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222Y1 - 도자기구이판 - Google Patents

도자기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222Y1
KR200249222Y1 KR2019980008880U KR19980008880U KR200249222Y1 KR 200249222 Y1 KR200249222 Y1 KR 200249222Y1 KR 2019980008880 U KR2019980008880 U KR 2019980008880U KR 19980008880 U KR19980008880 U KR 19980008880U KR 200249222 Y1 KR200249222 Y1 KR 20024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roasting
presen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173U (ko
Inventor
백경호
Original Assignee
백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호 filed Critical 백경호
Priority to KR2019980008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22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222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또는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기에 가해지는 열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판 및 하부판으로 분리된 이중바닥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장시간 가열하면서 사용하여도 구이판에 놓인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아서 최적의 상태로 고기를 익혀서 먹을 수 있는 도자기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은, 고기를 익히기 위한 표면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표면의 일부분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단부가 상부판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판을 가진다. 본 고안에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자기 구이판은, 고기를 익히기 위한 표면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표면의 일부분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단부가 상부판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판, 그리고 상부판과 하부판을 관통하여 하부로 부터 가해지는 열기를 직접 고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공간부와 차단된 형태의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자기 구이판
본 고안은 가스 또는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기에 가해지는 열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판 및 하부판으로 분리된 이중바닥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장시간 가열하면서 사용하여도 구이판에 놓인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아서 최적의 상태로 고기를 익혀서 먹을 수 있는 도자기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소득향상으로 인하여 음식문화도 고급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육류의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패턴으로 인하여 다양한 육류조리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고기(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등을 구이판을 사용하여 익혀서 먹는 방식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고기 등을 구이판에서 요리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화력을 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즉 양념이 첨가된 고기나 날고기 등을 구이판에서 익히다보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구이판의 표면에 고기가 눌어붙거나 고기가 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 일반적으로 음식점등에서는 새로운 구이판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구이판에서 고기를 익히다 보면 고기가 타는 문제가 다시 발생된다. 이것은 환경보호의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통상 구이판을 제조하는 동(銅) 또는 무쇠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검출되되고 또한 탄고기가 암(癌)을 유발한다는 의학적인 보고에 비추어보면 건강에도 유익하지 않은 현실인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나 획기적인 대책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이판의 재질을 도자기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검출되지않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되는 고기가 장시간 구이판에서 가열되어도 고기가 눌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여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도자기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자기재질로 제조됨으로써 구이판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도자기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은, 고기를 익히기 위한 표면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표면의 일부분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단부가 상부판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판을 가진다. 본 고안에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자기 구이판은, 고기를 익히기 위한 표면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표면의 일부분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단부가 상부판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판, 그리고 상부판과 하부판을 관통하여 하부로 부터 가해지는 열기를 직접 고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공간부와 차단된 형태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자기 구이판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도자기 구이판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도자기 구이판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40 : 도자기 구이판 11,21,31 : 테두리판
12,22,32 : 상부판 13,23,33 : 하부판
14,44 : 공간부 15 : 통기공
19 : 불꽃 26,27,28 : 통기공
L1,L2,L3 : 두께 H : 상부통기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의 외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이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으나 종래의 철판 또는 구리판과는 달리 도자기재료(진흙)로 형태를 완성한 후에 고온의 가마에서 구워짐으로써 도자기화된 것이다.
따라서 일반 철판이나 구리판에 비하여 도자기 성질상 타거나 눌어 붙는 것이 감소되는 자체 성질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고안에서의 보조적인 특징이며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는 것은 도자기 구이판(10)의 구조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A선을 따라서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인 제2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10)은, 상부판(12)과 하부판(13)의 두 부분으로 크게 분리된다. 상부판(12)의 표면에는 고기가 놓여져서 구워지게 되며, 하부판(13)은 상부판(12)과의 사이에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부터 가스버너에 의하여 고온의 열을 전달받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부판(12)의 단부와 하부판(13)의 단부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테두리(11)를 구성한다. 이것은 후에 설명되는 다른 테두리(21,31)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10)을 가스렌지 등에 위치시키고 하부로부터 불꽃(19)에 의한 가열을 시작하면 열전달이 종래의 것처럼 직접 상부판(12)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하부판(13)을 달군 후에 공간부(14)에 있는 공기를 덮히고 다시 공간부(14)의 공기에 의하여 상부판(12)이 달구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고온의 열이 간접 전달됨으로써 상부판(12)의 표면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특히 팽창된 고온의 공기가 통기공(15)으로 빠져나와서 열기가 순환되므로 상부판(12)이 과열되는 방지하기 때문에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는 효과가 크다.
또한 팽창된 공기를 상부판의 중앙표면에 형성된 상부통기공(H)을 통하여 통기공(15)과 동시에 배출시킴으로써 팽창압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부통기공(H)의 크기는 약 2~3㎝가 적당하다. 고기를 굽는 경우에 상부통기공(H)을 통하여 찌꺼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열기를 방해하지 않는 형태의 덮개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통기공(15)은 또한 불꽃(19)으로부터의 열기를 상부판(12)에 놓여진 고기가 익는데 충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통기공(15)을 통하여 공간부(14)로 유입되는 열기는 바닥을 통하여 간접 전달되는 열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상부판(12)을 달구게 되며 고기가 익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통기공(15)은 도면에서는 양측면부에 2개가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하부판(3)의 표면에 걸쳐서 하나 이상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고기를 익히는 시간을 최적의 상태로 하도록 통기공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구이판(10)의 상부판(12) 및 하부판(13)의 두께(L1,L3)와 공간부의 두께(L2)를 조정하여 화력의 전달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상부판 및 하부판의 두께(L1,L3)는 약 5~10㎜, 공간부의 두께는 5~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고기가 타거나 눌지 않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도자기 구이판은 숫불구이용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숫불은 화력이 가스에 비하여 매우 약하기 때문에 간접 가열방식에 의하여 고기가 익지 않거나 익는데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제3도 및 제5도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본 고안에 의한 도자기 구이판(20,30)의 다른 실시예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3도를 참고하면, 도자기 구이판(20)의 상부판 표면에 하부판(23)과의 공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통기공(26,27,28)이 더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기공(26,27,28)들은 열전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원형,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들을 가질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제4도는 제3도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22)과 하부판(23)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기공(26,27,28)등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통기공(26,27,28)들은 양단부가 터진 원통형으로서 상부 및 하부판(22,23)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4)와는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벽에 의하여 차단되어서 불꽃(19)으로부터 방사되는 열기가 직접 고기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24)에는 하부판(23)의 통기공(25)에 의하여 열기가 직접 전달되어서, 열기는 상부판(22)을 가열하는 것과 동시에 통기공(26,27,28)의 벽을 통과하면서 순환된다. 따라서 상부판(22)은 간접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30)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것은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구조는 제3도와의 도자기 구이판(20)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통기공(36,37,38)들의 단면을 제6도를 참고하여 살펴 보면 상부판(22)에 인접한 부분을 좁고 하부판(23)에 형성된 부분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열기의 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 이외에도 고기조각들에 의하여 통기공(36,37,38)등이 막히는 경우에 이것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제3도 및 제5도에서의 통기공(26,27,28)(36,37,38)의 배열은 중앙에 원형의 통기공(26,36), 이것을 중심으로 4방으로 2개씩 연속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통기공(27,37), 그리고 통기공(27,37)들 사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원형통기공(28,38)등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기공들의 배열 및 단면형상은 고기를 익히는데 더욱 효율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공을 이용함으로써 화력이 비교적 약한 숫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고기를 익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7도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구이판(40)은, 공간부(44)의 형성이 바닥면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그러한 도자기 구이판은 공간부(44)가 형성되는 측벽이 소정의 높이를 지닌 전골남비 형태가 바람직하다.
부호 45는 통기공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골이나 기타 국물이 있는 조리를 할 경우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에 의해 쉽게 끓게 됨과 아울러 공간부(44)가 형성된 측벽에 의해 국물이 끓어 넘치거나 타지 않게 되고 보온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구이판이 도자기재질로 제조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동판이나 무쇠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동판이나 무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건강상 본 고안의 도자기 구이판이 더욱 유익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이판의 재질을 도자기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검출되지 않으며, 조리되는 고기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눌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여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가열부를 이중층으로 하여 중간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고기 구이판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을 관통하여 하부로 부터 가해지는 열기를 직접 고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공간부와 차단된 형태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구이판.
KR2019980008880U 1998-05-27 1998-05-27 도자기구이판 KR20024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80U KR200249222Y1 (ko) 1998-05-27 1998-05-27 도자기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80U KR200249222Y1 (ko) 1998-05-27 1998-05-27 도자기구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73U KR19980032173U (ko) 1998-08-17
KR200249222Y1 true KR200249222Y1 (ko) 2001-12-17

