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507Y1 - 장식시계 - Google Patents

장식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507Y1
KR200251507Y1 KR2019980021823U KR19980021823U KR200251507Y1 KR 200251507 Y1 KR200251507 Y1 KR 200251507Y1 KR 2019980021823 U KR2019980021823 U KR 2019980021823U KR 19980021823 U KR19980021823 U KR 19980021823U KR 200251507 Y1 KR200251507 Y1 KR 200251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opening
decorative
closing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745U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자와
히로시 이토우
Original Assignee
오오쯔 마나부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쯔 마나부,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쯔 마나부
Priority to KR2019980021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5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507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의 간략화, 부품 수의 삭감 등을 도모하면서, 동적 변화의 의외성이 풍부하며 뛰어난 감상성을 부여하고, 또 고정밀도로 작동하는 장식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케이스(2) 내에 수납된 장식체(7)를 가지며, 이 장식체(7)의 전방에 있어서 배치된 문자판(6)을 회전축(5)을 통과하는 선으로 2분할하여 좌측 문자판(6a)과 우측 문자판(6b)에 의해 형성하고, 유성 기어 기구(30. 31)를 이용하여 좌측 문자판(6a)과 우측 문자판(6b)을 자전 및 회전축(5) 둘레로 공전시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Description

장식 시계{DISPLAY TIMEPIECE}
본 고안은 장식 시계(display timepie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시각이 되면 문자판 등을 이동시켜 배후에 수납된 인형 등의 장식체를 출현시키는 장식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계의 문자판을 복수의 분할편에 의해 구성하고, 예컨대 정시가 되면, 이 복수의 분할편을 분리하도록 이동시켜서 그 배후에 수용된 인형 등의 장식체를 출현시키고, 음악에 맞추어 이 장식체를 작동시키는 장식 시계가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 시계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보 평성 8-10256호,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8-68870호 등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공보 평성 8-10256호에 개시된 장식 시계는 문자판을 복수로 분할된 대략 부채형의 바탕편에 의해 형성하고, 소정의 시각이 되면, 이들 바탕편을 회전시켜서 꽃잎형으로 펼쳐지게 하도록 하여, 이 문자판의 배후에 수납된 인형 등의 장식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분할된 문자판의 각각의 바탕편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로서는 외주에 톱니가 형성된 링형의 래크, 이 래크에 맞물리도록 래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기어 등을 설치하고, 이 복수의 기어의 회전축에 각각의 바탕편을 고정하여 래크를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바탕편을 개폐가 가능하게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8-68870호에 개시된 장식 시계는 문자판을 상하로 2분할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소정의 시각이 되면, 이 문자판을 상하로 각각 분리시켜서, 그 문자판의 배후에 수용된 인형 등의 장식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일본국 특허 공보 평성 8-10256호에 개시된 장식 시계에 있어서는 분할된 문자판의 각각의 바탕편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로서, 외주에 톱니가 형성된 링형의 래크, 이 래크에 맞물리도록 래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기어 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름 방향에 있어서 시계 전체가 대형화되어, 부품의 집약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되어 열린 상태인 문자판의 각각의 바탕편은 단지 회전축에 의해서만 지지될 뿐이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 즉 덜컥거림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자판을 형성하는 각각의 바탕편의 이동 범위로서는 고정된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범위이기 때문에 그다지 눈에 띄는 것은 아니며, 동적 변화의 의외성이라는 면에서는 약간 박력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8-68870호에 개시된 장식 시계에서도 상하로 2분할된 문자판은 단지 상하로 분리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내부의 장식체를 출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외관의 변화로서 강한 인상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하게 변화의 의외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의 간략화, 부품 수의 삭감 등을 도모하면서, 장식체의 전방을 개폐하는 문자판 등의 동적 변화의 의외성이 풍부하여 보다 뛰어난 감상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 개폐시에 있어서 문자판 등의 위치 결정 등을 확실하게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장식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장식 시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 외관도이고, (b)는 문자판이 열린 상태에서의 정면 외관도이며, (c)는 (a)중의 E-E부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장식 시계의 개폐 구동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폐 구동 수단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 구동 수단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장식 시계의 일부를 이루는 장식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장식 시계의 일부를 이루는 검지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검지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내지 (d)는 각각의 작동 단계에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장식 시계의 일부를 이루는 위치 결정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위치 결정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문자판이 닫힌 상태의 휴지(休止) 위치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문자판이 90°공전한 동작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문자판이 180°공전한 동작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식 시계
