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80Y1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80Y1
KR200293480Y1 KR2020020023376U KR20020023376U KR200293480Y1 KR 200293480 Y1 KR200293480 Y1 KR 200293480Y1 KR 2020020023376 U KR2020020023376 U KR 2020020023376U KR 20020023376 U KR20020023376 U KR 20020023376U KR 200293480 Y1 KR200293480 Y1 KR 200293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handle arm
window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Priority to KR2020020023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80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형의 건물 외벽에 제공되는 창문이 핸들아암의 조작에 따라 창문틀로부터 소정폭으로 개폐 또는 잠금되도록 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 창문 개폐에 따른 개방 가압력이 핸들아암을 중심으로 한 이격된 양쪽 외측에서 창문에 제공되도록 하여 조작자의 창문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핸들아암을 통한 창문의 잠금이 핸들아암의 중심 위치에서 좌우 양쪽 중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핸들아암의 조작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 중 어느 손을 사용하여 회전시켜도 창문을 잠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INDOW}
본 고안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빌딩 등에서의 소형 및 대형의 창문에 적용되며 개폐시 창문의 회동력을 양쪽으로 분산시켜 회동하며 동시에 창문을 개폐시키는 핸들아암이 양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의 회전에도 잠금 해제가 가능토록 하여 여닫이의 용이성 및 창문의 안정된 여닫이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빌딩 등에 적용되는 창문은 안전법규상 여닫이 창문이 주로 사용되며, 이는 건물내의 사람 또는 물건의 낙하방지 또는 건물의 미관 그리고 강한 풍력에 의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에 적용되는 종래의 여닫이 창문 개폐구조는, 통상 창문이 창문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며, 그 타측에 제공되는 핸들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수동식 여닫이 창문과 전원 인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여닫이 창문이 적용되고 있다.
즉, 핸들을 이용한 수동식 창문 개폐구조는, 창문에 고정된 핸들의 회전시 창문이 창문틀로부터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핸들을 밀게되면 창문이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폭 정해진 구간 회전하며 개폐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자동식 창문 개폐구조는, 전원 인가시 모터가 회전되고, 이 모터 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가 랙키어를 이동시키게 되며, 동시에 랙기어는 창문을 밀어 창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전원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창문의 개방폭이 정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동식 창문 개폐구조는, 단순하게 핸들을 조작에 따라 창문의 닫힘 또는 개폐동작을 취하게 되는 것이어서, 상기한 핸들로서는 창문의 개방상태 또는 개방폭을 정하지 못하여 힌지부위에 별도의 링크수단을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 그리고 강한 풍력이 작용하면 창문이 창문틀과 힌지핀으로만 연결되어 있어 창문이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핸들이 수직한 상태로 위치 됨에 따라 창문과 창문틀의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져 미관을 해침은 물론 핸들의 노출단으로 인해 보행자의 옷 등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자동식 창문 개폐구조는, 모터 구동방식에 따라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또한 조작시에 모터 회전에 의한 기어수단에 의해 창문이 개폐되어야 함에 따라 개폐속도가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최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가 출원되어 2001년 9월 17일자로 등록(제20-248477호)된 바 있다.
이는, 창문틀, 창문, 창문틀로부터 창문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를 힌지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아암 및 창문을 창문틀에 고정시키는 잠금구로 구성되는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 창문틀측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와 수직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에 대해 회동되는 창문측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노출단에 제공되는 제1힌지부재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전후방 회동가능하게 되는 핸들아암과, 상기 핸들아암의 내측에 수용되며 그 양단이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제2힌지부재와 상기 핸들아암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연동아암으로 구성되어, 건물에 설치후 창문의 개방시 창문과 창문틀을 고정시킨 핸들아암의 손잡이를 당긴후 밀게되면 창문이 강한 풍력에도 견딜 수 있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창문 폐쇄시 핸들아암을 좌우 양쪽 중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아암의 전후방 회동이 억제되어 창문의 안정된 닫힘력이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의 개폐장치는 창문을 여닫는 개폐력이 창문과 창문틀의 중앙에위치된 핸들아암에 의해서만 제공되어 비교적 소형의 창문에는 바람직하게 적용되나, 대형의 창문에는 하나의 개폐장치로 창문의 개폐 또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해, 종래의 핸들아암 또는 상기한 방식의 개폐장치가 대형의 창문에 하나만 적용되는 경우 개폐시의 회동력 또는 좌우의 편하중 문제로 개폐가 힘든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핸들아암을 창문 폭방향을 따라 2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핸들아암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실용신안 등록 제248477호)를 개량시킨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형의 건물 외벽에 제공되는 창문이 핸들아암의 조작에 따라 창문틀로부터 소정폭으로 개폐 또는 잠금되도록 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 창문 개폐에 따른 개방 가압력이 핸들아암을 중심으로 한 이격된 양쪽 외측에서 창문에 제공되도록 하여 조작자의 창문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들아암을 통한 창문의 잠금이 핸들아암의 중심 위치에서 좌우 양쪽 중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즉, 핸들아암의 조작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 