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848Y1 -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848Y1
KR200245848Y1 KR2019990008283U KR19990008283U KR200245848Y1 KR 200245848 Y1 KR200245848 Y1 KR 200245848Y1 KR 2019990008283 U KR2019990008283 U KR 2019990008283U KR 19990008283 U KR19990008283 U KR 19990008283U KR 200245848 Y1 KR200245848 Y1 KR 200245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latform
paper
feeding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897U (ko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2019990008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8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848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O.M.R카드의 판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력으로 완만하게 급지대가 상승하여 급지되도록 하고, 급지시 적재된 카드에 연속적으로 충격을 주어 급지사이를 이격시키므로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2차의 이중으로 급지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통과시켜 이중급지를 방지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O.M.R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진 급지대가 수직승강대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승강대는 제1.2승강대가 이동축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고정축으로 결합하되, 제1승강대의 연장된 끝단에 당김 스프링을 결합하여 급지대가 상승하도록 한 급지부와 당김 스프링에 의한 급지대의 상승력과 상승되는 간격을 탄성조절볼트와 이동간조절볼트로 조정하고, 급지제어부는 완만한 홈으로 된 안내면과 정리판이 힌지결합되어, 그 일측의 정리로드가 스프링으로 유격조절대에 탄력설치되며, 안내변에 마찰부재가 부착되어 2중급지를 방지하도록 하고, 다시 간극조정판이 간극조정대와 간극조정볼트로 간극을 조절하도록 하여 상기 안내부하단에 역회전 회전 로울러와 간극조정판사이에 2중으로 인입되는 O.M.R카드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Cardfeeding machine that hacing preventing overteeding cared of O.M.R}
본 고안은 O.M.R카드 판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스프링의 탄력으로 완만하게 급지대가 상승하도록 하여 급지되도록 하고, 급지시 적재된 카드에 연속적으로 약간의 충격을 주어 급지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급지사이를 이격시키므로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2차의 이중으로 급지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통과시켜 이중급지를 방지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O.M.R카드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력평가및 자격시험등에 시험답안지로 O.M.R카드를 사용하게 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광학식 기호 판독기(OPTICAL MARK REDER)를 이용하여 판독하며 판독결과를 컴퓨터로 보내 결과를 파악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원활한 급지와 함께 이중으로 급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혹간 발생되는 이중급지는 채점 누락으로 이어져 큰 문제를 일으키므로 원활한 급지와 함께 이중급지를 방지하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우려 왔으며 이러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6-47호 오엠알(0.M.R)카드 자동공급 장치와 실용신안공보 제96-4508호 2중 급지방지장치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오엠알(O.M.R)카드 자동공급 장치의 겅우 지지판을 상, 하부로 이송시켜주는 구동원을 타이밍 벨트로 설치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와 지지판이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O.M.R카드를 적재후 지지판을 타이밍 벨트와 연결시켜 주어 O.M.R카드를 상부로 이송시켜 주게 함으로 연속적으로 대량의 O.M.R카드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역 감속모터와 모터의 동력으로 동작되는 타이밍벨트 및 타이밍기어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되는 지지판 등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제품의 제조원가는 상승되고 복잡한 작동으로 인하여 급지의 신뢰성은 떨어짐과 함께 급지의 적재등 조작이 매우 불편하도록 되어있다.