2 : 케이스
4 : 지침
5 : 회전축
6 : 문자판(개폐 덮개)
6a : 좌측 문자판(분할편)
6b : 우측 문자판(분할편)
7 : 장식체
10 : 고정판
11 : 롤러
20 : 회전판(지지 부재)
21 : 제1 회전판
22 : 제2 회전판
23 : 원통형 파이프
24 : 피구동 기어
25 : 모터(구동원)
25a : 구동 기어
26 : 기어 열
30 : 태양 기어
31 : 유성 기어
32 : 장식체용 기어
33 : 크랭크 부재(연결 부재)
34 : 제2 크랭크 부재(제2 연결 부재)
40 : 검지 수단
42 : 요동 아암
42a' : 걸어맞춤 핀
43 : 스위치
44 : 테이퍼형 오목부(걸림부)
46 : 안내용 요동 레버
47, 71, 74 : 스토퍼 핀
50 : 제1 위치 결정 수단
51 : 제1 스토퍼편
52 : 제1 위치 결정 레버
55 : 제2 스토퍼편
57 : 제2 위치 결정 레버
60 : 제2 위치 결정 수단
61, 62 : 가압 레버
61c, 61c, 67 : 걸어맞춤 돌기
65, 66 : 가압 스프링
73 : 요동 레버
본 고안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고안을 도출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고안의 장식 시계는 개폐가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축을 통과하는 선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편에 의해 형성되는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장식 시계로서, 상기 개폐 덮개를 형성하는 분할편을 자전(自轉) 및 상기 소정의 축 둘레로 공전시키면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개폐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이 개폐 구동 수단은 상기 소정의 축과 동일한 축에서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고정된 태양(太陽) 기어와, 이 태양 기어에 맞물리는 유성(遊星) 기어와, 이 유성 기어의 회전 중심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 중심부로부터 편의(偏倚)된 위치에서 상기 분할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와, 상기 소정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를 상기 소정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원(驅動源)을 갖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 덮개로서 문자판을 채용하고, 상기 소정의 축으로서 지침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는 상기 태양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장식체를 구동하는 장식체용 기어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 부재로서, 상기 소정 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단차(段差)를 갖는 크랭크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는, 예컨대 정시 등의 소정의 시각이 되면, 개폐 덮개가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 개폐 덮개를 형성하는 분할편을 자전 및 소정의 축 둘레로 공전시키면서 개폐 동작을 행한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수단이 상기 태양 기어, 유성 기어, 연결 부재, 지지 부재, 구동원 등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는, 구동원에 의해 지지 부재가 회전되면, 태양 기어에 맞물린 유성 기어가 회전하면서 태양 기어의 둘레를 공전하고, 이 유성 기어와 함께 연결 부재도 회전하며, 이 연결 부재와 연결된 분할편은 자전함과 동시에 지지 부재의 회전 중심 둘레를 공전하여 개폐 동작을 행한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로서 문자판을 채용하고, 상기 소정의 축으로서 지침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채용한 경우에는, 그 문자판이 상기와 같은 개폐 동작을 행하여, 예컨대 그 배후에 장식체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이 장식체를 출현시킨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용 기어를 채용하는 경우는 지지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이 장식체용 기어가 자전하면서 공전함으로써, 장식체가 예컨대 회전 동작을 행하면서 소정 축, 예컨대 지침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둘레로 공전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장식 시계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투시도로서 나타낸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식 시계에 관한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그 정면도이고, (b)는 후술하는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문자판이 분리되어 180°자전 및 공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a) 중의 E-E부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장식 시계(1)는 외측 윤곽을 획정하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전방을 막는 유리(3)와, 소정의 축, 즉 큰 바늘(4a) 및 작은 바늘(4b) 등의 회전축(5)을 통과하는 선(L)에서 2개로 분할된 개폐 덮개를 형성하는 분할편으로서의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으로 이루어지는 문자판(6)과, 이 문자판(6)의 배후에 수납된 장식체(7)와, 이 장식체(7)의 더욱 배후에 위치하는 회전체 또는 지지 부재로서의 회전판(20)과, 문자판(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수직축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 장식(9)과,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을 자전 및 회전축(5) 둘레로 공전시키면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개폐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큰 바늘(4a) 및 작은 바늘(4b) 등을 구동하는 무브먼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그 기본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의 후방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케이스(2)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판(10)이 배치되어 있고, 이 고정판(10)의 전방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 