중 어느 손을 사용하여 회전시켜도 창문을 잠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핸들아암의 회전에 따른 랙바의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핸들아암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핸들아암의 회전에 따라 창문이 잠금 및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요부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록킹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아암이 좌우 양방향 중 한쪽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져 로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도 6b는 핸들아암의 90도 당김 회전되어져 잠금이 해제되는 개방 가능상태를 도시한 평면, 도 6c는 핸들아암의 상향 당김에 따라 창문틀측 프레임으로부터 창문측 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도 6d는 핸들아암의 누름동작에 따라 창문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창문측 프레임 200: 창문틀측 프레임
300: 제1베이스부재 310: 절곡단
320: 링크브래킷 400: 제2베이스부재
420: 회전축 421: 피니언기어
422: 힌지단 423: 원형판
424: 안내홈 425: 원형의 홈
430: 잠금구 431: 스프링
432: 록킹볼 500: 로크로울러
600: 핸들아암 630: 연동바
700,700a: 록킹케이스 710: 스프링
720: 이동판 730: 록킹돌기
800: 이송부재 810: 랙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창문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이 창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회전되어 소정구간 개방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창문이 중앙의 핸들아암 회전시 양쪽의 잠금이 해제되고 핸들아암의 당김후 누름시 창문이 개방되게 된다.
즉, 창문 중앙부에 제공되는 핸들아암의 가압시 핸들아암을 중심으로 한 소정구간의 양쪽에서 가압력이 전달되어 창문 개폐가 2개의 가압점으로부터 개폐되는 것으로 대형의 창문에 이용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창문 및 창문틀측 프레임(100)(200)과, 창문틀측 제1베이스부재(300), 창문측 제2베이스부재(400),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00)(400)를 연동바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핸들아암(600)과, 창문측 프레임(100)에 제공되어 핸들아암(600)의 좌우 선회시 회전축을 매개로 좌우 이송되는 이송부재에 하향 노출되게 구비되는 로크로울러(500),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200) 상에 좌우 양쪽으로 제공되며 상기 로크로울러(500)가 걸림/해제되도록 좌우 한 쌍의 록킹돌기(730)를 갖는 좌우 한 쌍의 록킹케이스(700)(700a)를 제공한다.
즉, 상기 핸들아암(600)이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00)(400)에 힌지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중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한 쌍의 록킹케이스(700)(700a)에 형성된 록킹돌기(730)에 로크로울러(500)가 걸림되어 창문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핸들아암(600)을 중립상태로 선회시키게 되면 록킹이 해제되며 동시에 핸들아암(600)을 당긴후 밀게되면 창문이 창문틀로부터 개방되게 된다.
상기 제1베이스부재(300)는, 창문틀측 프레임(100)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그 상면 일측에 수평단과 수직단을 갖는 절곡단(310)의 수직단 하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단은 창문 방향으로 소정구간 연장되고, 그 연장부위에는 회전용 링크브래킷(320)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2베이스부재(400)는, 창문측 프레임(100)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200)과의 밀착시 상기 링크브래킷(320)의 회전 중심과 동일 축상에 힌지홀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홀에는 회전축(420)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힌지홀에 회전가능토록 축방향을 따라 상기 창문측 프레임(100) 내측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에 피니언기어(421)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면 일측에 회전축(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단(422)을 돌출형성하며 이탈이 방지되도록 확개된 원형판(423)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단(422)은 상기 핸들아암(600)의 전방단과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원형판(423)에는 상기 원형판(423)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호형의 안내홈(424)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424)에 상기 핸들아암(600)이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 90도 각도로 회전되는 위치에 원형의 홈(42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판(423)의 외측에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400)에 결합되는 잠금구(430)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구(430)의 내주 둘레면 일측에는 스프링(431) 탄지력을 가지며 상기 홈들 중 하나의 홈(425)에 걸림되는록킹볼(432)이 돌출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창문측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이송부재(800)가 창문 폭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이송부재(800)의 중간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21)와 치합되는 랙바(8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재(800)의 양쪽 단부에는 로크로울러(500)가 각각 하향으로 노출되어 수평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아암(600)의 회전에 따른 힌지단(422)에 의해 상기 회전축(420)이 회전되면 피니언기어(421)가 회전되어 이송부재(800)을 회전방향으로 밀게되어 이송부재(800)의 양단 로크로울러(500)가 좌우 양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후술된 상기 록킹케이스(700)(700a)의 록킹돌기(730)에 각각 걸림/해제 된다.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록킹케이스(700)(700a)는,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200)의 상면에 노출되게 제공되며, 상기 이송부재(80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이송되는 로크로울러(500)를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200)에 양쪽으로 돌출 제공되어 록킹수단에 의해 돌출된 록킹돌기(730)가 로크로울러(500)를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케이스(700)(700a)내에 삽입되어 스프링(710) 탄지력으로 전후 이동하게 되는 이동판(720)과, 이 이동판(720)에 일체형으로 돌출 제공되는 한 쌍의 록킹돌기(730)이다.
