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98Y1 - 전동차량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전동차량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98Y1
KR200253198Y1 KR2020010022139U KR20010022139U KR200253198Y1 KR 200253198 Y1 KR200253198 Y1 KR 200253198Y1 KR 2020010022139 U KR2020010022139 U KR 2020010022139U KR 20010022139 U KR20010022139 U KR 20010022139U KR 200253198 Y1 KR200253198 Y1 KR 200253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electric vehicle
rod roller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진 filed Critical 박수진
Priority to KR2020010022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9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량 출입문 앞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 승하차시 전철역 프렛 홈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을 안전발판이 놓여지고 내접하여서 안전을 구하는 것이다. 전동차량 출입구 하단 외부에 시린다(7')와 안전발판(1)이 결합한 장치를 장착하고 출입문 하단단부에 상대편에 롯드롤라(7)를 장착하여 전동차가 정차하여 출입문이 개문시, 안전 발판(1)의 중앙축 하단부에 시린다(7') 내에 상단에 설치한 중앙축(2')의 수쿠루 회전턱(5)을 출입문 하단 단부에 장착되여 있는 롯드롤라(7)가 억류중 개문초에 롯드롤라(7)가 수쿠루 회전턱(5)를 이탈하면 감증스르링(3)의 (26)반작용으로 안전발판(1)이 놓여질 때 안전 발판 회전축(28)이 회전과 동시에 중간축(20)의 기어로 말미아마 상단 회전축(2')까지 회전이 전달하여 상단 회전축(2')은 안전 발판(1)의 내접시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부터 안전 발판은 프렛홈의 높낮임과 전동차의 노링까지 방지하여 안전발판은 놓여지고 있는 것이다. 이때 감증스프링(3)의 (27)은 안전발판(1)의 하중을 감소하기에 보조 감증스프링(3')까지 설치하여 안전발판(1)이 안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후에 완전 개문 하는 것이다. 즉 개문 즉시 순간 안전 발판은 놓여지는 것이다. 폐문시에는 시린다(7')와 롯드롤라(7)가 이탈상태이므로 출입문이 70~80%1차 폐문시까지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안전 발판(1)은 부동이고 2차 20~30% 마지막 페문시 비로소 안전 발판은 롯드롤라(7)가 시린다(7')에 삽입과 동시 내접하는 것이다 이때의 감증스프링(3)의 (27)의 작용으로 안전 발판(1)은 가볍게 내접되고 감증스프링(3)의 (26)작용으로 안전발판(1)을 내접하여 고정 함으로 전동차량 운행시도 안전한 것이다. 이리하여 전동차 승객의 안전을 구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 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차량 안전발판 {safety footng of streetcar}
본 고안의 안전 발판(1)은 종래에는 전무하였고 전동차가 정차하면 안전사고를 방지 할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발판(1)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개문시에는 출입문이 10cm~20cm 열리자 마자 안전발판은 놓여지고 프렛홈(13)의 높낮임이 관계없이 자동 조정되고 전동차의 흔들림(노링)까지도 자연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후 출입문은 완개되는 것이다. 즉 안전 발판(1)은 개문즉시 놓여지고 있는 것이다.
폐문시에도 승객의 안전을 구하기에 출입문이 1차 70%∼80% 닫칠 때까지는 안전 발판은 부동이고 비로소 출입문 2차 20%∼30% 마지막 닫칠 때 동시 롯드롤라(7)가 시린다(7')에 삽입되므로 안전 발판(1)은 내접하여(감증스프링(3)의 (26)작용으로) 고정되므로 전동차 운행시에도 안전한 것이다. 이리하여 전동차 승객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동차량 승객이 승하차시 안전을 구하는 것으로 전동차 출입구 외부 하단 단부에 안전 발판(1)을 결합하고 회전축(2)으로 구성한 시린다(7'))내를 롯드롤라(7)가 이탈 삽입하여 이동하면 롯드롤라(7)가 회전축의 수쿠루 턱 (5)을 강압으로 억압 이동 하면서 회전축(2)이 회전을중간 기어(20)를 통해 전달하면 연결 된 안전발판(1)은 90°~110°까지의 회전 하므로 안전 발판(1)은 내접되고 개문시에는 롯드롤라(7)가 시린다(7')를 이탈하면 안전 발판은 놓여지는 것이다. 즉 시린다(7')의 내부의 회전축(2')의 기어를 통해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에 중간 기어(20)가 필요했고(16)기어로 연동작하여 안전 발판(1)이 회전 하도록 구성하였다. 