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675Y1 - 도어 어셈블리_ - Google Patents

도어 어셈블리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675Y1
KR200245675Y1 KR2019980028868U KR19980028868U KR200245675Y1 KR 200245675 Y1 KR200245675 Y1 KR 200245675Y1 KR 2019980028868 U KR2019980028868 U KR 2019980028868U KR 19980028868 U KR19980028868 U KR 19980028868U KR 200245675 Y1 KR200245675 Y1 KR 200245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od
hole
worm wheel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015U (ko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정 filed Critical 이기정
Priority to KR2019980028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7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75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일측 하단이 하부 문틀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도어와;힌지 결합부위와 대응되는 상부 문틀상에 위치되며, 도어를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수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힌지 결합타입의 도어 어셈블리를 출입자의 위치에 따라 내,외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즉, 180도 개폐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출입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개폐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클러치 수단을 통해 도어의 회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어셈블리
본 고안은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측으로 180도 개폐되는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어셈블리는 사람의 통행 즉, 출입(出入)을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힌지 타입과 슬라이딩 타입으로 대별된다.
즉, 힌지 타입은 도어의 일측을 문틀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를 출입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그 개폐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슬라이딩 타입은 도어를 문틀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그 개폐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와서 도어 어셈블리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도어 (automatic door)를 채용하고 있는 바, 주로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에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힌지 도어 어셈블리는 출입자가 손으로 푸쉬하는 것을 통해 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어서, 매우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다.
예컨대, 어린이나 노약자등이 도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양방향에서 도어를 개폐시킬 경우에 양방향의 출입자 모두가 불쾌감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느 일방향에서 출입자가 근접하였을 경우, 도어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개폐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일측 하단이 하부 문틀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힌지 결합부위와 대응되는 상부 문틀상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를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수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도어 개폐수단은, 상기 상부 문틀의 내,외측상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되는 내,외측상의 출입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내,외측상의 출입자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 구동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이 맞물림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며, 중심 내면에 가이드 구멍을 갖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이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갖는 워엄 휠과;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면에 일단이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워엄 휠과 인접되도록 연장된 회동 아암고; 상기 회동 아암과 워엄 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의 어느 일방향 회전시 반대되는 방향으로서의 힘에 의한 워엄과 워엄 휠의 파손을 방지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클러치수단은, 외주면이 상기 워엄 휠의 경사면과 마찰 접촉되도록 동일 경사의 테이퍼진 경사면을 이루며,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워엄 휠의 플랜지의 가이드 구멍과 동일 직경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마찰차와; 상기 워엄 휠과 마찰차의 가이드 구멍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중심 내면에는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상,하 관통구멍이 구획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방형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가이드 구멍상에 위치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소정 범위내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의 장방형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정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 봉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가이드 봉의 단턱부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봉의 장방형 구멍과 상기 보조 가이드 봉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핀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 삽입되어 회전되며, 하부 외주면상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플랜지의 결합 구멍과 상기 회동 아암의 타단 사이에 상호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개념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제4도는 센서의 결합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문틀 20 : 상부 문틀
30 : 하우징 100 : 도어
200 : 도어 개폐수단 210 : 센서
220 : 구동 모터 230 : 워엄
240 : 워엄 휠 241 : 플랜지
241a : 가이드 구멍 242 : 경사면
250 : 회동 아암 300 : 클러치 수단
310 : 마찰차 311 : 경사면
312 : 가이드구멍 320 : 가이드 봉
321 : 관통구멍 322 : 단턱부
323 : 장방형 구멍 330 : 보조 가이드 봉
331 : 나사산 340 : 가이더
350 : 스프링 360 : 결합핀
370 : 회전체 371 : 플랜지
380 : 연결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크게 도어(door;100)와, 도어 개폐수단(200)으로 대별된다.
도어(100)는 하부 문틀(10)상에 하부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도어 개폐수단은, 전술한 도어(100)의 하부와 하부 문틀간의 힌지 결합부위와 대응되는 상부 문틀(20)상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어(100)를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수직으로 즉, 180도씩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도어 개폐수단(2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센서(senser;210) 와, 구동모터(220) 그리고 워엄(warm;230)과 워엄 휠(warm whell;240) 및 회동 아암(250)과 클러치 수단(300)으로 대별된다.
센서(210)는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부 문틀(20)상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어(100)를 중심으로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적어도 2개씩의 센싱부(211,212)를 구비하여 출입자의 위치 및 도어(10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 레버(213)과의 연계동작에 의해 각각 개방과 밀폐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마이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220)는, 상부 문틀(2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출입자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정,역 구동된다.
