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33Y1 -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 Google Patents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33Y1
KR200243533Y1 KR2020000030426U KR20000030426U KR200243533Y1 KR 200243533 Y1 KR200243533 Y1 KR 200243533Y1 KR 2020000030426 U KR2020000030426 U KR 2020000030426U KR 20000030426 U KR20000030426 U KR 20000030426U KR 200243533 Y1 KR200243533 Y1 KR 200243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inge
mirror body
driver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진
Original Assignee
아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주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33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의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러가 플라스틱 재질이며 회동 수납될 수 있도록 한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미러; 상기 플라스틱 미러가 부착된 미러보디; 상기 미러보디가 수납될 수납홈이 형성된 미러보디 하우징; 상기 미러보디를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수단; 운전자의 시선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이 수납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room mirror established in front of driver seat}
본 고안은 운전자의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러가 플라스틱 재질이며 회동 수납될 수 있도록 한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최근의 교통량 폭증과 차량의 고속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룸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측후방 관찰시 신속성과 정확성 및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행 승용차에는 좌우측 사이드미러 및 중앙 룸미러 각각을 통하여 운전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부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측후방 관측용 미러는 눈으로부터 각각 다른 방향 다른 거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후방에 있는 각기 다른 영역을 분리 관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첫째, 각 미러는 영역별로 분리 설치되어 넓은 사각지대를 가질 수 밖에 없고, 운전자는 각 미러로부터 분리된 시각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판단해야함으로 그판단 시기가 지연되고 정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둘째, 유리를 사용한 각각의 미러는 안전을 이유로 원거리에 설치되고, 각기 다른 방향에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는 주변을 파악하기 위해 고개를 돌려 주변을 파악해야 하므로 신속성이 떨어지며, 자칫 주행중 전방의 상황 파악을 놓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이 클 수 있다.셋째, 각 미러는 상하보다는 좌우측면에서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는 각각의 미러를 주시하지 않을 때도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해 눈의 시야에 장애를 줄 수 있다.최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중에서 상용화된 것으로는 크게 대형 보조미러와 곡면미러를 이용한 것이 있는데, 첫째, 대형 보조미러의 경우에는 후방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으나, 부분적으로 전방을 볼 수 없어 답답함을 느끼게 하며, 전방시계가 줄어 든다는 점과, 대형 보조미러를 좁은 실내공간에 설치함에 따라 탑승자의 활용 공간이 줄어 들고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둘째, 곡면 미러의 경우에는 주변의 각 사물이 일정배율로 반사상을 이루지 않고, 곡률을 갖고 있어 정확한 원근감을 느끼기 힘들어 자칫 운전자의 그릇된 판단을 가져올 수 있다.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운전석 전방 윈도우 상측의 차체 천정에 부착되는 승용차용 실내 후시경, 예컨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번호 제191633호 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이 승용차용 실내 후시경은 후시경 몸체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등의 보호막이 형성된 거울이 부착되고 후시경 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힌지부에는 가동판과 연결된 자유볼이 끼움되어 접동되게 하되, 가동판의 안내홈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을 가진 고정판의 걸림턱이 끼움되어지고 고정판의 걸림홈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설된 조정구의 볼이 걸림되게 하며 고정구는 나사봉에 의해 가동판에 체결되어진다.그러나, 전술한 승용차용 실내 후시경에는 거울이 부착된 후시경 몸체가 차량 실내 천장에 돌출된 채 장착되어 있어 차량의 급제동 또는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후시경과 충돌함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충돌과 동시에 거울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미러를 사용하여 파손(깨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충돌시 플라스틱 미러가 수납되어 운전자와의 충돌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한 운전자의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룸미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루프패널에 설치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선바이저에 설치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승용차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4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승용차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루프패널에 부착한 차량 내부 상태도.도 7b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선바이저에 부착한 차량 내부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룸미러 2 : 플라스틱 미러3 : 미러보디 4 : 미러보디 하우징5 : 선바이저 6 : 루프패널
