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294B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294B1
KR101335294B1 KR1020120066217A KR20120066217A KR101335294B1 KR 101335294 B1 KR101335294 B1 KR 101335294B1 KR 1020120066217 A KR1020120066217 A KR 1020120066217A KR 20120066217 A KR20120066217 A KR 20120066217A KR 101335294 B1 KR101335294 B1 KR 10133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oasting plate
present
plat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395A (ko
Inventor
윤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06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류 등을 굽기 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구이판의 바디에 구비된 마그네슘층; 상기 마그네슘층의 표면에 PEO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법랑(琺瑯)코팅, 세라믹코팅, 불소수지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단독코팅층; 및 상기 바디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중공(中空)부가 형성된 열차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판{ROASTING PLATE}
본 발명은 고기류 등을 굽기 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이판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통해서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의 화력을 차단시켜, 상기 구이판으로 하여금 고온발화로 인한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시켜 줌과 함께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타버리는 사례를 방지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부터 웰빙(Well-being) 차원에서 돼지고기나 쇠고기 등과 같은 고기류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구이판(또는 "구이용 불판"이라고도 한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고기류 등을 구울 때 사용되는 종래의 구이판에 대해 살펴보면 특허출원 제10-1997-035391호(1997년 07월 26일)로 출원된 '육고기 구이용 금강약돌 불판'(이를 '문헌1'이라 한다.)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1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께 2㎝, 직경 315㎝에 중앙면(11)에서 가장자리로 10 내지 15°의 경사면(12)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12)의 상면에는 여러 개의 직선홈(13)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내열소지원판체(10)에 있어서, 금강약돌 원석을 400Mesh 이상의 분체로 분쇄하여 이 금강약돌 분체와 물을 1 : 3 비율로 교반한 점성의 유약을 내열소지원판체(10)의 외부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1,200 내지 1,300℃의 고온에서 소결시켜, 0.1 내지 0.15mm 두께의 금강약돌 피막층(14)을 형성시켜서 된 육고기 구이용 금강약돌 불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첨부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숯이나 가스 등을 사용한 열원(15)으로 불판 위에 올려진 고기를 구울 경우에는 상기 불판의 중앙면(11) 즉, 가운데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15)의 화력으로 인해 상기 불판이 고온발화되어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이 쉽게 발생되고, 특히 상기 불판의 중앙면(11) 부위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타버리는 문제를 초래하는 단점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통해서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의 화력을 차단시켜, 상기 구이판으로 하여금 고온발화로 인한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시켜 줌과 함께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타버리는 사례를 방지시켜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본 발명은 열원으로 고기류를 구워주는 구이판의 바디에 구비된 마그네슘층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층의 표면에 PEO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법랑(琺瑯)코팅, 세라믹(Ceramic)코팅, 불소수지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단독코팅층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중공부가 형성된 열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판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통해서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의 화력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상기 구이판으로 하여금 고온발화로 인한 구이판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과 함께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하부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통해서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의 화력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상기 구이판의 가운데 부위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타버리는 사례를 방지하여 더욱 맛있는 고기를 구울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구이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낸 제1실시사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낸 제2실시사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1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2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3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4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4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1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4에 