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87Y1 -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87Y1
KR200244487Y1 KR2020010015595U KR20010015595U KR200244487Y1 KR 200244487 Y1 KR200244487 Y1 KR 200244487Y1 KR 2020010015595 U KR2020010015595 U KR 2020010015595U KR 20010015595 U KR20010015595 U KR 20010015595U KR 200244487 Y1 KR200244487 Y1 KR 200244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ox
main body
parti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2020010015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87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지를 꽂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메모지를 꺼내어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메모지박스에 관한 것으로, 메모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부 및 본체부에 설치되고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장박스로서의 기능은 물론이고, 소비자가 메모지를 보관하는 메모지박스로서의 기능도 하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폐기처분에 따른 종이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고, 만들기 쉬우며, 별도의 메모지박스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메모지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광고표시부에 필요한 광고문구가 인쇄될 수 있어 뛰어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box for memo paper having a use packaging box}
본 고안은 메모지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지를 꽂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메모지를 꺼내어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메모지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지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유통되며, 그 보관형태 역시 다양하다. 이러한 메모지가 제작되어 유통되는 것을 유형별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지제본 형태의 메모지로 이는 종이에 필요한 내용을 인쇄 후 일반 노트처럼 표지를 입혀 제본한 것으로, 이는 박스포장되어 유통되며 노트 형태로 보관되다가 메모가 필요한 사람에 의해 하나씩 떼어져서 사용된다. 그 외에 통상 말하는 떡제본 형태의 메모지로 이는 종이에 필요한 내용을 인쇄 후 그 일측 가장자리를 서로 접착하여 된 것으로, 이 역시 박스포장되어 유통되며, 필요한 장소에 두었다가 필요한 사람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어 사용된다. 그 외에 낱장 형태의 메모지로 이는 종이에 인쇄 후 이를 동일 크기로 재단하여 된 것으로, 이는 포장 박스에 넣어져 유통되며,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별도의 메모지 함에 넣어져 보관되다가 필요한 사람에 의해 뽑혀져 사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지는 유통시 박스포장되기 때문에 그 사용과정에서는 포장에 사용되었던 박스는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자원낭비가 초래된다.
또, 대부분의 메모지는 사출성형 등으로 만들어진 별도의 메모지박스에 넣어져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메모지박스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메모지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박스가 메모지박스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포장박스의 낭비를 줄이고, 별도의 메모지박스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메모지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지 사용자에 대한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도 1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에 메모지를 넣고 뚜껑을 열어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로 메모지를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의 메모지박스로서의 일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따른 박스의 메모지박스로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모지 100 : 메모지 박스
112 : 내부공간 114 : 개구
116 : 측벽 118 : 바닥
119 : 접착부 120 : 칸막이부
122 : 절곡체 124 : 광고표시부
130 : 뚜껑부 140 : 칸막이지지부
본 고안의 목적은 메모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메모지박스에 있어서,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부 및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고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칸막이부는 본체부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주보고 한 쌍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지 않는 칸막이부의 상면이 광고표시부로 이용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좋다.
위 뚜껑부는 본체부에서 쉽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와의 연결부위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는 칸막이부의 적어도 일측은 절개되어 마주보는 본체부의 일 측벽을 향해 절곡되어 마주보는 본체부의 측벽과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거나 그 반대편으로 절곡되어 메모지를 지지하여주는 절곡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 칸막이부의 측부를 반대편을 향해 밀어주어 칸막이부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칸막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본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110)는 메모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12)을 둘러싸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110)는 4개의 측벽(116)들과 바닥(118)으로 이루어지며, 바닥(118)은 도 2 전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일반 포장박스에서와 같이 점선을 따라 접어서 형성하면 된다. 물론, 이 바닥(118)은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칸막이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칸막이부(120)는 본체부(110)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을 본체부(110) 내부로 접어 넣어 내부공간(112)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칸막이부(1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주보고 한 쌍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칸막이부(120)의 일측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된 절곡체(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체(122)는 칸막이부(120)가 본체부(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마주보는 측벽(116)과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도록 하거나, 경우에 따라 그 반대편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메모지 하단을 받쳐주어 메모지가 본체부(110)의 개구(114) 위쪽으로 돌출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메모지를 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칸막이부(120)는 경우에 따라 하나만 설치하여도 된다. 이 칸막이부(120)의 일측이 본체부(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측은 대략 수평면 상에서 안쪽이 조금 낮게 되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이는 메모지의 상단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메모지가 쉽게 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상부 표면에 광고를 나타낼 수 있는 광고표시부(124)가 구비된다. 이는 도 3을 보면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뚜껑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뚜껑부(130)는 메모지를 포장하여 유통시키고자하는 경우에 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114)를 닫아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거나 메모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뚜껑부(130)의 저부 본체부(110)와의 연결부위 일부는 절개되어 있어 뚜껑부(13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유통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메모지박스로 사용할 때에는 뚜껑부(130)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칸막이지지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칸막이지지부(140)는 칸막이부(120)보다 먼저 본체부(110)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것으로, 본체부(110) 내부로 삽입된 칸막이부(120)의 일측을 반대편으로 밀어주어 칸막이부(120)가 흔들리거나 본체부(110)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칸막이지지부(140)는 칸막이부(120)의 설치부분에 수직한 본체부(110)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꺼운 종이를 절단하여 필요한 부분에 광고문구 등을 인쇄하고, 본체부(110)의 각 부분을 점선을 따라 접어서 왼쪽 가장자리에 있는 접착부(119)를 오른쪽 가장자리에 있는 측벽(116)의 내부에 접착제로 부착하고, 나머지는 모두 점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하면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만들기도 쉽다.
도 3은 도 1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에 메모지를 넣고 뚜껑을 열어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로 메모지를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메모지박스(100)의 양측 칸막이부(120) 일부를 각각 본체부(110) 안으로 삽입하고, 그 사이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지(10)를 넣어서 뚜껑부(130)를 닫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지(10)가 포장된 상태가 된다. 물론,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뚜껑부(130) 하단 부근의 칸막이지지부(140)는 도 4에서와는 달리 본체부(110) 내부로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게 하면 칸막이지지부(140)는 도 4 메모지(10)를 덮어 먼지나 이물질이 메모지(10)에 묻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지(10)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에 의해 포장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의 메모지박스로서의 일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따른 박스의 메모지박스로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소비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메모지(10)를 구입하여 뚜껑부(130)를 연 다음 뚜껑부(130)를 제거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필요한 위치에 메모지박스(100)를 배치하여 두고 필요할 때마다 메모지(10)를 한 장씩 뽑아서 사용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앞에서 설명한 칸막이부(120)에 형성된 절곡체(122)를 타측 칸막이부(120)를 향해 절곡시켜 절곡체(122)가 메모지(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메모지박스(100)로 사용하여도 되는데, 그 사용 상태는 도 6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메모지(10)가 메모지박스(100) 위쪽으로 더 돌출 되어 메모지(10)가 더 수월하게 뽑힌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는 최종소비자에 도달된 상태에서도 버려지지 않고 사용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칸막이부(120)를 본체부(110)의 상단 일측에만 설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칸막이부(120)의 수평으로 배치되는 부분, 즉 광고표시부(124)의 폭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나머지, 본체부(110), 뚜껑부(130), 칸막이지지부(140)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는 포장박스로서의 기능은 물론이고, 소비자가 메모지를 보관하는 메모지박스로서의 기능도 하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폐기처분에 따른 종이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는 만들기 쉬우며, 별도의 메모지박스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메모지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광고표시부에 필요한 광고문구가 인쇄될 수 있어 뛰어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5)

