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437A -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437A
KR20010006437A KR1019997009527A KR19997009527A KR20010006437A KR 20010006437 A KR20010006437 A KR 20010006437A KR 1019997009527 A KR1019997009527 A KR 1019997009527A KR 19997009527 A KR19997009527 A KR 19997009527A KR 20010006437 A KR20010006437 A KR 2001000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mirror
actuator
room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프리츠 브루워
Original Assignee
에프. 베닝
이쿠 홀딩 몬트포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베닝, 이쿠 홀딩 몬트포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에프. 베닝
Publication of KR2001000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4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osition of specific human body parts, e.g. face, eyes or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 블레이드(3)가 전기모터(M1,M2)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룸미러(1)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지지부(4)의 방향이 조립되는 동안 90°이상의 범위내로 설정될 수 있고, 필요하면 미러 블레이드(3)는 거울표면에 직각인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룸미러는 거울의 설정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측정부재(201,203;202,204)을 구비하여서, 거울이 기억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Interior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and Actuator for an Interior Rearview Mirror}
예컨대,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액튜에이터가 제공되어 미러 블레이드의 위치를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의 종래방식으로는 내부의 룸미러가 수동으로 조정된다. 그러나, 고가의 차량의 경우에는 조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예컨대 거울들과 같이 조정가능한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조정하도록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차량의 조정편의성을 증가시키는 분야에서의 또 다른 개발로는 의자와 사이드 미러들과 같이 조정가능한 부품들의 위치기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단 한번의 버튼조작으로 조정가능한 부품들 모두를 운전자를 위한 올바른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위치기억에 있어서 사이드 미러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룸미러, 즉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기모터로 조정될 수 있는 룸미러가 역시 필요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사이드 미러가 공지되어 있다. 차량의 사이드 미러는 통상 껍질 형상의 하우징과 그리고 이 하우징에 설치되는 미러 블레이드로 구성되는데, 미러 블레이드는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액튜에이터가 하우징에 장착되어 미러 블레이드의 방위를 조정하게 된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러한 구조는 룸미러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구조에 채용될 수 없는데, 룸미러의 경우에는, 미러 블레이드가 하우징과 함께 움직여 사용자가 하우징의 방위를 변화시킴으로써 미러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또한, 룸미러는 사이드 미러보다 조정 자유도가 더 커야 한다. 사이드 미러의 경우, 미러 블레이드는 2방향으로만 조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에 대한 수평방향의 조정과 그리고 대체로 수평한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에 대한 수직방향의 조정이 필요한데, 수평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은 대체로 차량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다. 게다가,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의 경우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체로 평행하며 그리고 대체로 수평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어야 하는데, 실제로 이러한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의 운동이 전기적으로 작동될 필요는 없다.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차량에 미러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 미러의 경우, 원리적으로는 하우징이 차량의 몸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하우징은 차량의 몸체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베이스에 축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선회축은 대체로 수직방향을 향하게 된다. 룸미러의 경우에는, 하우징이 대체로 차량 몸체 내에 고정되는 막대형상의 또는 다르게 설계된 지지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미러 하우징에 대한 지지부의 방위는 다양한 타입의 차량에 대하여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차량에서는 지지부가 지붕에 부착되어 수직하게 방위설정되고, 반면에 다른 타입의 차량에서는 지지부가 앞유리에 부착되어 수평으로 방위설정된다. 중간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물론, 다양한 타입들에 대하여 다른 구조로 설계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별개의 구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싸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타입들 모두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룸미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형태와 특징 및 장점들이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룸미러의 조정가능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룸미러 부품들의 상대운동의 상호연관 및 자유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몇 개의 부품들이 생략되어 있는, 비스듬하게 자른 룸미러의 배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제광(制光)가능한 구조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5는 룸미러의 몇 가지 중요한 부품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부품들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모터들이 도시되어 있는 도 3의 비교도,
도 8은 조정가능한 모터구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는 미끄럼 접촉부를 도시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B-B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c는 기어 세그멘트와 미끄럼 접촉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 블레이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한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검출기들은 다양한 이유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첫째로, 상술한 위치기억의 경우, 미러의 설정위치를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제어부재로 하여금 현재의 위치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로 룸미러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위치검출기가 필요한데, 이 검출기들은 미러의 순간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제어부재에 제공하게 된다.