부재로서의 원형 윤곽을 이루는 회전판(20)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판(20)은 고정판(10) 쪽에 위치하는 제1 회전판(21)과 이 제1 회전판(21)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됨과 함께 제1 회전판(2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2 회전판(22)의 2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은 고정판(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고정판(10)에 끼워 붙여 고정되고, 또한 지침(4(4a, 4b))의 회전축(5)을 안내하는 원통형 파이프(23)에, 그들 중심 구멍(21a, 22a)이 밖에서 끼워져, 이 원통형 파이프(23) 둘레에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판(21)의 배면에는 이 제1 회전판(2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에 피구동 기어(24)가 고착되어 있고, 이 피구동 기어(24)에는 고정판(10)의 배면에 배치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5), 이 모터(25)의 스핀들에 고착된 구동 기어(25a), 2단 기어(26a) 및 작은 기어(26b∼26e)로 이루어지는 기어 열(26)을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즉, 모터(25)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이 지침(4)의 회전축(5)과 동일한 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판(10)에 설치된 롤러(11)에 의해, 제1 회전판(21)의 외주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그 회전 동작이 매끄럽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파이프(23)의 내부에 삽입 관통된 회전축(5)의 후단부에는 고정판(10)의 배면에 고정된 무브먼트(M)가 배치되어 있고, 이 무브먼트(M)에 의해 지침(4)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판(21)과 제2 회전판(22) 사이에는 상기 원통형 파이프(23)에 밖에서 끼워서 회전 불가능하게 고착된 태양 기어(30)가 배치되어 있고, 이 태양 기어(30)에 맞물리도록,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4개의 유성 기어(31)가 배치되며, 이들 유성 기어(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31a)가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21b, 22b)에 끼워 넣어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유성 기어(31)의 각각의 사이에는 동일하게 태양 기어(30)에 맞물리도록 4개의 장식체용 기어(32)가 배치되고, 이들 장식체용 기어(32)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32a)가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21c, 22c)에 끼워 넣어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유성 기어(31)의 축부(31a)는 그 단부가 제2 회전판(2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이 단부에는 회전축(5)의 축선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 단차를 갖는 연결 부재로서의 크랭크 부재(33)의 일단부(33a)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크랭크 부재(33)의 타단부(33b)는 연결 구멍(33b')이 있는 환상부로서 형성되며, 이 환상부의 연결 구멍(33b')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원주형의 연결축(6c)에 밖에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4개의 크랭크 부재(33)는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접합한 닫힌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각각 한 쌍의 타단부(33b)끼리가 근접하여 일직선형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5)과 동일한 축에서 케이스(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태양 기어(30), 이 태양 기어(30)에 맞물리는 유성 기어(31), 유성 기어(31)의 회전 중심부인 축부(31a)에 일단부(33a)가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33b)가 축부(31a)로부터 편의된 위치에서 분할편인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크랭크 부재(33),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판(20), 모터(25), 구동 기어(25a), 기어 열(26), 피구동 기어(24) 등에 의해 개폐 덮개로서의 문자판(6)을 형성하는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을 자전 및 회전축(5) 둘레로 공전시키면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개폐 구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과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 사이에는, 전술한 크랭크 부재(33)와 같은 크랭크 형상을 이루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회전축(5)의 축선 방향(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막도록 구속하는 구속 수단, 즉 제2 연결 부재인 2 개의 제2 크랭크 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제2 크랭크 부재(34)는 각각 선(L)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또한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접합한 닫힌 상태에서, 각각의 타단부(34b)가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그 일단부(34a)는 제1 회전판(21) 및 제2 회전판(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34b)는 각각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크랭크 부재(34)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열린 상태인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진동, 즉 흔들림이 억제 또는 방지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판(22)과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 사이에는 대략 원형 모양을 이루며 여러 가지 장식이 되어 있는 4개의 장식체(7)가 배치되어 있고, 이 장식체(7)는 장식체용 기어(32)의 축부(32a), 즉 제2 회전판(2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32a)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5)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20(21,22)]이 회전되면, 이 장식체용 기어(32)의 자전 및 공전에 의해 장식체(7)는 자전함과 동시에 회전축(5) 둘레로 공전하게 된다.
