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240Y1 - 써레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써레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240Y1
KR200230240Y1 KR2020010002372U KR20010002372U KR200230240Y1 KR 200230240 Y1 KR200230240 Y1 KR 200230240Y1 KR 2020010002372 U KR2020010002372 U KR 2020010002372U KR 20010002372 U KR20010002372 U KR 20010002372U KR 200230240 Y1 KR200230240 Y1 KR 200230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lifting shaft
support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란
Original Assignee
김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란 filed Critical 김영란
Priority to KR2020010002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240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써레 연결구조가 써레 작업시 써레 자체의 상하 이동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써레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써레 사이를 접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지지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판 및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끝은 상기 브라케트에 부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승강축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앞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뒷부분에 연결되어 써레를 지지하는 지지체인과,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 및 상기 써레의 상측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인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됨으로써; 링크를 이용하여 써레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운반도중 써레가 흔들리지 않도록 함은 물론 승강축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력이 링크를 통해 써레로 전달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써레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써레 연결 구조{The harrow mounting}
본 고안은 트랙터나 경운기 등에 설치되고 자체 하중을 이용하여 땅을 평탄화시키는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터나 경운기에 써레를 연결할 때 써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 써레의 자체 하중보다 더 큰 힘으로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써레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동력장치의 후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고르지 못한 땅을 평탄화시키는 도구로, 예로부터 농사용구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옛날의 써레는 주로 나무 등으로 만들어졌으나, 근래에 이르러서는 동력장치로 경운기나 트랙터가 사용되고 보다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써레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광폭형 써레가 개발되었다. 광폭형 써레는 주 써레의 양측에 회전 가능한 보조 써레를 설치한 형식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주 써레의 내측에 보조 써레를 장착하고 유압을 이용하여 보조 써레를 가장자리측으로 밀어내는 유압 써레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한 유압 써레의 경우 트랙터나 경운기 등에 연결될 때 트랙터 등에 설치된 프레임과 써레 사이를 고정구로 연결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며, 운반시에는 고정구를 푼 상태에서 체인만을 이용하여 써레를 매단 형태로 운반하고 있다. 따라서, 평탄치 못한 농로 등을 이동할 때 써레가 상하좌우로 흔들리게 되고, 그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반시 써레가 흔들리지 않도록 프레임과 써레를 직접 연결하고 체인을 이용하여 써레를 지지하도록 한 써레 연결구조가 개발되었다. 이 써레 연결구조는 프레임과 써레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접철암을 이용하여 관절 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접철암이 회전되어 프레임과 써레가 견고하면서도 컴팩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써레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후미에 장착되는 로터리 커버(10)의 상부 양측에 브라켓(11)과 힌지 핀(12)에 의하여 접철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접철 프레임(21)과, 상기 접철 프레임(21)의 횡간(22)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보스(23)와, 상기 보스(23)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승강조절축(24) 및 상기 보스(23)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조절축(24)에 접촉되어 승강조절축(24)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쌍의 볼트(25)와, 상기 승강조절축(24)의 각 하단에 힌지축(27)으로 연결되고 관절운동에 의하여 접철되도록 한 써레 접철암(26)과, 써레(30)의 중앙부 상측 양편에 각각 설치된 고정걸이용 쇠사슬(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써레 연결구조는 작업시 써레 접철암(26)이 펼쳐진 상태가 되어 써레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운반시에는 써레 접철암(26)이 힌지축(27)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가 되어 견고하면서도 컴팩트하게 써레(30)와 접철 프레임(21)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특히, 운반시에는 상기 써레(30)의 중앙부 양측에 연결된 고정걸이용 쇠사슬(31)이 접철 프레임(21) 측에 결합되어 써레(30)가 운반도중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써레 연결구조는 트랙터에 연결된 접철 프레임과 써레가 단지 써레 접철암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써레 작업시 써레 자체의 상하 이동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써레 작업이 써레 자체의 하중을 이용한 작업이라 하더라도 트랙터와 같은 동력장치에 견고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트랙터에 의한 힘이 부가되어 써레 작업의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었으나, 동력장치와 써레 사이의 연결 형태가 관절 형태를 띠게 되는 경우 동력장치와 써레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져 써레 작업은 써레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써레 작업이 시행되는 땅의 굳기 등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력장치에 연결된 프레임과 써레를 연결함에 있어 접철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운반시 써레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써레 작업시 써레측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써레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써레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써레 연결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프레임 51 : 브라케트
54 : 승강축 55 : 스프링
56 : 링크 57 : 지지체인
58 : 지지편 59 : 후크
60 : 써레 60' : 보조 써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압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고 토지를 평탄화시키는 써레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상기 써레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써레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써레 사이를 접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지지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판 및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끝은 상기브라케트에 부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승강축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앞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뒷부분에 연결되어 써레를 지지하는 지지체인과,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 및 상기 써레의 상측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인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써레 연결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고 토지를 평탄화시키는 써레(60)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상기 써레(60)를 지지하는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50)과 써레(60) 사이를 접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고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50)에 지지판(52) 및 볼트(53)를 이용하여 고정된 브라케트(51)와, 상기 브라케트(51)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승강축(54)과, 상기 승강축(54)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끝은 상기 브라케트(51)에 부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승강축(54)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축(5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5)과, 일단은 상기 승강축(54)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60)의 앞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56)와, 일단은 상기 승강축(54)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60)의 뒷부분에 연결되어 써레(60)를 지지하는 지지체인(57)과, 상기 승강축(54)의 끝부분 및 상기 써레(60)의 상측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인(57)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지지편(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인(57)은 상기 승강축(54)의 지지편(58)에 볼트로 항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써레(60)의 지지편(58)에는 지지체인(57)의 끝부분에 설치된 후크(59)를 이용하여 필요시에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56)는 상기 승강축(54) 및 써레(60)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써레 연결구조는 승강축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한 스프링력이 써레측에 전달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록 한다.
