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12Y1 -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 Google Patents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12Y1
KR200368012Y1 KR20-2004-0025092U KR20040025092U KR200368012Y1 KR 200368012 Y1 KR200368012 Y1 KR 200368012Y1 KR 20040025092 U KR20040025092 U KR 20040025092U KR 200368012 Y1 KR200368012 Y1 KR 200368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rror
view
dri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채혁
Original Assignee
반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혁 filed Critical 반채혁
Priority to KR20-2004-0025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69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un visor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보조석의 측전방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차선 변경 시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햇빛가리개로서, 상기 햇빛가리의 모서리를 따라 마주보는 장변과 단변 중 어느 하나에 대각선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햇빛가리개에 면 접촉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베이스; 차량 조수석 측전방의 사물을 운전자에게 반사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볼조인트 결합되어 운전자의 시야 각도에 따라 구름 동작되는 반사거울;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Sun screen of car having mirror}
본 고안은 차량 보조석의 측전방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차선 변경 시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룸미러와 전면도어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를 통해 도로 교통 상황이나 주행 방향에 따라 차선 변경을 하게 된다.
룸미러는 대부분 운전자의 눈높이와 맞춰진 상태로 조절되어 실시간으로 차량 후방을 주시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는 차량 양측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여 차선 변경 시 유용하게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를 통해 도로의 후방 상황을 주시하게 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빛의 굴절 방향과 동일하게 확보되는 상태가 됨으로,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의 시야 중앙에 차량이 위치하게 되면 옆 차선의 차량은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사각지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급진하여 주행함과 동시에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차량 보조석에 햇빛가리개가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옆 차선으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게 되면, 급진하는 차량의 후미 또는 전방 부분과 충돌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인은 사각지대를 벗어나 옆 차선에서 빠르게 주행하는 차량을 운전자가 햇빛가리개로 인해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주변 상황을 제대로 주시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최근에는 이와 같은 사고 중에서 빠르게 주행하는 차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옆 차선의 운전자가 급진하는 주행 차량의 후미와 부딪혀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는 전방을 주시하면서 주행하는 운전자가 차선 변경 시, 옆 차선의 후방과 전방을 동시에 주시하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어서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려워 급진하는 차량의 후미와 충돌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의 시야는 차선 변경 시 전방 차량에서 약 100°의 양방으로 시선이 확보되는 것임으로 햇빛가리개에 의해 옆 차선 상당 부분이 가려져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운전자가 옆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할 때에는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 충돌의 위험이 크다.
또한 차량의 운전석은 차량의 왼쪽에 위치하는 관계로 조수석 측방과 전방의 시야는 운전석 보다 상당히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교통 사고는 좌회전하는 차량 보다 시야가 좁은 우회전하는 차량에서 교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조수석 측방과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차량 운전에 따른 안전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조수석의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차선 변경 시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에서 미러의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2: 결합공, 14: 클립, 30: 반사거울, 50: 미러, 100: 햇빛가리개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햇빛가리개로서, 상기 햇빛가리의 모서리를 따라 마주보는 장변과 단변 중 어느 하나에 대각선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햇빛가리개에 면 접촉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베이스; 차량 조수석 측전방의 사물을 운전자에게 반사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볼조인트 결합되어 운전자의 시야 각도에 따라 구름 동작되는 반사거울;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클립이 연결 설치되어 햇빛가리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햇빛가리개에 매직테이프를 통해 탈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에서 미러의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햇빛가리개(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10)와 반사거울(30)로 이루어져 차량 조수석의 측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반사거울(30)은 햇빛가리개(100)의 모서리를 따라 마주보는 장변과 단변에 대각선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햇빛가리개(100)에 면 접촉되며 설치되는 베이스(10)는 햇빛가리개(100)와 면 접촉되는 이면으로 결합공(1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둘레면에는 클립(1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립(14)은 햇빛가리개(100)에 베이스(1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0)의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둘레면에 클립(14)을 구성하여 햇빛가리개(100)에 설치하지 않고 햇빛가리개(100)와 면 접촉되는 부위에 매직테이프(미도시)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베이스(10)의 이면에 매직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베이스(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매직테이프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 및 고정된 베이스의 결합공(12)에는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반사거울(30)이 볼 조인트 결합된다.
상기 반사거울(30)은 차량 조수석 측전방의 사물을 운전자에게 반사시켜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와 볼조인트 된 부위가 구름동작 하여 반사거울(3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를 통해 차량 측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경우, 미러(50)의 반사거울(30)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반사거울(30)의 각도는 조수석 바깥측의 사물과 도로상황을 자세히 주시할 수 있도록 차량 외측으로 각도 조절하면서 바깥측 사물을 차량 내측으로 반사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운전자와 가깝게 위치한 반사거울(30)의 각도를, 먼저 각도 조절한 반사거울(30)과 맞추어 운전자의 시야와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각도 조절하게 되면, 운전자는 주행하는 동안에도 차량의 우측과 전방 상황을 편리하게 주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는 차량 조수석의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차선 변경 시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큰 만족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3)

  1. 차량 내부에 설치된 햇빛가리개로서,
    상기 햇빛가리개의 모서리를 따라 마주보는 장변과 단변 중 어느 하나에 대각선 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햇빛가리개에 면 접촉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베이스;
    차량 조수석 측전방의 사물을 운전자에게 반사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볼조인트 결합되어 운전자의 시야 각도에 따라 구름 동작되는 반사거울;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클립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햇빛가리개에 매직테이프를 통해 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KR20-2004-0025092U 2004-09-01 2004-09-01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KR200368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92U KR200368012Y1 (ko) 2004-09-01 2004-09-01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92U KR200368012Y1 (ko) 2004-09-01 2004-09-01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12Y1 true KR200368012Y1 (ko) 2004-11-16

Family

ID=4935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092U KR200368012Y1 (ko) 2004-09-01 2004-09-01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49A (ko) 2020-07-09 2022-01-19 김규헌 차량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장치
KR20230164278A (ko) 2022-05-25 2023-12-04 김규헌 차량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49A (ko) 2020-07-09 2022-01-19 김규헌 차량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장치
KR20230164278A (ko) 2022-05-25 2023-12-04 김규헌 차량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556A (en) Vehicle safety convex rearview mirror with distortion offset mea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368012Y1 (ko)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US20080231981A1 (en) Partial Curved On-Vehicle Rear View Mirror
KR100969307B1 (ko) 자동차 백미러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US7137716B2 (en) Vehicle auxiliary rear view mirror assembly and method
KR20110077323A (ko) 자동차의 전측방 사작지대 시야확보 장치
KR200239140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24849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391565Y1 (ko) 승용차용 변곡면 사이드 미러
KR20032201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0512446B1 (ko) 차량의 전측방 관측용 다면경
KR100510268B1 (ko) 사각 방지용 사이드 미러
KR102038514B1 (ko)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KR200359762Y1 (ko) 이중 반사면을 갖는 차량용 반사경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KR19990026834U (ko) 초장형의보조밀러
KR200193205Y1 (ko) 자동 차의 전방 좌, 우측방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차량부착용거울
KR200363624Y1 (ko) 각도 보정 보조 백미러
KR200407061Y1 (ko) 차량 2각 사이드미러
KR200203299Y1 (ko) 자동차 본네트 미러장치
KR2004007293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JP2007320546A (ja) 自動車用ミラー
KR19990029052U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의 후방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