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972Y1 - 자동차의텐셔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텐셔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72Y1
KR200243972Y1 KR2019980020692U KR19980020692U KR200243972Y1 KR 200243972 Y1 KR200243972 Y1 KR 200243972Y1 KR 2019980020692 U KR2019980020692 U KR 2019980020692U KR 19980020692 U KR19980020692 U KR 19980020692U KR 200243972 Y1 KR200243972 Y1 KR 200243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heck ball
spring
oil passage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832U (ko
Inventor
세 영 이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20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7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7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래시에 의한 과다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플런저의 일측에 보조 플런저를 설치하여 백래시를 적게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해결하기 위한 텐셔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는 수직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오일통로가 형성되며, 그 타측부에 삽재부가 형성된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도록 오일통로가 형성된 체크 볼 시트와, 상기 체크 볼 시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크 볼, 그리고 상기 체크 볼의 상부에 덮여지듯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측부에 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상부에 끼워져 상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래칫과 맞물리는 포울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재부에 삽설되는 보조 플런저와, 상기 보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해 삽재부에 삽설된 스프링 및 스프링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래시에 의한 과다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플런저의 일측에 보조 플런저를 설치하여 백래시를 적게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해결하기 위한 텐셔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셔너는 "장력, 응력, 팽창력"의 뜻으로 체인 텐셔너 또는 오토 텐셔너라고 불리며, 벨트 구동식이나 체인 구동식에서 벨트나 체인이 늘어지게 되면 밸브의 개폐시기가 틀려진다. 그러므로 유압이나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팽배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므로 밸브 개폐를 정확하게 한다.
체인이 회전할 경우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체인 가이드를 스프링의 반력을 이용하여 바깥에서 밀어 붙이는 타입과 안쪽에서 끌어당기는 타입이 있다.
종래의 체인 오토 텐셔너는 래칫이 없이 플런저만 있는 체크 볼 밸브 타입과, 체크 볼 밸브 없이 래칫만 있는 래칫 타입이 있었으나, 체크 볼 밸브 타입은 초기시동시 오일이 공급되기 전에는 텐셔너의 스프링 힘만으로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므로 댐핑의 효과가 없고 힘이 약해 체인의 떨림이 심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래칫 타입은 체크 볼이 없어 오일에 의한 댐핑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체크 볼 타입과 래칫 타입의 두가지를 결합시킨 콤비네이션 타입을 사용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콤비네이션 타입의 텐셔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상세도이다.
바디(100)의 하단부 좌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오일통로(1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하부에는 체크 볼 시트(118)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는 플런저(11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110)의 상단에는 접촉단부(112)가 안착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10)의 내측은 캐비티가 형성되고 안쪽으로는 스프링(114)이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측부에는 래칫(126)이 형성되어 포울(124)과 맞물려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포울(124)은 힌지(12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하부로 연장 고정된 포울 고정핀(1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볼 시트(118)의 상단부에는 체크 볼(120)이 안착설치되어 있고, 체크 볼(120)의 상부에 스프링 리테이너(122)가 덮여져 상기 스프링(114)을 받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오일통로(116)와 연결되는 오일통로(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텐셔너는 상기 래칫(126)과 포울(124)이 맞물려 있을 때 그 하부에 백래시(b)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텐셔너는 초기 시동시 텐셔너에 오일이 공급되기전 플런저는 체인의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후방의 이동은 래칫이 플저에 물려 제한되므로 시동시 체인 떨림이 줄어든다.
또한, 체크 볼이 있어서 체인 텐션 변동시 오일에 의해 체인의 떨림이 댐핑된다.
그러나, 상기 래칫 타입은 일단 플런저가 체인 떨림을 보상해주기 위해 전방향으로 돌출되면 체인의 텐션이 증대되어도 래칫의 백 래시 내에서만 후방향으로 후퇴되어 과대 텐션이 걸릴시 플런저의 후방 움직임이 제한되어 체인의 과대 텐션에 의한 체인 및 스프로켓의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텐셔너의 체인에 과다한 하중이 걸릴 경우 플런저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과대 텐션을 조절되도록 구성하고, 항상 적절한 장력이 걸리게 하여 체인 및 스프로켓의 과다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텐셔너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요부 상세도.
도 3 은 본 고안의 텐셔너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텐셔너 바디 12 오일통로
14 체크 볼 시트 16 메인 플런저
18 접촉구 20 스프링
22,30 스프링 리테이너 24 체크 볼
26 래칫 28 보조 플런저
30 보디 32 포울(pawl)
34 삽재부
본 고안의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는 수직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오일통로가 형성되며, 그 타측부에 삽재부가 형성된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도록 오일통로가 형성된 체크 볼 시트와,
상기 체크 볼 시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크 볼, 그리고 상기 체크 볼의 상부에 덮여지듯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측부에 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상부에 끼워져 상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래칫과 맞물리는 포울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재부에 삽설되는 보조 플런저와,
상기 보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해 삽재부에 삽설된 스프링 및 스프링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한 삽입부(36)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오일통로(12)가 형성되며, 그 타측부에 삽재부(34)가 형성된 플런저 바디(10)와,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오일통로(12)와 연결되도록 오일통로(12)가 형성된 체크 볼 시트(14)와,
상기 체크 볼 시트(14)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크 볼(24), 그리고 상기 체크 볼(24)의 상부에 덮여지듯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22)와,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측부에 래칫(26)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메인 플런저(16)와,
상기 메인 플런저(16)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22)의 상부에 끼워져 상기 메인 메인 플런저(16)를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20)과
상기 메인 메인 플런저(16)의 래칫(26)과 맞물리는 포울(32)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삽재부(34)에 삽설되는 보조 플런저(28)와,
상기 보조 플런저(28)를 탄지하기 위해 삽재부(34)에 삽설된 스프링(40) 및 스프링 리테이너(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상단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런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플런저 바디(10)는 중앙 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부(36)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오일통로(12)가 형성되며, 그 오일통로(12)의 타측부에는 삽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하부에서 위방향으로는 체크 볼 시트(14)가 삽설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상단베은 접촉구(18)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크 볼 시트(14)는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오일통로(12)와 연결되는 오일통로(12)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삽입부(36)로 보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 볼 시트(14)의 상부에는 체크 볼(24)이 안착되어 있고, 그 상부로는 스프링 리테이너(22)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22)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오일통로(12)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플런저 바디(10)의 내측으로 유도한다.