둘째로,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 조정된 룸미러는 뒷유리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양호한 후방시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는 룸미러의 위치를 차량 내의 자신의 위치에 맞추게 되며, 더 상세히는 차량내에서 자신의 눈의 위치에 맞추게 된다. 이는 룸미러의 위치가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따라서 운전자의 머리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위치검출기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들은 예컨대 머리 받침대의 자동조정과 같이 그 설정값이 머리 위치에 의존하는 차량 내의 부품들을 제어부재가 자동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너무 낮게 또는 너무 높게 설정된 머리 받침대로 인하여 충돌의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목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다른 응용은 예컨대 측면충돌의 경우에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백이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운전자의 머리를 수용하기 위하여 팽창되는 방식은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위치검출기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응용에 대하여, 위치검출기는 미러 블레이드의 위치와 관련하여 최적의 정확한 신호들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이 신호들은 2개의 서로 독립적인 조정방향(수직 및 수평)에 대하여 제공될 것과 하나의 조정방향과 관련된 신호는 다른 방향으로의 조정과는 무관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차량용 룸미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며 그 중에서도 원가면에서 효율적이고 그리고 전기 조정 및/또는 위치검출기와 용이하게 결합하는 룸미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큰 전기력이 가해질 수 있는 전기적으로 조정되는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즉 그 크기가 상당히 작은 전기적으로 조정되는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히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모든 목적들이 하나의 동일한 구조로 실현되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술된 특징들을 구비하게 된다.
도1a 내지 도 1d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조정가능성을 설명한다.
도 1a는 차량용 룸미러(1)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간단히 하기 위해 차량은 도시하지 않는다. 룸미러(1)는 이하에서 설명될 조정기구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 (2)과 거울판(3)을 구비하고, 이 룸미러(1)는 차량의 부품위에 룸미러(1)를 장착시키는 지지부(4)를 추가로 구비한다.
설명을 위하여, 2개의 직각 좌표계를 먼저 정의한다. 제 1좌표계는 룸미러가 부착될 차량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호수직인 Xw축과 Yw축 및 Zw축를 가지고 있다. Xw축은 차량의 길이방향(또는 주행방향)으로 정의된다. Yw축은 수직하게 정의되고, Zw축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즉 길이방향에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정의된다. 제 2좌표계는 룸미러 자신에 관련된 것으로서, 서로 수직하는 X축과 Y축 및 Z축을 가진다. X축은 거울판(3)의 표면에 수직하게 정의되는데, 따라서 X축은 통상 차량의 Xw축에 대체로 대응된다. Y축은 거울판(3)의 평면 내에서 정의되는데, 수직한 방향을 향한다. Z축은 거울판(3)의 평면 내에서 정의되는데, 수평한 방향을 향한다.
지지부(4)는 룸미러(1)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4(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4)는 룸미러(1)를 차량 앞유리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4(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변형예도 가능한데, 지지부(4)가 XwYw 평면에서 0°와 90° 사이의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향할 수도 있다. 하우징(2)에 대한 지지부(4)의 정확한 방위는 룸미러(1)를 조립하는 동안 결정되며, 룸미러(1)는 특정한 타입의 차량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하게 되면 분리할 수 없지만, 분리식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조립하는 동안 지지부(4)는 축(5) 주위를 하우징(2)에 대하여 선회가능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Zw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조립이 완료된 후, 룸미러(1)가 차량에 장착되어진 경우에 도 1a에서 F1으로 도시되는 상술한 운동 자유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된 후, 지지부(4)는 차량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하에서는 지지부(4)가 "고정계(firm world)"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하우징(2)의 방위와 운동은 이 지지부(4)에 대하여 설명될 것인데, 지지부(4)는 수직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즉 4(a)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순히 차량내에 장착되는 룸미러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차량내에 아직 장착되지 않은 룸미러에도 관한 것이다.