트랙터 등의 동력장치에 써레(60)를 연결하여 써레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후크(59) 부분의 결합을 해제하여 프레임(50)과 써레(60)가 승강축(54)과 링크(56)에 의해서만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랙터의 이동에 따라 써레(60)가 자중을 이용하여 트랙터 등에 의한 로터리 작업이 완료된 땅을 평탄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로터리 작업이 완료된 땅이라 하더라도 굵은 돌 등이 있거나 땅의 굳기가 상당한 경우에는 써레(60)의 자중만으로는 평탄화 작업이 곤란하게 되며 써레(6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축(54)에 설치된 스프링(55)에 의하여 스프링력이 링크(56)를 통해 써레(60)로 전달되며, 써레(60)는 자중과 함께 링크(56)를 통해 전달된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땅을 평탄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강축(54)에 스프링(55)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 큰 힘으로 써레 작업이 수행되며, 그에 따라 작업성도 향상된다.
물론, 써레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경우 유압을 이용하여 써레(60)의 내측에 설치된 보조 써레(60')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유압장치 등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공지의 사실이므로 더 이상의 언급은 하지 않기로 한다.
써레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링크(56)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구조를 통해 링크(56)가 접어진 형태가 되도록 하고, 지지체인(57)의 끝부분에 있는 후크(59)를 써레(60)의 지지편(58)에 연결하여 운반도중 써레(60)가 흔들리지 않게 한다. 따라서, 써레(60)를 운반하는 도중 써레(60)의 흔들림은 최소화 되며,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고 충격에 의한 파손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써레 연결구조는 링크를 이용하여 써레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운반도중 써레가 흔들리지 않도록 함은 물론 승강축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력이 링크를 통해 써레로 전달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유압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고 토지를 평탄화시키는 써레와,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상기 써레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써레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써레 사이를 접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지지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판 및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끝은 상기 브라케트에 부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승강축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앞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써레의 뒷부분에 연결되어 써레를 지지하는 지지체인과, 상기 승강축의 끝부분 및 상기 써레의 상측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인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연결구조.
KR2020010002372U 2001-02-01 2001-02-01 써레 연결 구조 KR200230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72U KR200230240Y1 (ko) 2001-02-01 2001-02-01 써레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72U KR200230240Y1 (ko) 2001-02-01 2001-02-01 써레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240Y1 true KR200230240Y1 (ko) 2001-07-03

Family

ID=7309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372U KR200230240Y1 (ko) 2001-02-01 2001-02-01 써레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A (ko) 2017-06-28 2019-01-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판 무게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A (ko) 2017-06-28 2019-01-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판 무게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327A (en) Wingfold configuration
US4178998A (en) Folding mechanism for a multiple section agricultural implement
AU2006329713B2 (en) Agricultural implement comprising an improved hitch structure
US6382327B1 (en) Hinge structure for an implement
US4191260A (en) Folding wide pass draft implement
US4862971A (en) Sway limiting means for a tractor hitch
US6213219B1 (en) Compact hinge assembly for a folding implement
US6655468B2 (en) Device for attaching farm implements to a tractor
KR100200683B1 (ko) 트랙터용 써레
US7131502B1 (en) Implement mounting system
KR200230240Y1 (ko) 써레 연결 구조
CA1220068A (en) Hinge connection for folding cross axle
US6035941A (en) Tractor with a front loader
CA1050332A (en) Tillage tool wing folding kit
US4189010A (en) Power angling bulldozer assembly
JP2010200669A (ja) アーム連結型草刈機
KR102500244B1 (ko) 트랙터용 써레
JP2006025609A (ja) 農作業機
KR200221951Y1 (ko) 절첩식 써레
JP6076674B2 (ja) 代かき作業機
JP4344289B2 (ja) 農作業機
JP5225943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H0621286Y2 (ja) クイックヒッチ装置
JPH0720195Y2 (ja) ブルド−ザのブレ−ド取付装置
JPH0716773Y2 (ja) 作業用車輌における作業機のオフセッ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