상기 장식체(7)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유성 기어(31)와 문자판(6)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상기 크랭크 부재(33), 또는 문자판(6)의 진동을 방지하는 제2 연결 부재로서 상기 제2 크랭크 부재(34)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판(6)과 제2 회전판(22)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의 소정 위치에 장식체(7)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의 배면 외주 영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고정판(10)에 심어 설치된 지지축(41)에는 요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요동 아암(42)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42a)에는 고정판(10)에 형성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빠져 나가 제1 회전판(21)의 전방까지 도달하는 걸어맞춤 핀(4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타단부(42b)는 고정판(10)에 고착된 스위치(43)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회전판(21)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개(擴開)되는 걸림부로서의 테이퍼형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접합하여 닫힌 상태로 이 테이퍼형 오목부(44)에 상기 걸어맞춤 핀(42a')이 들어가며, 즉, 요동 아암(42)이 R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타단부(42b)가 스위치(43)로부터 이탈 내지는 타단부(42b)에 의한 가압력이 저하되면 스위치(43)가 오프되어 모터(25)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아암(42)이 R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다시 타단부(42b)가 스위치(43)에 걸어맞춤 내지는 가압되어 스위치(43)가 온이 된다.
또, 제1 회전판(2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심어 설치된 지지축(45)에는 요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안내용 요동 레버(46)가 배치되어 있고, 이 안내용 요동 레버(46)의 요동단 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46a)이 형성됨과 함께 이 요동 단부(46b)의 양외측 외주면은 만곡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대략 중앙부에는 요동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4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긴 구멍(46c)에는 제1 회전판(21)에 심어 설치되어 그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 핀(47)이 헐겁게 끼워져 있고, 상기 안내용 요동 레버(46)는 소정의 범위에서 요동하도록 규제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 단부(46b)는 제1 회전판(21)의 외주면보다도 약간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1 회전판(21)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 아암(42)의 걸어맞춤 핀(42a')이 테이퍼형 오목부(44)에 접근하면, 이 걸어맞춤 핀(42a')이 먼저 안내용 요동 레버(46) 우측의 요동 단부(46b)에 접촉(걸어맞춤)하고, 안내용 요동 레버(46)를 R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리고, 긴 구멍(46c)의 우측면이 스토퍼 핀(47)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요동이 금지되면, 걸어맞춤 핀(42a')은 우측의 요동 단부(46b)의 외주면을 얹히고, 또 제1 회전판(21)이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맞춤 핀(42a')은 우측의 요동 단부(46b)로부터 이탈하여 안내홈(46a)에 안내되어, 테이퍼형 오목부(44)의 대략 중앙부로 들어간다.
한편, 제1 회전판(21)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인 R2 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 아암(42)의 걸어맞춤 핀(42a')이 테이퍼형 오목부(44)에 접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걸어맞춤 핀(42a')이 먼저 안내용 요동 레버(46)의 좌측 요동 단부(46b)에 접촉(걸어맞춤)하여 안내용 요동 레버(46)를 R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리고, 긴 구멍(46c)의 좌측면이 스토퍼 핀(47)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요동이 금지되면, 걸어맞춤 핀(42a')은 좌측의 요동 단부(46b)의 외주면을 얹히고, 또 제1 회전판(21)이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맞춤 핀(42a')은 좌측의 요동 단부(46b)로부터 이탈하여 안내홈(46a)에 안내되어 테이퍼형 오목부(44)의 대략 중앙부로 들어간다.