Family

ID=6951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880U KR200249222Y1 (ko) 1998-05-27 1998-05-27 도자기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2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73B1 (ko) * 2002-01-18 2004-07-14 김기홍 겹구조를 가지는 구이판을 구비한 로스터
KR100911344B1 (ko) 2007-04-03 2009-08-07 박병환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냉각장치
KR101335294B1 (ko) * 2012-06-20 2013-12-02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구이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67A (ko) * 2001-12-17 2002-03-29 오문근 다용도 불고기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73B1 (ko) * 2002-01-18 2004-07-14 김기홍 겹구조를 가지는 구이판을 구비한 로스터
KR100911344B1 (ko) 2007-04-03 2009-08-07 박병환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냉각장치
KR101335294B1 (ko) * 2012-06-20 2013-12-02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73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40B1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200249222Y1 (ko) 도자기구이판
KR101565326B1 (ko) 직화 구이판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2469778B1 (ko) 돼지껍데기 조리방법
KR200196794Y1 (ko) 음식물에 각종 무늬나 모양의 표현이 가능한 구이판
KR100221694B1 (ko) 고기 구이판
KR20050109892A (ko) 조리구이판
KR20070001150U (ko)
JP4203178B2 (ja) グリル
KR200238994Y1 (ko) 가열 조리기구의 열판
KR200375599Y1 (ko) 조리구이판
KR200207276Y1 (ko) 구이판
KR960002837Y1 (ko) 찰흙 구이용 통닭구이기
KR20010050174A (ko) 이중 결합식 육류 구이판
JP3054097U (ja) 石焼き調理器
KR200238388Y1 (ko) 상열하육의 불고기 구이기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328008Y1 (ko) 수육냄비
KR19990033015U (ko) 고기구이용 도자기
KR200172244Y1 (ko) 축열제를 이용한 고기구이판
KR200315598Y1 (ko) 황토가마 맥반석석쇠구이판
KR19990000717U (ko) 구이판
KR200369965Y1 (ko) 고기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