즉 전자적 제어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급지가 이루어지므로 카드의 처리상태에 따른 원활한 급지가 곤란하고, 공급되는 급지의 상승력이 균일하지 않아 기구적 무리가 따라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밖에 없게된다
그리고 이증 급지 방지장치는 급지로울러를 별도로 설치하고, 메인로울러의 하부에 접하도록 백로울러를 설치하며, 급지로울러와 메인로울러의 사이에 보조백로울러를 설치해서 보조백로울러에서 2중급지되는 용지를 분리시키지 못하였을시백로울러로 하여금 다시 2중급지되는 용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지가 2중으로 급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O.M.R자동채점기로 O.M.R카드 자동채점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급지로울러에 의해 급지되는 카드가 한장씩 공급될때는 보조백로울러와 지지로울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정상급지가 이루어지나, 2중으로 급지되는 경우 지지로우러와 보조백로울러를 역회전을 시키게 되면 급지로울러와 카드가 밀착되어 상태에서 이동중인 카드가 반송되지 않으므로 지지로울러와 급지로울러 사이에 접힌 상태가 되어 판독기에 끼어 기기를 멈추게 하거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2중급지가 보조백로울러와 지지로울러를 통과하여도 메인 로울러와 백로울러 사이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되어 카드를 파손시키거나 기기의 동작을 멈추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스프링의 탄력으로 완만하게 경사면을 갖는 급지대가 상승하도록 하여 카드의 처리 상태에 따라 급지되도록 하고, 급지시 적재된 카드에 연속적으로 약간의 충격을 주어 급지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급지사이를 이격시키므로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차의 이중으로 급지되는 것을 방지 차단하는 구조를 통과시켜 이중급지를 방지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O.M.R카드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O.M.R카드 판독기의 전체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구동부를 보인 정면및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제어부
3:프레임 4.4':타이밍벨트
5.6.7.8:로울러 5'.6'.7'.8:축
5'.6'.7'.7''.8'.9':플리 9:모터
11:안내대 12:수집대
20:급지부 21:급지대
22:수직승강대 23:멈치턱
24:멈치 25:스톱퍼
26:제1승강대 27:제2승강대
28:.28'이동축 29.29'고정축
30:탄성조절대 31:당김스프링
31':지지돌기 32:탄성조절볼트
33:이동간조절대 34:이동간조정볼트
40:안내부 41:안내판
42:간극조정판 43:간극조정대
44:간극조정볼트 50:급지제어부
51:정리판 52:안내면
53:힌지 54:마찰부재
56:정리로드 57:스프링
58:유격조절대 C:0.M.R카드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모터(9)의 구동에 의하여 타이밍밸트(4)(4')로 각기 연동되는 플리(5')(6')(7')(7'')(8')(9')와 축(5')(6')(7')(8')이 로울러(5)(6)(7)(8)와 함께 결합되어 동작되게 된다
급지 로울러(5)의 회전에 따라 O.M.R카드(C)가 인입되기 시작하여 다시 역회전 로울러(6)를 통과하여 본체(1)의 판독장치(미도시)에 의해 판독된 다음, 배출 로울러(7)(8)를 통과하여 안내대(11)에 안내되어 수집대(12)에 배출되도록 구비한다.
도 3및 도 4a, 도 4b에 보인바와 같이 급지부(20)는 0.C.R카드(C)의 급지가 용이하게 경사지게 급지대(21)가 수직승강대(22)에 고정되며, 수직승강대(22)는 프레임(3)의 저부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25)와 연동되도록 멈치턱(23)과 멈치(24)를구비한다.
수직승강대(22)는 제1승강대(26)와 제2승강대(27)의 일측이 이동축(28)(28')으로 링크형태로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3)에 고정축(29)(29')이 결합하여 제1승강대(26)의 연장된 끝단이 고정축(29')에 설치된 지지돌기(31')와 당김 스프링(31)를 결합하여 당김력이 하단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급지대(21)가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당김스프링(31)에 의한 급지대(21)의 상승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대(30)와 탄성조절볼트(32)가 설치되며, 상승되는 간격을 조정하도록 이동간 조절대(33)에서 이동간조절볼트(34)로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급지제어부(50)는 급지로울러(5)의 하단에 위치하여 완만한 홈으로 된 안내면(52)과 정리판(51)이 일체로 되어 힌지(53)결합되고, 그 일측에 정리로드(56)가 스프링(57)으로 유격조절대(58)에 탄력 설치되며, 안내면(52)에 마찰부재(54)가 부착되어 이중급지를 방지하도록 구비한다,
안내부(40)의 안내판(41)은 급지대(21)의 상단에 교차되게 위치하여 급지대(21)에 적재된 O.M.R카드(C)를 급지로울러(5)에 공급하게 되며 안내판(41)과 일체로 된 간극조정판(42)이 간극조정대(43)와 간극조정볼트(44)로 O.M.R카드(C)가 통과하는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비한다.