이상과 같이, 안내용 요동 레버(46)를 설치함으로써, 제1 회전판(21)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걸어맞춤 핀(42a')은 테이퍼형 오목부(44)의 대략 중앙부로 들어가며, 이것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확실하게 스위치(43)를 오프로 할 수 있다.
상기 요동 아암(42), 요동 아암(42)의 일단부(42a)에 설치된 걸어맞춤 핀(42a'), 걸림부로서의 테이퍼형 오목부(44), 모터(25)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43) 등에 의해, 회전체로서의 제1 회전판(21) 또는 개폐 덮개 즉 문자판[6(6a,6b)]이 소정 회전 각도 위치에 도달한 것을, 또는, 닫힌 상태인 휴지 위치로부터 열린 상태인 동작 위치로 이동되어 다시 휴지 위치로 복귀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4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요동 아암, 걸어맞춤 핀, 테이퍼형 오목부, 스위치 등의 조합을 별개로 설치하여 문자판[6(6a, 6b)]이 예컨대 180°자전 및 공전한 위치, 즉, 가장 열린 상태에 이른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모터(25)를 정지시켜서 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비자 대상으로 전시하는 경우에, 이 장식 시계의 장식의 한 가지 실시 형태, 즉 장식체(7)가 출현한 상태를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상기 문자판(6)을 형성하는 좌측 문자판(6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 상측 영역에서 그리고 분할면 부근 영역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스토퍼편(51)이 고착되어 있고, 한편 상기 문자판(6)을 형성하는 우측 문자판(6b)에는 그 배면 상측 영역에서 그리고 분할면 부근 영역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축(52)에 대하여 제1 위치 결정 레버(53)가 요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위치 결정 레버(53)에는 그 요동 단측에 걸어맞춤편(53a)이 형성되고, 또, 대략 중앙부에 요동 방향으로 신장되는 긴 구멍(5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문자판(6b)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 핀(54)이 이 긴 구멍(53b)에 헐겁게 끼워져 제1 위치 결정 레버(53)의 요동 동작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6)을 형성하는 우측 문자판(6b)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 하측 영역에서 그리고 분할면 부근 영역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스토퍼편(55)이 고착되어 있고, 한편 상기 문자판(6)을 형성하는 좌측 문자판(6a)에는 그 배면 하측 영역에서 그리고 분할면 부근 영역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축(56)에 대하여 제2 위치 결정 레버(57)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위치 결정 레버(57)에는 그 요동 단측에 걸어맞춤편(57a)이 형성되고, 또, 대략 중앙부에 요동 방향으로 신장되는 긴 구멍(5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문자판(6a)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 핀(58)이 이 긴 구멍(57b)에 헐겁게 끼워져 제2 위치 결정 레버(57)의 요동 동작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개폐 구동되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도 8의 중앙 우측으로 회전 구동되면,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부터 열린 상태의 동작 위치를 거쳐서 다시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 접근할 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편(51)의 하측면(51b)이 제1 위치 결정 레버(53)의 걸어맞춤편(53a)의 상측면(53a')에 걸어맞춰지고, 또 제2 스토퍼편(55)의 상측면(55a)이 제2 위치 결정 레버(57)의 걸어맞춤편(57a)의 하측면(57a")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긴 구멍(53b)의 상측면 및 긴 구멍(57b)의 하측면이 각각 스토퍼 핀(54, 58)에 접촉한 위치, 즉,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분할면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치한 위치에서, 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서로 위치 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개폐 구동되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도 8의 중앙 좌측으로 회전 구동되면,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부터 열린 상태의 동작 위치를 거쳐서 다시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 접근할 때에 제1 스토퍼편(51)의 상측면(51a)이 제1 위치 결정 레버(53)의 걸어맞춤편(53a)의 하측면(53a')에 걸어맞춰지고, 또, 제2 스토퍼편(55)의 하측면(55b)이 제2 위치 결정 레버(57)의 걸어맞춤편(57a)의 상측면(57a')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긴 구멍(53b)의 하측면 및 긴 구멍(57b)의 상측면이 각각 스토퍼 핀(54, 58)에 접촉한 위치, 즉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분할면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치한 위치에서 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서로 위치 결정되게 된다.