30 : 힌지 31 : 관통공32 : 탄지체 41 : 축지지공
42 : 힌지축 43 : 나사44 : 미러보디하우징 표면 45 : 결합구멍46 : 수납홈 48 : 힌지홈
51 : 선바이저 표면 52 : 선바이저의 고정홈61 : 후면 윈드실드 62 : 후면필러63 : 후석창 64 : 루프패널의 고정홈
71 : 눈의 적정 회전각 72 : 눈의 최대 회전각73 : 종래 룸미러의 후방 좌우시야각
74 : 착석기준점 75 : 룸미러의 측후방 좌우시야각
76 : 룸미러의 측후방 상하시야각77 : 인체충격범위 78 : 머리부의 회전각79 : 룸미러 주시각도 81 : 헤드클리어런스82 : 어깨공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미러; 상기 플라스틱 미러가 부착된 미러보디; 상기 미러보디가 수납될 수납홈이 형성된 미러보디 하우징; 상기 미러보디를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수단; 운전자의 시선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이 수납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는 루프패널 또는 선바이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라스틱 미러가 베이스의 고정홈에 장착된 미러보디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어 운전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힌지수단은 힌지축;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탄지체; 상기 미러보디에 형성되며 상기 탄지체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 상기 힌지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힌지홈;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상기 힌지와 상기 힌지홈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에 형성된 축지지공으로 이루어진다.현행 미러시스템의 문제점 및 보완방법이 한계성을 갖는 근본적인 원인은 반사판의 소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에 장착된 미러의 소재는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리 미러판은 사물의 정확한 반사상을 구현할 수 있고, 표면은 경도가 높아 스크레치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점 등의 장점으로인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으나, 취성이 커서 쉽게 깨지고, 파면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큰 단점을 갖고 있어, 자동차 승차자의 안전을 위해 근거리에서의 사용을 제한해 온 것이다. 이러한 소재문제에 있어서 최근의 플라스틱 성형, 표면처리 및 코팅기술은 후사경용 플라스틱 미러의 제작이 가능한 단계에 있으며, 일부에서는 개발이 완료되어 산업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상황이다.그리고, 자동차에 있어서 측후방을 관찰하기 위해서 사람은 반사면을 이용하며, 이 반사면을 응시하기 위해 머리부 및 눈동자를 회전 혹은 이동시켜 사물을 관찰한다. 미국자동차학회(Society of Automobile Engineering:SAE)의 후사경 설계시 인간의 시지각요소관련 연구보고([R] Vision Factors Considerations in rearview mirror design, SAE J985, Rev. Jun95)에서 사람 눈의 적정 회전각(71)은 상하, 좌우 30°로 동일하며, 최대회전각(72)는 좌우 60°,상하 110°로 좌우보다는 상하의 회전범위가 넓음을 알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사실은 머리부가 고정되거나 회전이 미소하여, 눈동자의 회전만으로 미러면을 통한 측후방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을때, 눈의 좌우측보다는 상하측에 미러판을 설치하여 측후방을 관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좌우 눈은 65㎜ 내외의 거리를 갖고 있으며, 상하 10㎜ 내외의 폭을 갖고 있어, 눈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입사되는 장방형의 반사빛은 피하기 힘들지만, 상하면에서 입사되는 장방형의 반사빛은 약간의 미동으로도 쉽게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따라서, 본 고안자는 플라스틱 미러를 운전자의 전방 상단에 설치하여 상부를 응시하여 측후면을 용이하게 관찰하고 루프패널 또는 선바이저에 수납시킴으로써 운전자와의 충돌을 방지시킬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도 1은 본 고안의 룸미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루프패널에 설치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선바이저에 설치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1)는 플라스틱 미러(2), 플라스틱 미러(2)가 부착된 미러보디(3), 미러보디(3)가 수납될 미러보디 하우징(4), 미러보디(3)를 미러보디 하우징(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수단, 미러보디 하우징(4)이 수납 고정되는 베이스(5,6)로 구성되어 있다.전술한 구성에서, 플라스틱 미러(2)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모재로 하고 표면에는 반사막과 투명보호막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부재를 일정 형상(통상의 룸미러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미러(2)의 반사막과 보호막은 플라스틱 기판(2)의 전면(21)에 형성되되, 투명보호막의 표면경도를 연필경도 기준 F이상으로 하여 내스크레치성을 높이고, 면의 평탄도는 50㎛이내로 하여 반사상의 찌그러짐이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미러보디(3)는 플라스틱 미러(2)가 삽입 부착되며, 후술된 힌지(30)에 의해 회동된다.