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03Y1 -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03Y1
KR200223503Y1 KR2020000034105U KR20000034105U KR200223503Y1 KR 200223503 Y1 KR200223503 Y1 KR 200223503Y1 KR 2020000034105 U KR2020000034105 U KR 2020000034105U KR 20000034105 U KR20000034105 U KR 20000034105U KR 200223503 Y1 KR200223503 Y1 KR 200223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cam plate
hous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로 filed Critical 이병로
Priority to KR2020000034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03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실과 바란다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문의 잠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지렛대원리에 의해 문설주로부터 문이 자동으로 약간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캠판을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후크는 경사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항상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문의 닫힘 동작시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부딪히므로 인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에 손잡이(3)의 축(2)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의 누름동작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에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는 지지면(13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토퍼(13b)가 형성되며 장공(13c)이 구비된 캠판(13)과, 상기 캠판의 직하방에 핀(1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는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된 상태에서 스토퍼(13b)에 걸리는 돌기(16a)가 형성된 후크(16)와, 상기 캠판과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14)와, 상기 후크와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후크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후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제 2 탄성부재(17)와, 상기 캠판에 형성된 장공(13c)에 핀(19)으로 끼워져 수평 운동하는 푸셔(18)와, 문설주(12)에 고정되어 문이 닫힌상태에서 후크(16)가 걸리는 통공(11a)이 구비된 스트라이커(1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본 고안은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거실과 바란다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미닫이 문에는 문의 중첩부에 걸림고리와 걸림편을 각각 고정하여 문이 닫힌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어 잠금장치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 및 문의 조립정도에 따라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거나, 걸 수 없게 된다.
즉,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가 부정확하거나, 문의 조립정도가 불량할 경우에는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음은 물론 사용중 부주의로 걸림고리와 걸림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 파손될 경우에도 잠금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손잡이를 문에 부착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와 잠금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의 내부에 축(2)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4)을 통해 출몰하는 후크(5)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편(6)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축과 회동편사이에는 손잡이(3)의 회전력을 회동편(6)에 전달하는 링크(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링크(8)의 일단은 축(2)에 핀(9)으로 결합되어 있고 링크(8)의 다른 일단에 고정된 가동핀(10)은 회동편(6)에 형성된 장공(6a)에 끼워져 있는데, 상기 가동핀(10)은 하우징(1)에 곡선형대로 형성된 가이드홈(1a)에도 동시에 끼워져 축(2)의 회동시 회동편(6)과 함께 가이드홈(1a)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와 같은 상태는 회동편(6)에 형성된 후크(5)가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을 닫기 위해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문을 밀면 문이 닫히게 되는데,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를 문의 닫힘방향인 도 1a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된 축(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축에 핀(9)으로 결합된 링크(8)도 함께 회동될려고 하지만, 상기 링크의 다른 일단은 링크의 다른 일단에 고정된 가동핀(10)이 회동편(6)의 장공(6a)과 하우징(1)에 형성된 가이드홈(1a)내에 동시에 끼워져 있으므로 회동편(6)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회동편(6)의 후크(5)가 도 1b와 같이 구멍(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스트라이커(11)내에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문을 열기 위해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밀면 축(2)의 회전으로 가이드홈(1a)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가동핀(10)이 가이드홈(1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회동편(6)을 회동시켜 도 1a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문의 개방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가 문이 잠김상태에서 개방시 중량체(약 60 -100Kg 정도)의 문을 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음은 물론 바퀴역할을 하는 호차(도시는 생략함)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더 더욱 문을 개폐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둘째, 호차가 파손되어 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중량체의 문을 닫을 때 손잡이가 회전되어 후크(5)가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문설주(12)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1)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5) 또는 스트라이커(11)가 파손되었다.
셋째, 부주의로 후크(5)가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문을 닫을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넷째, 링크(8)를 이용하여 회동편(6)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창문 프레임의 폭(b)이 커야 만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창문 프라임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다.