다시말해, 상기 로크로울러(500)가 한 쌍의 록킹돌기(730) 사이에 위치되면 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로크로울러(500)가 록킹돌기(730) 중 하나에걸림되면 창문이 폐쇄상태가 된다. 폐쇄동작시 상기 로크로울러(500)는 록킹돌기(730)의 일측단에 제공된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록킹돌기(730)가 로크로울러(5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이동판(720)이 록킹케이스(700)(700a)내에서 스프링(710) 탄지력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잠금되어 안정된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아암(600)은, 전방 일단이 상기 힌지단(42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측에 수용홈(6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면에 손잡이(6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610)에는 일단이 상기 핸들아암(600)의 후방 타단과 힌지된 연동바(630)가 제공된다.
상기 연동바(630)는, 상기 핸들아암(600)과 힌지된 다른단부가 상기 링크브래킷(3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핸들아암(600)이 전방 제2베이스부재(400)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이 상하 회동되는 경우 상기 핸들아암(600)의 수용홈(61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핸들아암(600)과 제1베이스부재(300)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아암(600)은 힌지 결합된 상기 힌지단(422)에 대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되고, 또한 상기 연동바(630)의 양단부도 상기 핸들아암(600)과 상기 링크브래킷(320)에 동일한 상하로만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아암(600)은 초기 후방단부가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중 한방향 즉, 상기 회전축(420)과 링크브래킷(32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상하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하방향의 회동은 창문의 개폐방향 즉, 상기 핸들아암(600)과 회전축(420)의 힌지단(422)과 링크브래킷(320)이 동일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부호 640은 하향방지면으로 핸들아암(600)과 연동바(630)의 힌지부 누룸에 따른 수평 연결시 힌지부가 소정폭 하향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즉, 상기 연동바(630)와의 접촉점을 경사지게 하여 풍력에 의한 창문의 닫힘 방지 또는 외력에 의한 이탈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창문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 창문의 잠금상태에서는 핸들아암(600)이 상기 창문의 개폐방향과 직교된 방향 즉 좌우 양쪽중 한방향으로 선회된 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 창문측 프레임(100)에 내장된 이송부재(800)의 양단 로크로울러(500)가 창문틀측 프레임(200)의 록킹케이스(700)(700a)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730)에 걸림된 상태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 6a의 상태에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하면, 상기 핸들아암(600)의 후방단을 당김방향으로 90도 선회시켜 창문 개폐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러면 링크브래킷(320)이 회전되고 동시에 힌지단(422)이 회전축(420)을 선회시키면서 회전되며 연속해서 회전축(420)은 원형판(423)의 원형의 홈(425)이 록킹볼(432)로부터 이탈되면서 호형의 안내홈(424)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하단의 피니언기어(421)가 회전되어 랙바(810)를 창문폭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랙바(810)와 일체로된 이송부재(800)가 이송되면서 로크로울러(500)를 연동시키게 되어 로크로울러(500)가 록킹케이스(700)의 록킹돌기(7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잠금해제 상태가 되며 동시에 창문의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창문을 개방시키고자 하면, 핸들아암(600)의 노출면 손잡이(620)를 상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핸들아암(600)은 전방 힌지단(422)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힌지된 연동바(630)가 링크브래킷(320)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져 결국, 상기 핸들아암(600)은 창문틀측 프레임(200)에 고정된 상기 제1베이스부재(300)에 대해 창문측 프레임(100)에 고정된 제2베이스부재(400)를 밀게 되므로 창문틀로부터 창문이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연속해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같이 창문이 완전 개방되게 되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아암(600)과 연동바(630)를 힌지 연결시킨 힌지점이 수평상태보다 하향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면 창문에 외력이 발생되어도 힌지점을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없게 됨에 따라 창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창문을 폐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초기 개방상태와 역순으로 핸들아암(600)을 상향으로 당긴후 몸쪽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창문이 창문틀에 밀착되고 연속해서 핸들아암(600)을 좌우 양방향 중 한쪽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회전축(420)의 회전에 의해 이송부재(800)가 이송되면서 그 양단에 제공되는 로크로울러(500)가 록킹케이스(700)(700a)의 록킹돌기(730)에 슬라이드 걸림되도록 하여 창문이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는, 건물에 설치되는 여닫이 창문의 개방시 창문과 창문틀을 고정시킨 핸들아암의 손잡이를 당긴후 밀게되면 창문이 강한 풍력에도 견딜 수 있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창문 폐쇄시 핸들아암을 좌우 양쪽 중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아암의 전후방 당김력이 억제되어 안정된 클램핑력이 확보되며, 또한 회동된 핸들아암이 창문으로 노출되지 않고 창문틀에 밀착되어져 그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창문틀에 결합되는 창문이 소정폭 개방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측 프레임에 고정되며, 창문을 향한 연장단에 좌우 회전용 링크브래킷을 갖는 절곡단을 구비하여서 된 제1베이스부재;