미러보디 하우징(4)은 미러보디(3)가 수납되는 수납홈(46)이 형성되되, 수납홈(46)의 형상은 미러보디(3)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힌지수단은 미러보디 하우징(4)의 수납홈(46)에 수납된 미러보디(3)가 일정각도로 회동될 있도록 미러보디(3)의 외측면에 연이어 돌출된 관통공(31)이 형성된 힌지(30)와 힌지(30)와 대응되도록 수납홈(46)에 형성된 힌지홈(48) 및 힌지(30)를 힌지홈(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42)으로 구성된다. 힌지홈(48)에는 미러보디 하우징(4)의 좌우측에 천공 형성된 축지지공(41)과 연통되며, 축지지공(41)과 관통공(31)을 통해 힌지축(41)이 삽입되어 미러보디(3)가 미러보디 하우징(4)에 체결된다.한편, 미러보디(3)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30)의 관통공(31)에 중공형의 탄지체(32)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힌지축(42)은 탄지체(32)에 삽입되며, 힌지축(42)과 탄지체(32)간은 마찰에 의해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힌지축(42)과 탄지체(32)간의 정지마찰력이 외력보다 작을 때 미러보디(3)가 회동하게 된다. 외력은 사람이 밀고 당기는 힘 또는 차량의 급제동이나 충돌시 생기는 관성일 수 있다. 즉, 관성에 의해 운전자가 전방을 향해 움직이면서 미러보디(3)에 충돌하고, 이에 따라 미러보디(3)는 수납홈(46)에 수납되어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베이스(5,6)는 운전자의 전방 유리창 상단의 루프패널(6)이나 선바이저(5)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베이스(5,6)에 미러보디 하우징(4)이 바로 고정되지 않고 수납 고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5,6)에 고정홈(52,64)을 가공하여 형성시킨다. 고정홈(52,64)에 미러보디 하우징(4)을 고정시키는 것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홈(46)에 형성된 결합구멍(45)에 나사(43)로 체결할 수 있고, 미러보디 하우징(4)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고정홈(52,64)에는 물림턱을 형성하여 삽입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이상과 같은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가 운전자의 전방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측후방 시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해 사용된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그랜저 XG 이며, 운전자는 키 175㎝의 남자로 하였다.도 4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승용차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승용차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a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루프패널에 부착한 차량 내부상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선바이저에 부착한 차량 내부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1)가 설치되면, 운전자의 눈으로부터 38°(79)에 위치하여 전방시계의 축소가 없으며, 착석기준점(74)을 중심으로 하는 인체충격범위(77)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충격시 착석기준점의 변동에 의한 플라스틱 미러(2)의 접촉시에도 접철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을 응시할 때는 후방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운전자의 눈 윗부분에 조사되는 효과가 있으며, 필요시 측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 미러(2)가 접철되어 수납홈(46)에 수납되어 있을 때, 혹은 충격에 의해 미러보디(3)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접철될 때에는 미러보디 하우징(4)에 삽입되어 돌출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전방 상단(A,B)에 설치된 플라스틱 미러(2)가 부착된 미러보디(3)를 당겨 힌지축(42)을 지지축으로 하고 미러보디(3)을 적절하게 회동시키면, 전방의 시계를 축소하지 않으면서도 헤드클리어런스(81) 및 좌우측 어깨공간(82)을 통해 측후방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어 측후방 시계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후방의 관찰시 후면 윈드실드(61), 후면 필러(62) 및 후석창(63) 등 운전자 후방에 위치한 대부분의 사물을 하나의 룸미러(1)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측후방의 상하시야각(76)은 9°였으며, 좌우시야각(75)은 87°로 종래 중앙에 위치한 룸미러의 측후방시야각(73) 34°보다 2배 이상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방에서 헤드라이트를 비추고, 운전자가 전방을 응시하였을 때 헤드라이트 불빛이 눈위에 직접 반사되지 않고, 눈위에 비추더라도 쉽게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본 고안에 따른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는 앉은 상태에서 간단히 각도조절만으로 실내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수석의 루프패널 또는 선바이저에 설치함으로써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첫째,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미러를 사용함으로써 파손의 우려가 적고 파손시에도 운전자에게는 안전할 수 있다.둘째, 탄지체와 힌지축간의 마찰에 의해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플라스틱 미러가 부착된 미러보디가 미러보디 하우징에 수납되고 미러보디 하우징은 베이스의 고정홈에 수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급제동 또는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전방을 향해 움직이면서 미러보디와 충돌할 때 미러보디는 회동하면서 수납홈에 수납된다. 