다섯째, 링크(8)에 고정된 가동핀(10)을 회동편(6)의 장공(6a) 및 하우징(1)의 가이드홈(1a)에 조립하는 작업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문의 잠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지렛대원리에 의해 문설주로부터 문이 자동으로 약간 열리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캠판을 일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후크는 경사면에 외력이 작용될 때 항상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문의 닫힘동작시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부딪히므로 인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에 손잡이의 축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의 누름 동작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에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장공이 구비된 캠판과, 상기 캠판의 직하방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는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된 상태에서 스토퍼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후크와, 상기 캠판과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후크와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후크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후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캠판에 형성된 장공에 핀으로 끼워져 수평 운동하는 푸셔와, 문설주에 고정되어 문이 닫힌상태에서 후크가 걸리는 통공이 구비된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1a은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1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결합상태도로서,
도 3a는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3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 3c는 미닫이문이 닫힌상태에서 손잡이의 회동으로 후크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푸셔가 문을 약간 개방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3 : 손잡이
11 : 스트라이커 13 : 캠판
13a : 지지면 13b : 스토퍼
14 : 제 1 탄성부재 16 : 후크
16a : 돌기 17 : 제 2 탄성부재
18 : 푸셔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1)내에 손잡이(3)의 축(2)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에는 캠판(13)이 고정되어 있어 손잡이(3)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판(13)에 형성된 지지면(13a)이 하우징(1)의 내면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캠판(13)과 하우징사이에는 손잡이(3)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판(13)의 지지면(13a)이 하우징(1)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하거나, 손잡이로부터 외력이 제거되면 캠판(13)을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제 1 탄성부재(1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판(13)의 하부에 스토퍼(1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에는 핀(1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캠판(13)의 직하방에 설치된 후크(16)의 돌기(16a)가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16)와 하우징(1)사이에는 후크(16)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후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돌기(16a)가 스토퍼(13b)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핀(15)을 중심으로 회동하였던 후크(16)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기 위한 제 2 탄성부재(1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판(13)과 후크(16)는 사출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판상의 시트를 여러매의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판(13)에 형성된 장공(13c)에는 캠판(13)의 회동운동에 따라 수평 운동하는 푸셔(18)가 핀(19)으로 끼워져 있고 문설주(12)에는 문이 닫힌상태에서 후크(16)가 걸리는 통공(11a)이 구비된 스트라이커(1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캠판(13)의 회동 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을 하는 푸셔(18)는 하우징(1)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돌기(1b)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된 수평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문이 열리고 손잡이(3)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2 탄성부재(14)(17)에 의해 캠판(13)에 형성된 지지면(13a)이 하우징(1)의 내면에 접속되어 있고 후크(16)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캠판(13)에 형성된 스토퍼(13b)에 후크(16)의 돌기(16a)가 걸려 있으며, 푸셔(18)는 하우징(1)내에 최대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3a와 같이 캠판(13)이 상측에 위치되고, 후크(16)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문의 닫음 동작시 캠판(13)에 형성된 지지면(13a)이 하우징(1)의 내면에 접속되도록 하여 손잡이(3)가 회동하지 않아야 되므로 손잡이(3)를 하우징(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되지만,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캠판(13)이 하측에 위치되고, 후크(16)가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손잡이(3)가 상측에 위치되어야 문의 닫음 동작시 손잡이(3)가 회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3)를 파지한 다음 문의 닫힘방향으로 잡아당겨 후크(16)가 문설주(1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1)에 부딪히면 경사면(16b)에 의해 제 2탄성부재(17)를 인장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스트라이커(11)의 통공(11a)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후크(16)는 캠판(13)에 형성된 스토퍼(13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후크(16)의 경사면(16b)이 스트라이커(11)에 부딪히는 순간 제 2 탄성부재(17)를 인장시키면서 후크(16)가 회동하게 되므로 이들의 충돌에 따른 파손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후크(16)가 스트라이커(11)의 통공(11a)을 통과하여 문이 완전히 닫히고 나면 후크(16)에 작용하고 있던 외력(스트라이커와의 충돌)이 제거되어 제 2 탄성부재(17)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16a)가 