본고안은 전동차 차체를 손상을 가하지 않는 방법으로 설치할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감증스프링(3)은 도15에 설명 한바같이 (26)과(27)를 구성하여 개문시에는(26)의 작용으로 고정되였던 안전 발판을 당기여 내려짐으로 놓여지고 폐문시 내접시에는 롯드롤라(7)의 강압으로 내접후 부동임으로 전동차의 운행시에도 안전한 것이다. 감증스프링(3)의 (27)은 (26)의 반작용으로 들고 밭이는 관계로 안전 발판의 하중을 감소하여 프렛홈 안착과 내접시에 가볍게 돕는 것이다. 이때에 하중을 원만이 조절키에 보조조절 감증스프링(3')까지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개문후 안전 발판이 놓여졌을때는 롯드롤라(7)가 시린다(7')를 완전 이탈하여 감증스프링(3)하중을 초과한 하중으로 안전 발판은 프렛홈(13)의 높낮임을 자동 조절하고 전동차 흔들림(노링)까지도 방지 하는 것이다. 안전 발판(1)의 회전 작동으로 출입문에 전해지는 진동을 방지하기에 시린다(7') 상단(6')을 성치 했고 롤라 베아링(19)와 시린다 (7')의(6)을 설치하여 롯드롤라(7)가 이탈과 삽입시의 이동을 안전하게 작동 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쿠루 회전 턱(5)와 롯드롤라(7)의 강한 마찰을 안전하기 위해 도12와 같이 롤라 베아링(19) 상하2개와 롤라 베아링(19')으로 요동을 방지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출입문이 이동 하여야 만이 직접 가동 하고 안전하여 첨단 장비보다 안전한 것이다.
도 1 안전 발판이 놓여진 사시도
도 2 안전 발판이 놓여진 단면도
도 3 안전 발판이 내접한 사시도
도 4 안전 발판이 내접한 단면도
도 5 안전 발판의 구조도
도 6 안전 발판의 상세도
도 7 회전 장치의 구조도
도 8 안전 발판의 단면도
도 9 기어 장치의 회전축 상세도
도 10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또 다른 실시예의 회전축(2) 상세도
도 12 롯드롤라(7)의 상세도
도 13 롯드롤라 베아링 조립 보드 상세도
도 14 롯드롤라(7)의 롤라베아링 간격 유지도
도 15 감증 스프링(3)의 작용 상세도
도 16 롯드롤라(7) 골격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 발판
2. 회전축
2' 상단 회전축
3. 감증스프링
3' 보조 조정 스프링
4. 베아링
5. 와선형 회전턱(수쿠루)
6. 19'의 롤라베아링 받침대
6' 19의 롤라베아링 받침대
7. 롯드롤라 몸체
7' 시린다(기어 케이스)
8. 중간 회전축 베아링
9. 출입문 고정레루
10. 도7의 기어 구조
11. 기어고정 핀
12. 전동차 출입문
13. 프렛홈(전철역)
14. 고정 베아링
15. 베아링 조립 보도
16. 중간(20)의 연결기아
17. (15)의 조립보드, 구
18. 감증스프링 고정구
18'. 감증스프링 조정구
19. 롤라 베아링
19'. 간격 유지 롤라 베아링
20. 회전축(2)의 중간 연동작 기어
21. 안전 발판 연결구
21'. 안전 발판 연결 보드
22. 전동차
23. 출입문(12)의 연결 소켓
24. 방진 고무
25. 전동차 청공구
26. 안전 발판(1)을 당기어 내리는 감증스프링(3)의 작용
27. 안전 발판(1)의 하중 감소 작용
28. 감증스프링 결합 회전축구
본 고안 전동차 승객의 안전을 목적으로 출입문 개폐시에 전동차와 프렛홈 사이의 간격을 막고 열어주는 안전 발판(1)을 놓아주고, 내접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구하는 것이다. 전술 한바와 같이 본고안의 구성은 전동차 출입구 하단 전면(출입구 밖)에 도5와 같이 장착하고 전동차 출입문 하단 단부 상대편(출입문밖) 롯드롤라(7)를 장착하여 출입문 개폐시 출입문에 장착한 롯드롤라(7)가 롯드롤라(7')를 삽입과 이탈로 이동하면서 롯드롤라(19)가 회전축(2')의 수쿠루 회전턱(5)을 강압으로 억압할 때 상단 롤라 베아링(19)의 받침대(6')에 밀착 반대 방향으로 도14와 같이 간격을 유지하여 롯드롤라(7)의 이동시 진동이 무하여 출입문에 충격을 가하지 않고 안전하게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5와 같이 기어식을 구성 고집한 것은 전동차 출입구 하단 단부의 공간이 초입하여 전동차 바닥 후렘을 손상 시킬수가 없는 관계로 기어식이면 가능하여 고안한 것이다. 여기에서 또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11과 같이 중앙 회전축(2)의 수쿠루 회전턱 일부만 청공(25)하면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감증스프링(3)은 도15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하고 상단(26)과 하단(27)을 구성한 개문시에는 주로 안전 발판이 당겨질 때 상단의(26)을 이용하고 하단 (27)은 안전 발판 자체 하중을 일부 감소케 하고(더욱 감소키에 보조조정 감증스프링(3')을 장착 한 것이다) 보조조절 감증스프링(3')는 (18')조정구로 한다. 폐문시에도 안전 발판이 내접시에도 감증스프링(3)의 (27)의 작용으로 가볍게 내접하는 것이다 이때 감증스프링(3)의 (26)작용과 롯드롤라(7)(19)의 억압으로 수쿠루 회전턱(5)를 누르고 있어 안전 발판은 부동이므로 전동차 운행에도 안전한 것이다. 설명인즉 전동차가 정차하면 개문시 출입문 하단 단부에 장착한 롯드롤라(7)가 도5와 같이 시린다(7')상단 회전축(2')를 순간 이탈한다. 