조립이 완료된 후(그리고 가능하다면 차량에 장착이 완료된 후), 하우징(2)은 지지부(4)에 대하여 제 1수직조정 자유도를 가지는데, 이 제 1수직조정 자유도는 도 1a에서 F2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하우징(2)을 거울판(3)과 함께 Z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2)이 Z축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는 지지부(4)의 방위와 무관한 소정값을 가진다. 하우징(2)에 외력을 (수동으로) 작용시킴으로써 하우징(2)을 거울판(3)과 함께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도 하우징(2)을 거울판(3)과 함께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b는 룸미러(1)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거울판(3)을 구비한 하우징(2)은 지지부(4)에 대해 제 2수평조정 자유도를 가지고, 이 제 2수평조정자유도는 도 1b에서 F3으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Y축(6)에 대하여 하우징(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2)이 Y축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각도범위는 지지부(4)의 방위와는 무관한 소정의 값을 갖는다. 거울판(3)을 구비한 하우징(2)은 이 하우징(2)에 외력을 (수동으로) 가함으로써 수평조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에 의하면, 거울판(3)을 구비한 하우징(2)의 수평조정은 전기적으로도 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c는 룸미러(1)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바, 사용자, 즉 운전자 측에서 본 도면이다. 운전자가 거울 하우징(2)을 수평방향에 대하여 특별히 비스듬하게 할 수 있도록, 거울판(3)을 구비한 하우징(2)은 지지부(4)에 대해 제 3조정 자유도를 가지며, 이 제 3조정 자유도는 도 1c에서 F4로 도시되고, 여기에서 X축(7)에 대하여 하우징(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2)이 X축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각도범위는 지지부(4)의 방위에 무관한 소정의 값을 갖는다. 거울판(3)을 구비한 하우징(2)의 F4-조정은 하우징(2)에 외력을 (수동으로) 가함으로써만 달성된다.
상기 조정 자유도(F2,F3)는 운전자가 자신의 눈에 맞게, 또 자신의 운전자세에 맞도록 룸미러를 조정하도록 하여, 운전자는 차의 뒤창을 통해 적절한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운전자의 키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바, 장신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통상 룸미러가 단신인 운전자의 경우보다 더 높이(F2) 그리고 더 뒤쪽으로(F3) 배치될 것이다. 조정 자유도(F4)는 훨씬 더 개인의 취향이 강한 부분인데, 운전자는 거울의 아래쪽 가장자리가 뒷유리의 영상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요즈음에는 룸미러가 표준 동작위치 및 제광위치를 갖고 있는게 일반적인데, 이는 도 1d에 과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적어도 미러 블레이드(3)가 지지부(4)에 대해 선회운동됨을 뜻하고, 이 선회운동은 Z축에 평행한 방향인 선회축 (F5)에 대해 행해진다. 거울 하우징(2)의 하단부에 위치된 제광레버(9)에 의해, 거울판(3)은 표준 동작위치나 제광위치에 놓여질 수 있는데, 도 1d에서 각각 좌우에 도시되어 있다. 룸미러에서의 제광가능성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될 룸미러(1)의 구성은 이 제광가능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부품들의 기계적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는데, 이들 부품들은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작업에 속한다. 그 이후에는,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전기적인 작동을 제공하는 부품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이하에서, 룸미러(1)는 장착된 상태로 기술되고, "수직의"와 같은 용어는 이 장착된 상태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1)에 대한 조정기구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대체로 U형상인 프레임이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지부(4)는 프레임(20)의 다리부(21,22) 사이에 뻗어 있다. 