상기 제1 스토퍼편(51) 및 제1 위치 결정 레버(53), 제2 스토퍼편(55) 및 제2 위치 결정 레버(57) 등에 의해 개폐 덮개인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휴지 위치로 복귀하여 닫힌 상태가 될 때에, 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끼리의 분할면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배면상의 분할면 영역에는 닫힌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2개의 가압 레버(61, 62)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레버(61, 62)는 그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긴 구멍(61a, 6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61a, 62a)에 대하여,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서 돌출하는 안내핀(63, 64)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이 긴 구멍(61a, 62a)의 신장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레버(61, 62)의 양단 측에는 걸어맞춤편(61b, 62b)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 걸어맞춤편(61b, 62b)의 일부에는 걸어맞춤 돌기(61c, 62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크랭크 부재의 타단부(33b)의 외주면에도 걸어맞춤 돌기(67, 6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핀(63, 64)과 가압 레버(61, 62)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65, 66)이 설치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61c)와 걸어맞춤 돌기(67)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걸어맞춤 돌기(62c)와 걸어맞춤 돌기(68)가 걸어맞춰지도록 닫힌 상태 이외의 상태에서 걸어맞춤편(61b) 및 걸어맞춤편(62b)과 타단부(33b)의 외주면이 걸어맞춰지도록 가압 레버(61, 62)가 가압되어 있다.
즉,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의 연결축(6c)과 크랭크 부재(33)의 타단부(33b)에 형성된 연결 구멍(33b')과의 사이에는 연결 상태로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레버(61, 62)가 이 간극을 흡수하도록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을 서로 가까이 하도록 힘을 가하고,분할면 사이에 간극이 최대한 생기지 않도록 양 분할면을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간극은 제조 기술상의 치수의 불균형 등을 흡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도 8의 중앙 우측으로 회전하여 다시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 걸어맞춤 돌기(67)와 걸어맞춤 돌기(61c)의 걸어맞춤에 의해 좌측 문자판(6a)이 하측으로 가압되고, 또 걸어맞춤 돌기(68)와 걸어맞춤 돌기(62c)의 걸어맞춤에 의해 우측 문자판(6b)이 상측으로 가압되며,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 분할면의 위치 결정이 보다 더 고정밀도로 행해지게 된다.
동일하게,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도 8의 중앙 좌측으로 회전하여 다시 닫힌 상태의 휴지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 걸어맞춤 돌기(67)와 걸어맞춤 돌기(61c)의 걸어맞춤에 의해 좌측 문자판(6a)이 상측으로 가압되고, 또 걸어맞춤 돌기(68)와 걸어맞춤 돌기(62c)의 걸어맞춤에 의해 우측 문자판(6b)이 하측으로 가압되며,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 분할면의 위치 결정이 보다 더 고정밀도로 행해지게 된다.
상기 가압 레버(61, 62), 가압 스프링(65, 66), 걸어맞춤 돌기(61c, 62c) 및 걸어맞춤 돌기(67, 68) 등에 의해 개폐 덮개인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이 휴지 위치로 복귀하여 닫힌 상태가 될 때에, 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끼리의 분할면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판(21)의 배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핀(71)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전면에는 심어 설치된 지지축(72)에 대하여 요동 레버(73)가 요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레버(73)에는 그 요동 단부측에 걸어맞춤편(73a)이 형성되고, 또, 대략 중앙부에 긴 구멍(7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긴 구멍(73b)에는 고정판(10)에 심어 설치된 스토퍼 핀(74)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요동 레버(73)의 요동 동작이 소정 범위로 규제되어 있다.