안내부(40)하단에 역회전 로울러(6)가 위치하여, 역회전로울러(6)와 간극조정판(42)사이에 2중으로 인입되는 O.M.R카드(C)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한 제어부(2)의 제어로모터(9)의 구동에 의하여 모터(9)와 결합된 플리(9')가 배출로울러(7)와 일측의축(7')에 결합된 플리(7')와, 급지로울러(5)와 축(5')에 결합된 플리(5'')가 타이밍밸트(4)로 연동되어지며 축(7')의 타측에 결합된 플리(7'')와 역회전로울러(6)의 축(6')결합된 플리(6')를 타이밍밸트(4')가 결속되어 각기 동작되게 된다.(도2a 및도 2b 참조)
본체 1은 케이스로 프레임(3)과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하도록 덮힌 상태로 되어 있다.
모터(9)의 구동으로 급지로울러(5)와 배출로울러(7)가 정회전하여 O.M.R카드(C)를 이송하게 되고 이중 급지된 O.M.R카드(C)는 역회전로울러(6)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게 되며 배출로울러(7)의 하방에 피동축(8)과 피동로울러(8)는 배출로울러(7)의 회전에 의해 배출로울러(7)와 피동로울러(8)가 닿아 피동되게 된다.
급지 로울러(5)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급지대(21)에 적재된 O.M.R카드(C)의 일측 끝단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급지 로울러(5)의 회전에 따라 O.M.R카드(C)가 판독기 본체(1)내로 인입되어 안내부(40)의 간극조정판(42)과 역회전로울러(6)사이를 통과하여 본체(1)의 판독장치(미도시)에 의해 판독된 다음, 배출로울러(7)와 피동로울러(8)를 통과하여 안내대(11)에 안내되어 수집대(12)에 배출되어 진다.
급지부(2O)의 급지대(21)에 O.M.R카드(C)를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O.M.R카드(C)의 적재가 편리하게 급지대(21)를 손으로 가압하면 급지대(21)가 하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멈치(24)가 스톱퍼(25)를 가압하므로 스톱퍼(25)가 튀어나와 멈치턱(23)에 걸리면서 급지대(21)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a 참조)
스톱퍼(25)는 한번 누르면 튀어나오고 다시 누르면 들어간 상태가 유지되며 계속 반복 작동하도록 되는데, 급지대(21)가 하강된 상태에서 O.M.R카드(C)를 적재한 다음 다시 급지대(21)를 가압하면 멈치(24)가 스톱퍼(25)를 들어가도록 하여 들어간 상태가 유지되어 멈치턱(23)해지되면서 급지대(21)가 당김스프링(31)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도 4b 참조)
급지대(21)가 경사지게 수직승강대(22)에 고정되므로 낮은 곳으로 쓰려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원활한 급지가 이루어지며 수직승강대(22)는 제1승강대(26)와 제2승강대(27)의 일측이 수직으로 이동축(28)(28')이 링크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2개의 고정축(29)(29')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어 급지대(21)는 항시 같은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제1승강대(26)의 연장된 끝단이 고정축(29')에 설치된 지지돌기(31')와 당김 스프링(31)을 결합하여 당김력이 하단으로 작용하도록 하므로 고정축((29)(29')을 중심으로 반대측의 급지대(21)가 상승하게 된다.
즉, 급지대(21)에 적재된 O.M.R카드(C)는 급지대(21)에서 급지로울러(5)에 공급되는 급지 상태에 따라 완만하게 당김스프링(31)이 탄력적으로 상승 작용하기 때문에 무리없이 안내판(41)과 급지로울러(5)까지 연속 공급되어진다.
급지대(21)의 상승되는 상승력의 조정은 당김스프링(31)이 고정축(29')의 지지돌기(31')에 결합되어 탄성조절대(30)와 탄성조절볼트(32)로 탄성을 조정하게 되고, 급지대(21)의 상승폭은 이동간조절대(33)에서 이동간조절볼트(34)로 급지대(21)의 상승되는 높이를 조절한다.