이때에 감증스프링(3)의 (26) 작용으로 프렛홈 방향으로 안전 발판이 반회전시 회전축(28)를 통해 중간기어(20) 연결로 회전축(2')이 반회전하여 수쿠루 회전턱(5)은 다음 내접시의 충분한 각도를 유지 대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에 이미 안전 발판은 놓여지고 프렛홈의 높고 낮임이 자동 조절하고 전동차 로링까지 방지가 되는 것이다. 이후 출입문이 완개 하는 것이다. 폐문시에는 롯드롤라(7)가 시린다(7')에 삽입하면서 수쿠루 회전턱(5) 억압하면 중간기어(20)을 통해 안전 발판(1) 감증스프링(3)의 도움으로 가볍게 내접하고 고정되여 전동차 운행에도 안전한 것이다. 이리하여 안전발판은 전동차 승객의 안전을 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의 예]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10과 같이 도시한봐 기어식이 아니고 롯도롤라(7)까지도 전술한봐와 동일하고 직접 회전축(2)을 이용한 것으로 수쿠루 회전턱(5)이 음폐 될 수 있게 전동차량 후렘을 도10의 (25)와 같이 청공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안전 발판(1)의 목적과 의무를 다하여 전동차 승객의 안전 사고를 예방 할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바와 같이 전동차가 정차하면 안전 발판이 개문 즉시 승객이 접근전에 순간 놓여지고 폐문시에도 1차 폐문 70%~80%가 폐문하여도 승객의 안전을 위해 부동이고 2차 마지막 20%∼30% 폐문시 동시 내접하여 승객의 안전을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동차 출입구 하단 단부(외부)에 도5와 같이 시린다(7')의 내부의 연구동 기어식에 안전 발판(1)을 결합 장착하고 출입문 하단 단부에 (전면) 롯드롤라(7)을 장착 출입문 개폐와 동시에 시린다(7')와 롯드롤라(7)가 이탈과 삽입으로 이동하면서 롤라 베아링(19)의 강압으로 수쿠루 회전턱을 억압 회전하여 안전 발판을 감증스프링(3)의 작용으로 동일하게 안전 발판을 놓여주고 내접하는것
KR2020010022139U 2001-07-21 2001-07-21 전동차량 안전발판 KR200253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39U KR200253198Y1 (ko) 2001-07-21 2001-07-21 전동차량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39U KR200253198Y1 (ko) 2001-07-21 2001-07-21 전동차량 안전발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925A Division KR20030008900A (ko) 2001-07-20 2001-07-20 전동차량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98Y1 true KR200253198Y1 (ko) 2001-11-17

Family

ID=7310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139U KR200253198Y1 (ko) 2001-07-21 2001-07-21 전동차량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7239A2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200253198Y1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CN113137161B (zh) 一种安全屏蔽门
JP3604558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20030008900A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20050014332A (ko)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0255890Y1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KR20041194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20020088319A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KR20060073534A (ko)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KR200230637Y1 (ko)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CN112849186B (zh) 一种城轨客车车厢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KR20040068825A (ko)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KR200472193Y1 (ko)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KR100345927B1 (ko) 장애자용 철도차량 휠체어리프트
KR200292093Y1 (ko)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CN212562862U (zh) 地铁车厢用插拔式紧急解锁机构
CN113620137B (zh) 一种电梯门紧急手动开门装置
CN216945723U (zh) 一种改造远程智能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