있어서, A-A’부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2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가)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1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층(111)을 기저층으로 하는 구이판(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이판(100)의 하부 가운데 부위(120)에 형성된 열차단부(240)(240a)를 통해서 상기 구이판(100)의 가운데 부위(12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원(熱源)(400)의 화력을 차단시켜, 상기 구이판(100)이 고온발화 등으로 인해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시켜 줌과 함께 상기 구이판(100)의 가운데 부위(120)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타버리는 사례를 방지시켜 주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지받침(300) 위에 설치되어 숯이나 가스 등을 사용한 열원(熱源)(400)으로 육류나 생선 등과 같은 고기류를 구워주는 구이판(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100)의 바디(Body)(110)에 구비된 마그네슘층(111)의 표면에 PEO(Plasma Electrolytic Oxidation)층(112)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법랑(琺瑯)코팅, 세라믹(Ceramic)코팅, 불소수지 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단독코팅층(11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의 하부 가운데 부위(120)에 중공(中空)부(241)(241a)가 형성된 열차단부(240)(24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슘층(111)은 그 두께가 1.0 내지 6.0mm 범위이고, 이때 상기 마그네슘층(111)은 마그네슘(Mg) 물질 단독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마그네슘(Mg)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Al, Cu, Ti, Ni, Si, Cr, Mn, Zn, Zr, F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시킨 마그네슘 합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0)에 구비된 단독코팅층(113)의 두께는 마그네슘층(111) 두께의 10 내지 80% 범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구비된 단독코팅층(113)은 마그네슘층(111)을 기저층으로 하여,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모두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바디(110)에 구비된 단독코팅층(113)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구이판(100)으로 하여금 고온발화 등으로 인한 표면의 부식이나 훼손의 방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단독코팅층(113)에 포함되는 법랑코팅은 표면개질처리된 PEO층(112) 위에 도포된 법랑 유약을 200 내지 560℃ 범위에서 5 내지 60분간 범위로 건조과정을 거쳐 400 내지 8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단부(240)(240a)는 구이판(10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을 비롯하여 사각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시켜, 상기 구이판(100)의 가운데 부위(120)와 가장자리 부위(130)에 대한 전체의 온도 차이를 가능한 줄여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 도 7,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차단부(240)(240a)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열통과공(270a)을 형성시켜 주되, 이때 상기 열통과공(270a)의 직경의 크기 또는 갯 수를 달리하여 형성시켜 줌으로써, 열원(400)으로부터 발생한 열 즉, 구이판(100)으로 직접 전달되는 화력(火力)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통과공(270a)의 면적은 열차단부(240)(240a)의 면적대비 10 내지 60% 범위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차단부(240)에 형성된 중공부(241)는 첨부된 도 5, 7,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mm 이상 간격(D1)을 두고 편평하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열차단부(240a)에 형성된 중공부(241a)는 첨부된 도 6, 8,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mm 이상 간격(D2)을 두고 하방으로 볼록하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 4,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차단부(240)(240a)에 대응되는 바디(110)의 가운데 부위(120)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열통과공(270)을 형성시켜, 열원(400)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통과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법랑코팅은 마그네슘층(111)과 같은 금속물질의 표면에 유리질의 세라믹을 얇게 입혀주는 것으로써, 이때 사용되는 법랑 유약은 도자기에 사용되는 유약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성시켜 주게 되는데, 이는 법랑 유약과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마그네슘층(111)과의 열팽창률이 다르므로 너무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법랑 유약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때 사용되는 상기 법랑 유약의 팽창률은 100℃ 온도차에 대해 0.32 내지 0.40% 범위로써, 비교적 저온으로 소성시켜 주는 또 하나의 이유로는 너무 고온으로 소성하면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마그네슘층(111)의 표면이 공기에 닿을 때 변질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 소성하는 법랑 유약은 경도가 낮은 재질을 사용하여 마그네슘층(111)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광택을 