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006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006Y1
KR970002006Y1 KR2019930006735U KR930006735U KR970002006Y1 KR 970002006 Y1 KR970002006 Y1 KR 970002006Y1 KR 2019930006735 U KR2019930006735 U KR 2019930006735U KR 930006735 U KR930006735 U KR 930006735U KR 970002006 Y1 KR970002006 Y1 KR 970002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resent
support
packing box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696U (ko
Inventor
안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최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최준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Priority to KR2019930006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006Y1/ko
Publication of KR940024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6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1차 조립 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2차 조립 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일부 조립 상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3차 조립 상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4차 조립 상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조립완료 상태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뚜껑
3 : 연결 경사면 4 : 바닥면
5 : 경사면 6 : 수직 측면
7 : 절개부 8 : 삽입부
9 : 내벽 10 : 보강편
11 : 경사 모서리부 12 : 모서리 지지부
13 : 뚜껑 지지부 14 : 천공부
15 : 접착면 16 : 뚜껑 측면
17 : 뚜껑 내면 18 : 천공부
19 : 삽입부 20 : 보강 측면
21 : 측면 보강편 22 : 뚜껑 보강편
본 고안은 완충기능과 제품보호기능이 탁월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전자오락용 소프트웨어 칩이나 플로피 디스크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중상자형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 상자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스치로폴 등을 설치해서 완충 및 보호기능을 갖도록 했고, 이보다 개량된 것으로는 이중상자로서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35-23685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스치로폴은 재생이 불가능한 공해물질로 사용이 억제되어야 하며, 종래의 이중상자는 디자인이 거의 고려되지 아니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형으로서 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고, 바닥면이나 측면만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면 보호에 취약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직육면체로 되면서도 외관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미려하면서도 견고하고 특히 상면도 이중구조를 이루는 포장 상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본 고안은 두꺼운 종이에 전개도를 오려서 접는 구조(이하 대칭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로서 몸체(1)와 뚜껑(2)이 연결 경사면(3)으로 연결되고, 몸체(1)의 바닥면(4)을 중심으로 경사면(5)과 수직측면(6)이 형성되며 경사면(5)에는 절개부(7)와 삽입부((8)가 형성된 내벽(9), 보강편(10)이 형성된 경사 모서리부(11)가 형성되고 수직측면(6)에는 모서리 지지부(12)와 뚜껑 지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지지부(13)에는 삽입부(8)를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천공구(14)와 접착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2)에는 뚜껑 측면(16)과 뚜껑 앞면(16')이 형성되고, 뚜껑 측면(16)에 연하여 뚜껑 내면(17)이 형성되며 뚜껑 내면(17)에는 천공부(18)와 삽입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0은 보강 측면, 21은 측면 보강편, 22는 뚜껑 보강편, 23은 뚜껑 상면이며 도면중 점선부분은 접는 부분이며, 실선은 절단선을 나타낸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전개도로서 우선 뚜껑(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뚜껑 측면(16)을 뚜껑 상면(23)에 대하여 90도로 세우고 각 뚜껑 내면(17)을 뚜껑 측면(16)에 대하여 90도로 절곡하여 겹치도록 한 다음 삽입부(19)를 천공부(18)에 삽입하고, 전면이 뚜껑 보강편(22)을 접은 후 그 외측에서 뚜껑 앞면(16')을 접도록 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위와 같이 전체를 순차로 접으면서 우선 뚜껑(2)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상자의 뚜껑 지지부(13)를 접은 상태의 일부확대 사시도로서 뚜껑 지지부(13)는 계단 형태로 접혀서 포장 상자 내의 일측에 형성되며 조립완성시에는 뚜껑(2)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뚜껑 지지부(13)의 접착면(15)은 바닥면(4)과 나란히 중첩되어 바닥면(4)과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천공부(14)에는 내벽(9)의 절개부(7)에 의해 형성된 삽입부(8)를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뚜껑 지지부(13)와 함께 그 양측의 모서리 지지부(12)를 접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서리 지지부(12)는 내측으로 접혀서 경사진 모서리를 이루고 삽입부(8)가 이를 감싸듯이 접혀서 천공부(14)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내벽(9)과 경사면(5)을 접을 때 경사 모서리부(11)도 접게 되는데, 경사 모서리부(11)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보강편(10)은 바닥면(4)과 중첩된다.
한편, 연결 경사면(3)의 양측에 형성된 보강측면(20)과 측면 보강편(21)은 뚜껑(2)을 닫을 때 각각 경사 모서리부(11)와 보강편(10)에 나란히 겹치게 된다.
제6도는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뚜껑(2)을 닫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7도는 뚜껑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스치로폴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중상자 기능을 갖게 되며, 특히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상면까지 이중구조를 갖게 하여 보호 및 완충기능이 뛰어나며 사다리꼴형으로서 디자인적인 측면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중구조의 상자에 있어서,
    몸체(1)와 뚜껑(2)이 연결 경사면(3)으로 연결되고, 몸체(1)의 바닥면(4)을 중심으로 경사면(5)과 수직 측면(6)이 형성되며 경사면(5)에는 절개부(7)와 삽입부(8)가 형성된 내벽(9), 보강편(10)이 형성된 경사 모서리부(11)가 형성되고, 수직 측면(6)에는 모서리 지지부(12)와 뚜껑 지지부(13)가 형성되며 뚜껑 지지부(13)에는 삽입부(8)를 삽입시킬 수 있는 천공부(14)와 접착면(15)이 형성되고 뚜껑(2)에는 뚜껑 측면(16)과 뚜껑 앞면(16')이 형성되고 뚜껑 측면(16)에 연하여 뚜껑 내면(17)이 형성되며 뚜껑 내면(17)에는 천공부(18)와 삽입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2019930006735U 1993-04-24 1993-04-24 포장용 상자 KR970002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735U KR970002006Y1 (ko) 1993-04-24 1993-04-24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735U KR970002006Y1 (ko) 1993-04-24 1993-04-24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96U KR940024696U (ko) 1994-11-17
KR970002006Y1 true KR970002006Y1 (ko) 1997-03-17

Family

ID=1935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735U KR970002006Y1 (ko) 1993-04-24 1993-04-24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0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96U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982A (en) Relating to packaging containers
EP0666218B1 (en) Blank for obtaining an American box which is easy to open and the box thus obtained
CA2283888A1 (en) Container and blank for making same
US6029885A (en) Rapid assembly box
KR970002006Y1 (ko) 포장용 상자
KR930011917A (ko) 뚜껑이 경첩된 모서리가 둥근 담배갑과 그 제조블랭크
JPH049312Y2 (ko)
JPH0714182Y2 (ja) 包装箱
JPH10291522A (ja) 瓶容器包装用紙箱
JP3313079B2 (ja) 包装箱
CN216806183U (zh) 一种便携式鸡蛋包装盒结构
JP2726986B2 (ja) フロッピー用セパレーツ郵送ケース
JP3223951B2 (ja) 電子機器の包装容器
JP2003160124A (ja) 額縁等包装箱
JPS6129619Y2 (ko)
JP2628026B2 (ja) フロッピー用郵送ケース
JP2767567B2 (ja) フロッピー用郵送ケース
EP0773170A1 (en) Container
JPH08230868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JPH0739786Y2 (ja) 箱の蓋構造
JPH0650339Y2 (ja) 切花の包装箱
JP2537114Y2 (ja) 梱包用箱体
JPH06298243A (ja) 包装用底板
JP2022172533A (ja) 包装用箱
JP2004189237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