제 1연결부재(80)는 지지부(4)를 프레임(20)에 결합시키고, 제 2연결부재(90)는 제 1연결부재(80)를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시키는 한편, 프레임 지지부(100)는 프레임(2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a) 프레임(20)과 프레임 지지부(100)의 조립체는 지지부(4)와 제 1연결부재(80) 및 제 2연결부재(90)의 조립체에 대해 Y방향을 향하는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b) 프레임(20)과 프레임 지지부(100) 및 제 2연결부재(90)의 조립체는 지지부(4)와 제 1연결부재(80)의 조립체에 대해 X방향을 향하는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c) 프레임 (20)과, 프레임 지지부(100), 제 2연결부재(90), 및 제 1연결부재(80)의 조립체는 지지부(4)에 대해 Z방향을 향하는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d) 프레임(20)은 프레임 지지부(100)와 제 2연결부재(90) 및 제 1연결부재(80)의 조립체에 대해 Z방향을 향하는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c)항에서 언급된 운동 자유도는 룸미러(1)에 대한 지지부(4)의 방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도 1a의 F1 참조). 조립작업 동안 이 방위가 조정되어 고정되므로, 사용되는 동안 상기 운동 자유도는 사라진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모터가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되는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참조번호 3'로 표시된 것은 거울지지판인데, 이 지지판(2)위에 예컨대 아교에 의해 적절한 거울판(2)이 장착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한, 거울지지판(3')에 장착된 것은 하우징(2)인데, 예를 들자면 아교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20)에 대해, 거울지지판(3')은 Z방향을 향하는 축(8) 주위를 선회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20)에 대한 거울지지판(3')의 선회동작은 제광레버(9)에 의해 작동된다.
도 3은 룸미러(1)의 내부구성 부품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몇몇 부품은 부분적으로 비스듬한 상태이고, 프레임 지지부(100)와 하우징(2)과 같은 부품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한다.
프레임(20)은 거의 수직방향을 향하는 2개의 프레임 다리부(21,22)를 구비하는데, 이 다리부는 룸미러(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위치한다. 프레임(20)의 프레임 다리부(21,22)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것은 각각 선회돌출부(23, 24)이다. 이 선회돌출부(23,24)는 대체로 원형의 실린더 윤곽을 가지며, 이 실린더축은 일직선이다. 거울지지판(3')은 그 뒤쪽으로 선회돌출부(23,24)의 주위에 체결된 2개의 힌지고리(25,26)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울판(3)과 하우징(2)이 부착되어 있는 거울지지판(3')은 프레임(20)에 대해 선회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회돌출부(23,24)의 실린더축은 제광가능성을 위해 상기 선회축(8)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0)은 그 하부에 프레임 바닥부(30)를 구비하는데, 이 바닥부 (30)는 프레임 다리부(21,22) 사이에 있다. 프레임 바닥부(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은 홈형상의 오목부(31)인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원통형 윤곽을 갖는다. 이 오목부(31)의 길이방향은 선회축(8)에 평행하다.
도 4a는 선회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광가능성에 대해 상세히 도시한다. 제광레버(9)는 힌지고리(32)와 아암(33)을 갖춘다. 힌지고리(32)는 측면도에서 볼 때,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의 물음표 형상을 하고 있고, 프레임(20)의 오목부(31)에 끼워 맞춰지며,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에서 눌려진다. 도시된 예에서, 이하 간단히 "스프링"이라 부르는 탄성부재(40)는, 대체로 U형상으로 구부려진 강철바아(bar)로 설계된다. 한편, U형상 스프링(40)의 스프링 다리부(41,42)는 프레임 다리부(21,22)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이 스프링 다리부(41,42)의 끝(43,44)은 안으로 굽혀져 전술된 선회돌출부(23,24)내의 적절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에 맞물린다.