스토퍼(13b)에 맞닿는 지점까지 회동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 3b와 같이 후크(16)가 스트라이커(11)에 걸려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정과 같은 별도의 잠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문을 닫는 동작만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문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문이 잠겨있는 상태에서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3)를 파지한 다음 잡아당기면 캠판(13)과 축(2)으로 고정된 손잡이(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와 축(2)으로 고정된 캠판(13)이 제 1 탄성부재(14)를 인장시키면서 손잡이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판(13)에 형성된 스토퍼(13b)가 후크(16)의 돌기(16a)를 밀어주게 되므로 후크(16)가 핀(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문의 잠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캠판(1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캠판(13)에 형성된 장공(13c)내에 푸셔(18)가 핀(19)으로 끼워져 있어 캠판(13)의 회동에 따라 핀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하우징(1)내에 수용되어 있던 푸셔(18)가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면서 문의 열림방향으로 문을 밀어내게 되므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이 약간 열리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3)를 잡아당김에 따라 캠판(13)이 회동하여 문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키면서 푸셔(18)를 동시에 전진시켜 문을 약간 개방하는 동작은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힘이 약한 노약자들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중량체의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문의 초기 개방시 후크(16)의 잠김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푸셔(18)의 전진으로 문이 약간 열리기 시작하면 중량체의 문은 관성력에 의해 손쉽게 개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이 잠긴상태에서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문의 잠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됨과 동시에 지렛대원리에 의해 푸셔가 전진하면서 문을 약간 열게 되므로 노약자들도 손쉽게 중량체의 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스트라이커에 걸려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가 항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문의 닫음 동작시 스트라이커에 부딪히므로 인해 후크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캠판의 회동에 따라 후크를 직접 회동시키거나, 푸셔를 수평 운동시키기 때문에 창문 프레임의 폭이 작은 경우에도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3)

  1. 하우징에 손잡이의 축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의 누름 동작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에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장공이 구비된 캠판과, 상기 캠판의 직하방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는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된 상태에서 스토퍼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후크와, 상기 캠판과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판의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후크와 하우징사이에 연결되어 후크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후크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캠판에 형성된 장공에 핀으로 끼워져 수평 운동하는 푸셔와, 문설주에 고정되어 문이 닫힌 상태에서 후크가 걸리는 통공이 구비된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판과 후크가 판상의 시트를 여러매의 적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가이드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캠판의 회동 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을 하는 푸셔가 가이드돌기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0000034105U 2000-12-05 2000-12-05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23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05U KR200223503Y1 (ko) 2000-12-05 2000-12-05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05U KR200223503Y1 (ko) 2000-12-05 2000-12-05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142A Division KR100382892B1 (ko) 2000-12-04 2000-12-04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03Y1 true KR200223503Y1 (ko) 2001-05-15

Family

ID=7306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105U KR200223503Y1 (ko) 2000-12-05 2000-12-05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73A (ko) * 2001-12-28 2003-07-04 오알지 주식회사 벽면 부착용 보관함의 잠금장치 락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73A (ko) * 2001-12-28 2003-07-04 오알지 주식회사 벽면 부착용 보관함의 잠금장치 락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892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2350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162618B1 (ko) 도어 손잡이
US3041098A (en) Latch assembly for surface-mounted doors
JPH0941763A (ja) ドアの開閉装置
JP2580077Y2 (ja) 錠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の空動き防止装置
JP3313279B2 (ja) 戸先錠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JP4279419B2 (ja) 引戸用ガードアーム錠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JPH0240696Y2 (ko)
JPH0532603Y2 (ko)
JP2900166B2 (ja) 引戸用施錠装置
KR200293480Y1 (ko) 창문 개폐장치
JPH10238188A (ja) 戸先錠
JPH082369Y2 (ja) 揺動開閉窓の閉窓ロツク装置
KR200216755Y1 (ko) 출입문 잠금장치
JP3127802B2 (ja) サッシ
JPS585001Y2 (ja) 物品保管庫等における折り畳み扉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