    상기 주써레판 및 보조써레판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조절수단(40)과 상기 주써레판(80) 사이에 연결된 완충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95)은,
    일측이 회동축(93)에 의해 상기 주써레판(8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써레판(90)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회동판(91); 및
    상기 주써레판(80)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써레판(9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8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40)은,
    상기 작동본체(20)의 횡축로드(21)와 평행하게 횡으로 설치되는 수평조절대(41);
    일측이 힌지축(4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횡축로드(21)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조절대(41)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조절판(43);
    상기 수평조절대(41)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종축로드(23)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판(47)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지지로드(48); 및
    상기 스프링지지로드(48)에 지지되는 수평조절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작동수단(50)은,
    유압에 의해 좌우로 수평운동을 하는 한 쌍의 유압로드(61)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62); 및
    상기 각각의 유압로드(61)의 일단과 상기 회동판(91)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압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로드(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50)은,
    상기 수평조절대(41)의 양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편(49)과 상기 주써레판(8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편(85)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지지로드(56); 및
    상기 스프링지지로드(56)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본체(20)의 고정편(27)은 볼트(29)와 너트(2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2020010024358U 2001-08-10 2001-08-10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200254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58U KR200254669Y1 (ko) 2001-08-10 2001-08-10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58U KR200254669Y1 (ko) 2001-08-10 2001-08-10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669Y1 true KR200254669Y1 (ko) 2001-12-01

Family

ID=7310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358U KR200254669Y1 (ko) 2001-08-10 2001-08-10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66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200254669Y1 (ko)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US6068062A (en) Flexible frame for a multi-section implement
CA2757092C (en) Agricultural sprayer boom having aligned mast and center section
US7513316B2 (en) Implement rear hitch height and attitude control
UA71925C2 (en) Lift wheel structure for a frame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CN103109600A (zh) 水田埋茬耕整机
EP0054047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boom structure
US6213219B1 (en) Compact hinge assembly for a folding implement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JP4764126B2 (ja) 耕耘整地作業機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CA1081022A (en) Implement with compensation for terrain irregularities
US4393943A (en) Telescoping carrier for forestry equipment
KR100228261B1 (ko) 트랙터용 써레
US20130062083A1 (en) Agricultural implement drawbar mechanism
US4253528A (en) Pivoting dual land wheel for a plow
KR200207911Y1 (ko) 접철형 써레
CN107493702B (zh) 一种旋耕平整复合作业机
KR200253213Y1 (ko)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JP2019122291A (ja) 農業用整地機の連結ユニット
JP2000300001A (ja) 農業用馬鍬
KR200230240Y1 (ko) 써레 연결 구조
KR200278603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