또한, 스프링(20)이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22)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 메인 플런저(16)가 삽입부(36)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20)과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메인 플런저(10)의 외측 일면에는 래칫(26)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플런저 바디(10)의 삽재부(34)에 보조 플런저(28)가 삽입 설치하고, 그 보조 플런저(28)의 일측부에는 포울(32)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런저(10)의 래칫(26)과 맞물리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플런저(28)의 후부에는 스프링(40)을 탄설하고, 스프링(4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스프링 리테이너(30)를 삽재부(34)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텐셔너 구조는 초기 시동시 오일이 유입되기까지는 스프링(20)의 탄성이 작용하여 메인 플런저(1)를 밀어 체인에 장력을 주고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는 보조 플런저(28)의 포울(32)이 래칫(26)의 후방향 이동을 백 래시 범위내에서 제한하여 체인의 떨림을 잡아주므로서 시동시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후, 오일이 공급되면 오일이 오일통로(12)를 따라 유입됨에 따라 체크 볼 시트(14)의 오일통로(12)로 유입되고, 상기 체크 볼(24)을 밀어 올리면서 스프링 리테이너(22)의 관통공으로 흘러들어가면서 메인 플런저(16)를 밀어올리고, 일부의 오일은 삽재부(34)에 설치된 보조 플런저(28)를 밀게 되어 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플런저(16)의 래칫(26)과 보조 플런저(28)의 포울(40)이 미끄러짐과 동시에 분리되면서 메인 플런저(16)는 후방향의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체인 텐션의 과대 증대시에도 메인 플런저(16)가 뒤로 이동하여 과다 텐션을 방지하고, 이때는 체크 볼(24)이 체크 볼 시트(14)의 오일통로(12)를 막으므로 체인 텐션이 오일에 의해 댐핑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텐셔너는 체인의 텐션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인에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인 및 스프로켓의 과다한 마모를 방지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초기 시동시의 떨림을 방지하므로서 소음이 줄어 안전성과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오일통로가 형성되며, 그 타측부에 삽재부가 형성된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도록 오일통로가 형성된 체크 볼 시트와,
    상기 체크 볼 시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크 볼, 그리고 상기 체크 볼의 상부에 덮혀지듯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측부에 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상부에 끼워져 상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래칫과 맞물리는 포올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삽재부에 삽설되는 보조 플런저와,
    상기 보조 플런저를 탄지하기 위해 삽재부에 삽설된 스프링 및 스프링 리테이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볼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의 상단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런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텐셔너 구조.
KR2019980020692U 1998-10-28 1998-10-28 자동차의텐셔너구조 KR200243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92U KR200243972Y1 (ko) 1998-10-28 1998-10-28 자동차의텐셔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92U KR200243972Y1 (ko) 1998-10-28 1998-10-28 자동차의텐셔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32U KR20000008832U (ko) 2000-05-25
KR200243972Y1 true KR200243972Y1 (ko) 2002-04-22

Family

ID=6952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692U KR200243972Y1 (ko) 1998-10-28 1998-10-28 자동차의텐셔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49B1 (ko) 2009-05-20 2014-03-17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래칫식 텐셔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49B1 (ko) 2009-05-20 2014-03-17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래칫식 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32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8655B1 (en) Hydraulic type tensioner with relief valve
US6875141B2 (en) Ratchet-type hydraulic tensioner
US20080318717A1 (en) Hydraulic tensioner
US6547684B2 (en) Ratchet tensioner with plunger releasing mechanism
KR101375049B1 (ko) 래칫식 텐셔너
US20020052259A1 (en) Tensioner with relief valve mechanism
GB2459165A (en) Hydraulic tensioner with an oil chamber divided into two parts by a sleeve
JP4718290B2 (ja) テンショナの取付け構造及び初期位置設定装置
KR200243972Y1 (ko) 자동차의텐셔너구조
US20070032321A1 (en) Plastic hydraulic tensioner
US7001295B2 (en) Hydraulic tensioner
JP4898403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EP1036955B1 (en) Hydraulic tensioner
KR100508269B1 (ko)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KR20010065884A (ko) 자동차용 엔진의 텐셔너구조
JP453218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0205971B1 (ko) 자동차 해치도어의 진동방지 장치
KR100418669B1 (ko) 자동차용 구획 네트 고정구
KR200149682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미러의 탈착구조
KR100536374B1 (ko) 차량 시트 레일 보강 구조
KR20040048630A (ko)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리저버 컵의 체크밸브 구조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JP2006125525A (ja)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テンショナアーム
KR10035394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JP2005249096A (ja) 液圧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