    창문측 프레임에 고정되며, 창문틀측 프레임에의 밀착시 상기 링크브래킷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상기 창문측 프레임 내측까지 연장되어 회전되며 그 하단에 피니언기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회전축을 구비하여서 된 제2베이스부재;
    창문측 프레임 하단부에 내장되며, 그 중간위치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바가 일체로 결합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되고, 양단부에 상기 창문측 프레임 하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수평 회전하도록 된 로크로울러가 구비되는 이송부재;
    상기 창문틀측 프레임 상면에 양쪽으로 제공되며 상기 로크로울러의 좌우 중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시 스프링 탄지력을 갖는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로크로울러를 걸림 고정시키게 되는 각각 한 쌍의 록킹돌기를 갖는 한 쌍의 록킹케이스;
    전방일단이 상기 회전축 상단에 제공되는 힌지단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후방타단이 연동바를 매개로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링크브래킷과 회전축을 동시에 회전 또는 중립상태에서 상하 회동시 창문측 프레임을 창문틀측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케이스의 상하 관통홀내에 스프링 탄지력을 가지며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좌우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로크로울러의 이동에 따른 접촉시 스프링 탄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록킹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호형의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에 상기 핸들아암이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 90도 각도로 회전되는 위치에 원형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내주면에 스프링 탄지력으로 상기 원형의 홈으로 슬라이드 걸림되는 록킹볼을 갖는 잠금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제공되는 록킹돌기는, 대향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로크로울러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KR2020020023376U 2002-08-05 2002-08-05 창문 개폐장치 KR200293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76U KR200293480Y1 (ko) 2002-08-05 2002-08-05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76U KR200293480Y1 (ko) 2002-08-05 2002-08-05 창문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109A Division KR20040011031A (ko) 2002-07-26 2002-07-26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80Y1 true KR200293480Y1 (ko) 2002-10-30

Family

ID=7312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76U KR200293480Y1 (ko) 2002-08-05 2002-08-05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06B1 (ko) * 2019-07-09 2020-01-10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06B1 (ko) * 2019-07-09 2020-01-10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JPH0718935A (ja) ラッチ装置
KR100382892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93480Y1 (ko) 창문 개폐장치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040011031A (ko) 창문 개폐장치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48477Y1 (ko)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
JP2524824Y2 (ja) 開き窓のあおり止め装置
JPH0650631Y2 (ja) 揺動開閉窓の開閉装置
JP4081749B2 (ja) 扉装置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729273U (ja) すべり出し窓
KR20022350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422665Y2 (ko)
KR101942920B1 (ko) 도어 잠금 장치
JPH049407Y2 (ko)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53555Y1 (ko)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실내도어 개방수단
JPH0647111Y2 (ja) 天窓障子の自動ロック装置
JPH0741825Y2 (ja) 内倒し内開き窓
KR200349917Y1 (ko) 자동 창문 잠금장치
KR200361271Y1 (ko) 건축용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장치
JPH07208015A (ja) すべり出し窓
JPH05391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