상기 제광레버(9)의 아암(33)은 거울지지판(3')에 결합되는 한편, 거울지지판(3')은 아암(33)에 대하여, 축(8)에 평행한 축(34)에 대한 선회 자유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아암(33)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지지판(3')에 형성된 핀 (36)이 그 안에 끼워 맞춰지는 눈(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의 화살표(F5a,F5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광레버(9)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광레버(9)는 프레임(20)의 오목부(31)와 이 오목부(31)내에 끼워 맞춰지는 제광레버(9)의 힌지고리(32)에 의해 형성되는 축(38) 주위를 프레임 (20)에 대해 선회운동한다. 따라서, 거울지지판(3')과 맞물리는 아암(33)은 거울지지판(3')이 축(8) 주위를 프레임(20)에 대해 선회운동하게 한다.
상기 제광레버(9)의 선회 자유도와 이에 따른 거울지지판(3')의 선회 자유도는 제광레버(9)의 힌지고리(32)의 외부표면의 적절하게 선택된 형상과 조합하여 프레임(20)의 오목부(31)의 적절하게 선택된 형상에 의해 제한된다. 도 4b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돌출부(51)는 제광레버(9)의 힌지고리(32)의 외부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는 직선형상의 벽일 수 있는 2개의 측벽(52,53)과 평평하거나 오목한 형상일 수 있는 바닥부(54)를 갖는다. 바닥부(54)와 측벽(52,53) 사이의 전이부에서, 오목부(31)는 각각 오목한 전이부(55,56)를 갖춘다. 도 4b는 제광레버(9)를 도시하는데, 이 제광레버(9)의 힌지고리(32)의 돌출부(51)는 맨앞의 전이부(55)에 놓인다. 이것은 제광레버(9)의 맨뒤쪽 위치를 구획하게 되며, 이는 돌출부(51)가 오목부(31)의 측벽 (52)에 닿게 되는데, 이 측벽이 정지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제광레버(9)를 더이상 뒤로(도 4b의 화살표(F5a)에 따라) 선회운동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광레버(9)는 도 4b의 화살표(F5b)에 따라 앞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는 오목부(31)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제광레버(9)의 힌지고리(32)는 스프링 (40)의 작용에 대해 이 오목부(31)의 바닥부(54)로부터 멀리 밀려나가게 된다. 상기 스프링(40)이 이러한 선회운동을 허용하지 않지만, 이 스프링(40)이 그 선회운동에 대항하게 되고, 상기 제광레버(9)가 해제되면 스프링(40)은 돌출부(51)를 맨앞의 전이부(55)로 다시 밀게 된다. 상기 제광레버(9)가 충분히 큰 거리를 지나 선회될 때, 상기 돌출부(51)는 오목부(31)의 바닥부(54)의 중심을 지나게 되어, 상기 스프링(40)은 돌출부(51)를 맨뒤의 전이부(56)에 위치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광레버(9)는 단지 최극단의 위치인 2개의 안정위치를 갖는데, 상기 돌출부(51)가 맨앞의 전이부(55)에 있게 되는 제 1위치와, 상기 돌출부 (51)가 맨뒤의 전이부(56)에 있게 되는 제 2위치인 바, 이들 두 위치는 통상의 작동위치와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하우징(2)과 거울판(3)의 제광위치에 상응하게 된다.
이들 최극단의 위치는 다른 방식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앞에서, 룸미러의 제광가능성이 기술되었는데, 이 제광가능성은 프레임(20)에 대한 지지부(4)의 위치에 관계가 없으며, 전술된 제광가능성을 제외하고 거울지지판(3')은 프레임(20)에 고정되게 장착되는데, 사실 제광가능성이 필요없게 되면 거울지지판(3')은 프레임(20)에 대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거울의 제광이 다른 방식으로 제공되면 동일한 것이 적용되는데, 예컨대 룸미러는 전자변색 유리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룸미러의 다른 운동가능성이 지지부(4)에 대한 프레임(20)의 운동을 독점적이되, 상기 거울지지판(3')과 하우징(2)은 제외한 채로 기술됨으로써 설명되는 바,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운동은 거울지지판(3')의 운동을 나타낸다.