급지제어부(50)는 급지로울러(5)의 하단에 위치하여 급지로울러(5)를 중심으로 완만한 홈으로 된 안내면(52)이 형성되므로 급지로울러(5)의 마찰면을 넓혀 원활한 O.M.R카드(C)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안내면(52)과 정리판(51)이 일체로 되어 편향되게 힌지(53)결합되어 있으므로 O.M.R카드(C)가 급지로울러(5)와 안내면(52)을 통과하면서 급지제어부(50)가 힌지(53)를 중심으로 O.M.R카드(C)의 두께와 통과 유무에 의해 인입되는 측과 배출되는 측의 간격이 변화하여 움직임이 발생되어진다.
그 일측에 정리로드(56)가 스프링(57)에 의해 당겨지는 상태로 탄력 설치되어 있어 급지 상태에 따라 급지제어부(50)의 유동간격과 유동위치를 정리로드(56)가 게재된 유격조절대(58)에 의해 조정하게 된다.
급지시 안내면(52)의 마찰부재(54)에 의해 낮장 공급시에는 급지로울러(5)의 접촉면이 넓으므로 마찰부재(54)의 저항을 이기고 급지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중급지시에는 1차로 윗측 O.M.R카드(C)는 급지로울러(5)의 마찰력에 의해 급지되며 아래측은 마찰부재(54)의 저항에 의해 정지되었다가 재급지되어 2중급지를 방지한다,
인입될때 인입되는 측을 정리로드(56)와 결합된 스프링(57)의 당김력이 작용하여 좁아진 상태에서 낮장 공급이 이루어지고, 통과하면서 O.M.R카드(C)의 두께에 의해 넓어지며 통과 후에는 다시 좁아지는데, 급지제어부(50)는 좌,우로 유동되면서 안내면(52)과 정리판(51)이 일체로 되어 있어 O.M.R카드(C)가 정리판(51)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정리판(51)이 적재된 O.M.R카드(C)에 충격을 주어 O.M.R카드(C)와 O.M.R카드(C) 사이를 이격시키며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낮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안내부(40)의 안내판(41)은 급지대(21)의 상단에 교차되게 위치하여 급지대(21)에 적재된 O.M.R카드(C)의 급지상태에 따라 상승위치를 유지시켜 급지로울러(5)에 공급하게 되며, 안내판(41)과 일체로 된 간극조정판(42)과 역회전로울러(6)사이에 O.M.R카드(C)가 통과하는데, 간극조정대(43)와 간극조정볼트(44)로 간극조정판(42)의 간극을 조절하여 이중급지를 차단한다.
간극조정판(42)과 역회전로울러(6)사이에 한장의 O.M.R카드(C)만 통과하도록 조정되어, 1차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통과 하여도 이미 O.M.R카드(C)가 한장만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역회전로울러(6)의 역회전에 의해 O.M.R카드(C)는 급지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위의 O.M.R카드(C)가 통과한 다음 재급지된다.
O.M.R카드(C)의 이동중에 급지로울러(5)와 역회전로울러(6)가 서로닿지 않고 동작되어 지므로 이동을 멈추어도 O.M.R카드(C)가 접히지 않고 멈추는 상태를 유지하며, 먼저 진행중인 것이 통과하여야만 멈추고 있던 O.M.R카드가 재급지 처리되는 것이다.