워엄(230)은 구동모터(220)와 예컨대 벨트 풀리 등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서, 특히 양단은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부 문틀(20)에 결합되어 도어 개폐수단(300)을 감사고 있는 하우징(housing;30)에 베어링(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워엄 휠(240)은 워엄(230)과 이 맞물림되어 역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심내면에는 가이드 구멍(241a)을 갖는 플랜지(flange;241)가 연장 형성되며, 특히 내주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면(242)을 갖는다.
회동 아암(250)은 실질적으로 도어(1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워엄 휠 (240)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통해 도어(100)를 내,외측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회동 아암(250)의 일단은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베어링(B)을 개재한채 도어(10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회동 아암(250)의 타단은 워엄 휠(240)과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되며, 전술한 클러치 수단(300)을 통해 워엄 휠(240)로 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게된다.
클러치 수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아암(250)과 워엄 휠(2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가장 큰 역할은 회동 아암(250)을 통해 도어(100)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반대측에서 대향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 도어(100)의 회전원인 워엄(230)과 워엄 휠(24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클러치 수단(300)의 상세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워엄 휠(240)의 내면에는 마찰차(310)가 끼워 삽입되는 바, 이 마찰차 (310)의 구조를 보면, 외주면은 워엄 휠(240)의 경사면(242)에 끼워 삽입되어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동일 테이퍼형상의 경사면(311)을 이루고 있으며, 상부 일측면에는 워엄 휠(240)의 플랜지(241)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41a)과 동일 직경의 가이드 구멍(312)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워엄 휠(240)이 플랜지(241)와 마찰차(310)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41a,312)상으로는 가이드 봉(320)의 관통되도록 끼워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 봉(320)의 내면에는 관통구멍(321)이 형성되는 바, 이 관통구멍(321)은 중심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32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또한 가이드 봉(320)의 상부 일측면에는 관통구멍(321)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 구멍(323)이 형성된다.
전술한 가이드 봉(320)의 관통구멍(321)으로는 보조 가이드 봉(330)이 끼워 삽입되는 바, 이 보조 가이드 봉(3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소정길이 범위로 나사산 (331)이 형성되며, 특히 가이드 봉(320)의 장방형 구멍(323)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정직경의 구멍(332)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봉(320)의 관통구멍(321) 하단부에는 가이더(guider;340)가 위치되는 바, 특히 이 가이더(340)는 보조 가이드 봉(330)의 하부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31)에 나사 결합되어 이르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가이드 봉(320)의 단턱부(322)와 가이더(340)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350)이 개재되어 가이더(34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에 따라 가변적인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때 가이드 봉(320)과 보조 가이드 봉(330)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하여 가이드 봉(320)의 장방형 구멍(323)과 보조 가이드 봉(330)의 구멍(332) 사이로는 결합핀(360)이 관통 체결되어진다.
또한 가이드 봉(320)의 하부 외주면에는 회전체(370)가 끼워 삽입되는 바, 이 회전체(370)의 하부 외주면상에는 일측에 결합구멍(371a)이 형성된 플랜지(371)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회전체(370)와 회동 아암(250) 사이에는 즉, 회전체 플랜지(371)의 결합구멍(371a)과 회동 아암(250)의 타단부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핀(380)이 체결된다.
이와같은 결합을 통해 회전체(370)의 회전력이 회동 아암(250)에 전달되고, 이에의해 회동 아암(250)은 도어(100)의 하부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씩 개폐되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도어 어셈블리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00)를 중심으로 출입자가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센서(210)는 도어(100)상에 먼저 근접되게 위치된 출입자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마이콤을 통해 구동모터(22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22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게 되고, 동시에 워엄(230)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워엄(230)상에는 워엄 휠(240)이 이 맞물림되어 있기 때문에 워엄 휠 (240)이 회전 구동되고, 동시에 클러치 수단(30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동 아암(250)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어(100)를 출입자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개방시키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구동모터(220)로 부터의 힘이 도어(100)상에 전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워엄(230)과 워엄 휠(240)간의 이 맞물림에 의한 회전력은 워엄 휠(240)의 내주면에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마찰차(310)에 전달되게 되고, 동시에 마찰차(310)와 결합된 가이드 봉(320)을 통해 회전체(370)에 전달된다.
이때 회전체(370)는 연결핀(380)을 통해 회동 아암(25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370)의 회전력이 회동 아암(250)을 그 축중심을 기준으로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발휘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도어(100)가 어느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때 전술한 도어(100)를 개방시키는 회동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봉(320)의 하부측에 위치된 가이더(340)를 보조 가이드 봉(330)의 나사산(331)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시키게 되면, 스프링(35)의 탄성력의 가변된다. 즉, 상방으로 좀더 큰 가압력을 갖게된다.