즉, 제1 회전판(21)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회전되어 문자판(6)이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휴지 위치로 복귀할 때, 이 휴지 위치에 있어서, 긴 구멍(73b)의 우측면에 스토퍼 핀(74)이 접촉하고, 그 이상의 요동이 금지된 상태에 있는 요동 레버(73)의 걸어맞춤편(73a) 우측면에 스토퍼 핀(71)이 접촉하여 제1 회전판(21)의 그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휴지 위치에 있어서, 제1 회전판(21) 즉 문자판(6)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제1 회전판(21)이 도 9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문자판(6)이 다시 닫힌 상태가 되는 휴지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이 휴지 위치에 있어서, 긴 구멍(73b)의 좌측면에 스토퍼 핀(74)이 접촉하고, 그 이상의 요동이 금지된 상태에 있는 요동 레버(73)의 걸어맞춤편(73a) 좌측면에 스토퍼 핀(71)이 접촉하여 제1 회전판(21)의 그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휴지 위치에 있어서, 제1 회전판(21) 즉 문자판(6)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식 시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판[6(6a,6b)]이 닫힌 상태, 즉 휴지 위치에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시각, 예컨대 정시가 되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 신호가 발생되어 모터(25)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 열(26)을 통해 피구동 기어(24) 및 회전판[20(21,22)]이, 예컨대 도 10의 중앙 우측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회전판(20)의 우측 회전에 의해, 유성 기어(31)는 태양 기어(30)의 둘레를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또, 크랭크 부재(33)도 동일하게 우측으로 자전하면서 공전하게 된다. 이 크랭크 부재(33)의 우측 회전에 의해, 우측 문자판(6b)은 우측 하향으로 자전하면서 회전축(5)의 둘레를 공전하고, 한편 좌측 문자판(6a)은 우측 상향으로 자전하면서 회전축(5)의 둘레를 공전한다.
그리고, 90°공전한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문자판(6b)이 하측에서 옆으로 향하여 위치가 부여되고, 한편 좌측 문자판(6a)이 상측에서 옆으로 향하여 위치가 부여되어 문자판(6)은 반열림 상태가 되며, 배후에 수납된 장식체(7)가 출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장식체(7)는 장식체용 기어(32)의 우측 회전에 의해 회전축(5)의 둘레를 우측으로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있다.
회전판(20)이 더욱 회전하여 문자판(6)이 180°공전한 위치에 도달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문자판(6b)은 거꾸로 되어 좌측에 위치가 부여되고, 한편 좌측 문자판(6a)은 거꾸로 되어 우측에 위치가 부여되어, 문자판(6)은 모두 열린 상태가 되며, 배후에 수납된 장식체(7)가 완전히 출현한다. 이 때, 장식체(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5)의 둘레를 우측으로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있다.
회전판(20)이 더욱 회전하여 문자판(6)이 360°근처까지 공전하면, 좌측 문자판(6a)과 우측 문자판(6b)이 서로 접근하여 접합할 때에, 제1 스토퍼편(51) 및 제1 위치 결정 레버(53), 제2 스토퍼편(55) 및 제2 위치 결정 레버(57)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위치 결정 수단(50)이 이 좌측 문자판(6a) 및 우측 문자판(6b)끼리의 분할면의 위치 결정을 한다.
또한, 동시에, 가압 레버(61, 62), 가압 스프링(65, 66), 걸어맞춤 돌기(61c, 62c) 및 걸어맞춤 돌기(67, 68)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치 결정 수단(60)이 좌측 문자판(6a)과 우측 문자판(6b)이 서로 접근하여 접합할 때, 좌측 문자판(6a)을 상측으로부터 눌러서 밑으로 내리도록 힘을 가하고, 또, 우측 문자판(6b)을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도록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50)에의한 양쪽 분할면의 위치 결정이 보다 고정밀도로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문자판(6)이 360°공전하면, 검지 수단(40) 즉 요동 아암(42)의 걸어맞춤 핀(42a')이 안내 요동 레버(46)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1 회전판(21)의 테이퍼형 오목부(44)로 들어가서 스위치(43)를 오프로 하여 모터(2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50) 및 제2 위치 결정 수단(60)에 의해 좌측 문자판(6a)과 우측 문자판(6b)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고, 또, 제1 회전판(21)의 스토퍼 핀(71)이 고정판(10)의 요동 레버(73)의 걸어맞춤편(73a)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전이 금지되며, 문자판(6)은 닫힌 상태인 휴지 위치에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 유지된다.