내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EO층(112)에 대한 표면개질처리는 마그네슘(Mg)을 비롯하여, 마그네슘 합금 등과 같은 경금속 표면의 피막강도를 강화시켜 외부로부터의 긁힘이나 부식을 막아주고, 특히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시켜 마그네슘층(111)과 단독코팅층(113)과의 흡착력을 더욱 상승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EO층(112) 위에 형성되는 불소수지코팅은 구이판(100)에 대한 내열성 기능과 함께 구이판(100)의 표면에 대한 비점착성 기능으로 식재료 등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EO층(112) 위에 형성되는 세라믹(Ceramic)코팅은 마그네슘층(111)의 표면에 대한 내식성을 비롯하여 내열성,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단독코팅층(113)은 구이판(121)에 대한 전체부위 또는 가운데 부위(120)에 집중되는 고온으로 인해 발화가 쉽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나아가서는 구이판(100)의 표면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이판(100)은 테두리부(160)를 통해서 지지받침(3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받침(300)에는 열원(400) 예컨데, 화로(火爐)가 안치되거나, 또는 열원(400)에서 발생한 열 즉, 화력이 통과하는 통공(32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통공(320)의 둘레를 따라 요홈(부호 생략함.)이 형성된 기름받이(3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100)의 가장자리 부위(130) 또는 가운데 부위(120)에는 일정한 형상과 크기로 장공(140)을 다수 개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장공(140)을 통해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지지받침(300)에 구비된 기름받이(310)로 낙하 배출시켜 주거나, 또는 열원(400)에서 발생한 화력을 구이판(100)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100)의 가장자리 부위(130)에 구비된 탈착공(150)은 구이판(100)을 교체시에 해체용 집게(도시 생략함.)의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구이판
110 : 바디(Body)
111 : 마그네슘층
112 : PEO층
113 : 단독코팅(Coating)층
120 : 가운데 부위
130 : 가장자리 부위
140 : 장공
150 : 탈착공
160 : 테두리부
240, 240a : 열차단부
241, 241a : 중공부
270, 270a : 열통과공
300 : 지지받침
310 : 기름받이
320 : 통공
400 : 열원

Claims (8)

  1. 구이판(100)의 바디(110)에 구비된 마그네슘층(111);
    상기 마그네슘층(111)의 표면에 PEO층(112)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법랑(琺瑯)코팅, 세라믹코팅, 불소수지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단독코팅층(113)을 포함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하부 가운데 부위(120)에 중공(中空)부(241)(241a)가 형성된 열차단부(240)(24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240a)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적어도 1mm 이상 간격(D2)을 두고 중공부(241a)가 형성되도록 원형, 타원형, 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66217A 2012-06-20 2012-06-20 구이판 KR10133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7A KR101335294B1 (ko) 2012-06-20 2012-06-20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7A KR101335294B1 (ko) 2012-06-20 2012-06-20 구이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346A Division KR101281935B1 (ko) 2011-11-09 2011-11-09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95A KR20130051395A (ko) 2013-05-20
KR101335294B1 true KR101335294B1 (ko) 2013-12-02

Family

ID=4866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17A KR101335294B1 (ko) 2012-06-20 2012-06-20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3479A (zh) * 2018-08-31 2018-12-18 四川工程职业技术学院 抗高温氧化和热盐腐蚀的钛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445Y1 (ko) * 1999-10-25 2000-04-15 노굉 법랑 구이판
KR200249222Y1 (ko) * 1998-05-27 2001-12-17 백경호 도자기구이판
KR100884094B1 (ko) * 2008-05-16 2009-02-19 김광태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222Y1 (ko) * 1998-05-27 2001-12-17 백경호 도자기구이판
KR200179445Y1 (ko) * 1999-10-25 2000-04-15 노굉 법랑 구이판
KR100884094B1 (ko) * 2008-05-16 2009-02-19 김광태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95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30B1 (ko) 고기 구이판
CN106419625A (zh) 一种改进的烧烤炉
KR101335294B1 (ko) 구이판
JP4562094B2 (ja)
KR101281935B1 (ko)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N204931262U (zh) 一种不粘锅
KR101281892B1 (ko) 구이판의 보조불판
KR101328510B1 (ko) 고기 구이판의 제조방법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1213264B1 (ko) 고기 구이판
KR20230002006U (ko) 구이용 불판
KR101327347B1 (ko) 고기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1406751B1 (ko) 고기 구이판
KR101327349B1 (ko) 고기 구이판
KR101377407B1 (ko) 고기 구이판
KR101213269B1 (ko) 고기 구이판
KR101256342B1 (ko) 구이장치
KR20130126442A (ko) 고기 구이판
KR200307351Y1 (ko) 현무암 열처리 구이판
KR200217653Y1 (ko) 고기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305099Y1 (ko) 고기 구이판
KR200326182Y1 (ko) 조리용 현무암 팬
KR20130126443A (ko) 고기 구이판의 제조방법
KR200312310Y1 (ko) 유기질 탄소판으로 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