급지대(21)에서 2차례에 거쳐 2중급지를 차단하면서 공급되는 O.M.R카드(C)는 본체(1)의 판독장치(미도시)에 의해 판독된 다음, 판독된 데이터는 컴퓨터에 전송되고, 배출 로울러(7)(8)를 통과하여 안내대(11)에 안내되어 수집대(12)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면서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2차의 이중으로 급지되는 것을 방지 차단하는 구조를 통과시켜 이중급지를 방지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O.M.R카드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경사진 급지대(21)가 수직승강대(22)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승강대(22)는 제1.2승강대(26)(27)가 이동축(28)(28')으로, 타측은 프레임(3)에 고정축(29)(29')으로 결합하되, 제1승강대(26)의 연장된 끝단에 당김스프링(31)을 결합하여 급지대(21)의 상승력과 상승되는 간격을 탄성조절대(30)와 이동간조절볼트(34)로 조정하도록 된 급지부(20)와;
    안내면(52)과 정리판(51)이 일체로 힌지(53) 결합되어, 정리판(51)에 접촉된 O.M.R카드(C)에 충격을 주워 원활한 급지를 이루고, 안내면(52)에 마찰부재(54)가 부착되어 2중급지를 방지하도록 된 급지제어부(50)와;
    간극조정판(42)을 간극조정볼트(44)로 간극을 조절하도록 하여 역회전로울러(6)와 간극조정판(42)사이에 이중급지를 차단하도록 안내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사진 급지대(21)가 수직승강대(22)에 고정되며, 수직승강대(22)는 프레임(3)에 설치된 스톱퍼(25)와 연동되도록 멈치턱(23)과 멈치(24)를 구비하여 급지대(21)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수직승강대(22)는 제1.2승강대(26)(27)의 일측이 이동축(28)(28')으로 결합하고, 타측은 프레임(3)에 고정축(29)(29')으로 결합하여 제1승강대(26)의 연장된 끝단이 고정축(29')에 설치된 지지돌기(31')와당김스프링(31)을 결합하여 급지대(21)가 상승하도록 하되; 당김스프링(31)에 의한 급지대(21)의 상승력과 상승간격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대(30)에서 탄성조절볼트(32)로 이동간조절대(33)에서 이동간조절볼트(34)로 조절되도록 한 급지부(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급지제어부(50)는 급지로울러(5)의 하단에 안내면(52)과 정리판(51)이 일체로 되어 힌지(53)결합하고, 그 일측에 정리로드(56)가 스프링(57)으로 유격조절대(58)에 탄력 설치되어 급지에 따라 정리판(51)이 적재된 O.M.R카드(C)에 접촉되어 충격을 가하면서 급지가 이루어 지도록하고, 안내면(52)에 마찰부재(54)를 부착하여 이중급지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안내부(40)의 안내판(41)은 급지대(21)의 상단에서 급지대(21)에 적재된 O.M.R카드(C)를 급지로울러(5)에 안내 공급하게 되며 안내판(41)과 일체로 된 간극조정판(42)이 간극조정대(43)와 간극조정볼트(44)로 O.M.R카드(C)가 통과하는 간극을 조절하도록 하고; 역회전로울러(6)와 간극조정판(42)사이에 이중으로 인입되는 O.M.R카드(C)의 공급을 차단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KR2019990008283U 1999-05-10 1999-05-10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KR200245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83U KR200245848Y1 (ko) 1999-05-10 1999-05-10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83U KR200245848Y1 (ko) 1999-05-10 1999-05-10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97U KR19990034897U (ko) 1999-09-06
KR200245848Y1 true KR200245848Y1 (ko) 2001-09-25

Family

ID=5475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283U KR200245848Y1 (ko) 1999-05-10 1999-05-10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8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20B1 (ko) 2009-07-31 2011-11-25 엘지엔시스(주) 지로 자동처리기의 용지집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20B1 (ko) 2009-07-31 2011-11-25 엘지엔시스(주) 지로 자동처리기의 용지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97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4628B1 (en) Multiple card hopper for card printer
CA1186350A (en) Bottom-up stacker
CA1055057A (en) Semi-automatic document feeder
US6457886B1 (en) Card stack lifter and exception feed
US2989307A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0245848Y1 (ko) 오.엠.알카드 판독기의 이중급지 방지구조를 갖는 급지장치
JP3058788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578238B2 (ja) 最上部シートの給送装置
US3936042A (en) Sheet feeding devices
JP2578237B2 (ja) シートの給送装置
JPS6296240A (ja) 複数レベル真空原稿送り装置
JP2609477B2 (ja) 複数サイズシートの給送装置
US3015425A (en) Tractor feed for continuous forms
JP4122282B2 (ja) 給紙装置
US4960273A (en) Dual mode document feeder
JPS6296241A (ja) 真空ベルト式原稿送り装置
JP2816413B2 (ja) ステップリング機構付きソータ
EP0145045A2 (en) Semi automatic document feeder
CN208265384U (zh) 一种打印机及其辅助上纸装置
JP4945735B2 (ja) 遊技媒体搬送装置
JP2502398B2 (ja) 複数サイズシ―トの給送装置
JPH0632922Y2 (ja) 丁合装置
JPS586821Y2 (ja) 紙葉類の供給装置
JPH07100554B2 (ja) 複数ベルト原稿送り装置
KR960004508Y1 (ko) 2중 급지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