상기 정시 등의 문자판(6)의 개폐 동작은 전술한 행정으로 종료시켜도 좋고, 또는, 상기 문자판(6)의 우측 회전에 잇따라 역방향의 좌측 회전을 행하게 하여 다시 휴지 위치에 도달한 후에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좌회전 동작도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우회전의 동작과 동일하여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문자판(6)을 2분할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더욱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4분할로 하고, 각각의 분할편을 1개의 크랭크 부재(33)와 1개의 제2 크랭크 부재(34)에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 시계에 따르면, 예컨대 정시 등의 소정의 시각이 되면, 문자판 등의 개폐 덮개가 자전 및 소정의 축 둘레로 공전하면서 개폐 동작을 행하고, 예컨대 배후에 장식체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이 장식체를 출현시킨다.
따라서, 장식 시계로서의 변화 의외성이 증가하여 뛰어난 감상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문자판 등의 개폐 덮개를 개폐 구동하는 개폐 구동 수단을 태양 기어, 유성 기어, 연결 부재, 지지 부재, 구동원 등에 의해 구성한 경우는, 소정 축 예컨대 지침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주위에 구성 부품을 집약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계 본체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행할 수있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장식체용 기어를 채용하는 경우는 문자판 등의 개폐 덮개의 개폐 동작시에 출현하는 장식체를 자전시키면서 소정의 축 둘레로 공전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장식체 나아가서는 장식 시계로서의 감상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장식 시계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크랭크 부재로 하는 경우는 개폐 덮개와 지지 부재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장식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개폐가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축을 통과하는 선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편에 의해 형성되는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장식 시계로서,
    상기 개폐 덮개를 형성하는 분할편을 자전 및 상기 소정의 축 둘레로 공전시키면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개폐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이 개폐 구동 수단은 상기 소정의 축과 동일한 축에서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태양(太陽) 기어와, 이 태양 기어에 맞물리는 유성(遊星) 기어와, 이 유성 기어의 회전 중심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 중심부로부터 편의(偏倚)된 위치에서 상기 분할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와, 상기 소정의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를 상기 소정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원(驅動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는 문자판이고 상기 소정의 축은 지침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시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장식체를 구동하는 장식체용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시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소정의 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단차(段差)를 갖는 크랭크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시계.
KR2019980021823U 1998-11-11 1998-11-11 장식시계 KR200251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23U KR200251507Y1 (ko) 1998-11-11 1998-11-11 장식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23U KR200251507Y1 (ko) 1998-11-11 1998-11-11 장식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45U KR20000009745U (ko) 2000-06-05
KR200251507Y1 true KR200251507Y1 (ko) 2002-01-17

Family

ID=6952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823U KR200251507Y1 (ko) 1998-11-11 1998-11-11 장식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5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147A (ko) * 2003-07-22 2005-01-29 고인석 태양계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45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9768B1 (en) Trick action type clock
JP5395175B2 (ja) 現在の時刻を表示または非表示にできる時計用表示機構
JP4537160B2 (ja) 互いに回転可能な2つのケースを含む時計
KR200251507Y1 (ko) 장식시계
JP2019191179A (ja) 計時器の装飾要素のための移動機構
JP3513403B2 (ja) からくり時計
JP3544492B2 (ja) からくり時計及びその駆動モジュール
JP3561669B2 (ja) からくり時計
JP4528557B2 (ja) 装飾体駆動装置
JP3544491B2 (ja) からくり時計
JP3986465B2 (ja) からくり時計
JP2001099953A (ja) 時計の蓋体開閉機構
JP2766617B2 (ja) 装飾体時計の装飾体駆動機構
JP2517649Y2 (ja) からくり時計用人形
JPH0639357Y2 (ja) 装飾体時計の回転テーブル機構
JP3354877B2 (ja) からくり時計等の扉装置
JPH1048353A (ja) 回転飾り装置
JP2525943Y2 (ja) 時計の装飾体駆動機構
JP2726842B2 (ja) 可動飾りの駆動装置
JP3519077B2 (ja) アナログ時計
JP2000088975A (ja) からくり時計の扉開閉装置
JP3499237B2 (ja) からくり時計の扉開閉装置
JP2543846Y2 (ja) 回転式文字板の支持装置
JPH0915345A (ja) 時計の自動ぜんまい巻き装置
JP2759783B2 (ja) 文字板開閉式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