  1. 메모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메모지 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상기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주보고 한 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지 않는 상기 칸막이부의 상면이 광고표시부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쉽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의 연결부위가 절개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는 상기 칸막이부의 적어도 일측은 절개되어 마주보는 본체부의 일 측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마주보는 본체부의 측벽과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거나 그 반대편으로 절곡되어 메모지를 지지하는 절곡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부 내부로 꺾여 들어가 상기 칸막이부의 측부를 반대편을 향해 밀어주어 상기 칸막이부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칸막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KR2020010015595U 2001-05-26 2001-05-26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KR200244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95U KR200244487Y1 (ko) 2001-05-26 2001-05-26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95U KR200244487Y1 (ko) 2001-05-26 2001-05-26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87Y1 true KR200244487Y1 (ko) 2001-10-15

Family

ID=7310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95U KR200244487Y1 (ko) 2001-05-26 2001-05-26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60B1 (ko) 2008-02-29 2010-07-15 주식회사 지피피 케익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60B1 (ko) 2008-02-29 2010-07-15 주식회사 지피피 케익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5506B2 (ja) 紙巻き煙草用ヒンジ蓋付きパック
JP4975803B2 (ja) 付加的な一体型パネルを有するヒンジ蓋容器
JP5463556B2 (ja) 煙草製品のための箱とそれに対応するボール紙のブランク
US20080000118A1 (en) Display apparatus for sales promotion
KR20050007456A (ko) 궐련 용기
KR200244487Y1 (ko) 포장박스 겸용 메모지박스
JPH08207973A (ja) 紙巻き煙草などの直方体のパック
US20010006152A1 (en) Box
JP6672807B2 (ja) 吊り下げ包装箱
JP2540678Y2 (ja) 瓶類の包装用箱
JP2581795Y2 (ja) 仕切付紙箱
JP2003160124A (ja) 額縁等包装箱
JP2000159221A (ja) 一個箱
JP4888020B2 (ja) 個別包装物品用紙箱
JPH0650339Y2 (ja) 切花の包装箱
JP3079892U (ja) 包装容器
KR200404516Y1 (ko) 다용도 휴대용 화장지 지갑
JP2007308177A (ja) 包装用箱
KR200185914Y1 (ko) 다목적 종이상자
JP3048474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箱
JP2007314193A (ja) タバコパッケージ用付属容器
KR970002006Y1 (ko) 포장용 상자
JP3023435U (ja) 座席カバー収納ケース
JP2604969Y2 (ja) 電気製品などの化粧箱
JP6023944B2 (ja) 煙草製品のための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