이에의해 가이드 봉(320)이 장방형 구멍(323)에 결합된 결합핀(360)을 중심으로하여 상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동시에 워엄 휠(240)이 함께 상승함으로써 그 내주면의 경사면(242)과 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 동일 테이퍼 형상의 마찰차(310)의 경사면(311)이 좀더 큰 마찰력으로 접촉함으로써 도어(1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좀더 큰 힘을 얻게되는 것이다.
반대로 가이더(340)를 하향 시킬 경우에는 마찰차(310)와 워엄 휠(240)간의 마찰 접촉력을 줄일 수 있게된다.
한편, 이와같은 도어(100)의 개방동작과정에서는 도어(100)의 개방측에 또 다른 출입자가 위치될 경우가 발생되어지는 바, 이와같은 경우 출입자는 순간적으로 도어(100)의 개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도어(100)를 가압하게된다.
이와같이 도어(100)의 개방동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도어(100)의 손상이 야기될 우려가 있지만, 이와같은 문제점은 클러치 수단(300)을 통해 해소되어 도어(10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도어(100)의 개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힘의 전달방식이 워엄 휠(240)과 마찰차(310)간의 면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면접촉 부분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게 되어 즉, 공회전력이 발생되어 도어(100)의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흡수함으로써 도어(100) 및 각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 의하면, 힌지 결합타입의 도어 어셈블리를 출입자의 위치에 따라 내,외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즉, 180도 개폐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출입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개폐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클러치 수단을 통해 도어의 회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측 하단이 하부 문틀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힌지 결합부위와 대응되는 상부 문틀상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를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수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수단은, 상기 상부 문틀의 내,외측상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되는 내,외측상의 출입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내,외측상의 출입자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 구동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이 맞물림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며, 중심 내면에 가이드 구멍을 갖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이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갖는 워엄 휠과;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면에 일단이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워엄 휠과 인접되도록 연장된 회동 아암과; 상기 회동 아암과 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의 어느 일방향 회전시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힘에 의한 워엄과 워엄 휠의 파손을 방지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외주면이 상기 워엄 휠의 경사면과 마찰 접촉되도록 동일 경사의 테이퍼진 경사면을 이루며,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워엄 휠의 플랜지의 가이드 구멍과 동일 직경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마찰차와; 상기 워엄 휠과 마찰차의 가이드 구멍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중심내면에는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상,하 관통구멍이 구획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방형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가이드 구멍상에 위치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소정 범위내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의 장방형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정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 봉의 나산과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가이드 봉의 단턱부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봉의 장방형 구멍과 상기 보조 가이드 봉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핀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 삽입되어 회전하며, 하부 외주면상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플랜지의 결합구멍과 상기 회동 아암의 타단 사이에 상호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KR2019980028868U 1998-12-31 1998-12-31 도어 어셈블리_ KR200245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868U KR200245675Y1 (ko) 1998-12-31 1998-12-31 도어 어셈블리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868U KR200245675Y1 (ko) 1998-12-31 1998-12-31 도어 어셈블리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015U KR19990012015U (ko) 1999-03-25
KR200245675Y1 true KR200245675Y1 (ko) 2001-12-01

Family

ID=6950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868U KR200245675Y1 (ko) 1998-12-31 1998-12-31 도어 어셈블리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02B1 (ko) * 2018-05-30 2019-07-11 최용환 여닫이식 자동 도어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015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5675Y1 (ko) 도어 어셈블리_
KR102573888B1 (ko) 하이브리드 밸런싱 도어장치
US3436862A (en) Automatic door lock actuator
CN208122544U (zh) 一种后置离合驱动锁结构及指纹锁
KR200194351Y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시스템에 사용하기위한 창문이동장치
JPH02167975A (ja) フロアーヒンジ
KR910008770Y1 (ko) 자동 경첩
JPH0411590Y2 (ko)
KR200361271Y1 (ko) 건축용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장치
JPH0140342Y2 (ko)
JPH0537831Y2 (ko)
JPH0741825Y2 (ja) 内倒し内開き窓
KR200293480Y1 (ko) 창문 개폐장치
JPS6332078A (ja) バランスドア−装置
KR19990024048A (ko) 안전 도어클로저
KR940002557Y1 (ko) 플라스틱 미서기창호용 호차
JPH0158775B2 (ko)
JPH10196211A (ja) 両開き扉用ドアクローザー
JPS62166999U (ko)
GB2305466A (en) Canopy door: guide linkage
JP2003253952A (ja) 折り畳み自動ドア
JPH07301048A (ja) バランスドア
JPH04122176U (ja) 電動開閉扉の安全装置
KR200275447Y1 (ko) 자동여닫이문용 구동장치
JPH03371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