따라서, 룸미러의 돌출부가 사라져 운전자의 신체를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셋째, 미러보디 하우징이 선바이저의 고정홈에 고정된 경우에는 후방관찰시 운전자가 상하로 움직이는 눈의 각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편리할 수 있다.넷째, 기존 3개영역으로 나누어 측후방을 관찰하던 자동차용 미러와는 달리 운전자의 전방 상단 베이스에 플라스틱 미러를 설치함으로써, 전방시계가 확보되는 동시에 신속하게 측후방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어 운전 판단이 빨라 운행이 편리하며 특히 후면 주차시 편리하다.다섯째, 플라스틱 미러를 운전자의 전방 상부에 설치하여 전방의 적정회전각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고, 좌우측 보다는 상하방향에서 조사되는 빛을 피하기 쉬운 눈의 특성과, 적정주시각을 벗어난 위치를 응시할 때의 눈썹 및 눈의 위치변화에 따라 전방을 주시할 때 후방 헤드라이트 불빛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 운전시 전방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 할 수 있다.

Claims (4)

  1.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미러;
    상기 플라스틱 미러가 부착된 미러보디;
    상기 미러보디가 수납될 수납홈이 형성된 미러보디 하우징;
    상기 미러보디를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수단;
    운전자의 시선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이 수납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힌지축;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탄지체; 상기 미러보디에 형성되며 상기 탄지체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 상기 힌지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납홈에 형성된 힌지홈;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상기 힌지와 상기 힌지홈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미러보디 하우징에 형성된 축지지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선바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루프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KR2020000030426U 2000-10-31 2000-10-31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KR200243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26U KR200243533Y1 (ko) 2000-10-31 2000-10-31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26U KR200243533Y1 (ko) 2000-10-31 2000-10-31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71A Division KR100365566B1 (ko) 2000-10-31 2000-10-31 자동차용 프론트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33Y1 true KR200243533Y1 (ko) 2001-09-26

Family

ID=7305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26U KR200243533Y1 (ko) 2000-10-31 2000-10-31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52A (ko) * 2001-10-22 2003-05-09 아주공업주식회사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52A (ko) * 2001-10-22 2003-05-09 아주공업주식회사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071B2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US3909117A (en) Vehicular rear viewing device
US20060198123A1 (en) Automotive visor with illuminated mirror assembly
EP0767086B1 (en) A dual rear view mirror assembly
KR200243533Y1 (ko)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KR10036556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미러
KR20010006437A (ko)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CN110794581A (zh) 抬头显示装置
KR930000116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64347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H05301539A (ja) 自動車の補助ミラー
CN201089425Y (zh) 三位一体后视镜
JP2018122740A (ja) 車両用センタバイザ
KR200368012Y1 (ko)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KR20032201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950000793Y1 (ko)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KR200258954Y1 (ko) 자동차용 보조 선 바이저
KR100521687B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100552436B1 (ko) 자동차용 뒷유리의 후방시야 확보구조
KR19990029111U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100285417B1 (ko) 자동차용 미러장치
EP0917986A1 (en) Rear view mirror
JP3140348U (ja) 自動車用後方確認ミラーシステム
KR200256589Y1 (ko) 사각주시용 차량의 사이드미러
RU21408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него обзора автомобиля с нестандарт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ру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