도 5는 분해된 상태에서 지지부(4)와, 프레임(20), 제 1연결부재(80), 제 2연결부재(90), 및 프레임 지지부(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부(4)와, 프레임(20), 제 1연결부재(80), 및 제 2연결부재(9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한편, 제광레버(9)가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b는 이들 부품들을 Z방향의 측면확대도로 도시하며, 도 6c는 상기 부품들을 X방향의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d는 조립된 상태에서 프레임(20)과 프레임 지지부(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e는 Z방향의 측면확대도로 이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6f는 X방향의 정면도로 상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부(4)는 가늘고 긴 바아의 형상을 가지면서, 차량의 창문이나 지붕에 지지부(4)를 부착하는 제 1끝(61)과, 룸미러(1)에 지지부(4)를 부착하는 제 2끝(62)을 갖춘다. 상기 제 1끝(61)의 구조는 중대하지 않아 추가로 여기에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4)의 제 2끝(62)은 구형상을 가지며, 그 만곡부가 구형상의 제 2끝(62)의 만곡부에 상응하는 역으로의 구형상을 갖는 오목홈(65)이 프레임 바닥부 (3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의 구형상인 제 2끝(62)은 오목홈 (65)내에 위치되어 프레임(20)과 지지부(4) 사이에서 힌지볼을 한정하게 된다. 이후로, 상기 프레임 바닥부(30)의 오목홈(65)은 "힌지소켓"으로 불리우고, 상기 지지부의 구형상인 제 2끝(62)은 "힌지볼"이라 한다.
2개의 돌출한 핀(63,64)이 힌지볼(62)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핀들(63,64)은 정렬되어 있되, 이들 핀(63,64)의 길이방향은 대체로 지지부(4)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핀들은 대체로 실린더형상을 갖는 한편, 각 핀(63,64)의 실린더면은 예컨대 다각형상과 같은 예정되고 적당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핀(63,64)의 길이방향은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Z축을 정의한다.
상기 제 1연결부재(80)는 원형인 실린더면에 따라 굽어진 상부면(81)을 갖춘다. 평면도에서, 상기 제 1연결부재(80)는 대체로 U형상을 가지면서 이 상부면(81)의 실린더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가교부(84)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다리부를 갖춘다. 바닥면에서, 절삭부(85)가 상기 다리부(82,83)에 구비되는데, 이는 힌지볼(62)의 핀들(63,64)의 윤곽에 상응하게 된다. 상기 U형상의 제 1연결부재 (80)는 이음고리와 같은 힌지볼(62)의 상부면상의 다리부(82,83)와 맞춰지게 되는데, 이 다리부(82,83)는 핀들(63,64)에 의해 정의된 Zw축에 직각이고, 상기 다리부 (82,83)의 절삭부(85)는 핀들(63,64)의 윤곽에 고정된다.
조립되는 동안에 상기 지지부(4)는 제 1연결부재(80)에 대하여 단지 Zw축 주위로 회전 자유도를 가지고, 조립되는 동안에 이 회전 자유도는 Zw축에 대해 지지부(4)의 위치를 설정(도 1a의 F1 참조)하는 데에 이용된다. 조립 후, 상기 지지부 (4)의 힌지볼(62)은 그 바닥면의 힌지소켓(65)과 그 상부면의 이음고리 형상의 제 1연결부재(80) 사이에 제한되는데, 상기 다리부(82,83)의 절삭부(85)는 핀들(63, 64)의 윤곽에 고정되어 지지부(4)를 제 1연결부재(80)에 대해 고정시킨다. 이는 조립과정 동안 제 1연결부재(80)가 예정된 위치에서, 예컨대 아교접착이나 용접 또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기계적인 고정을 통해 상기 지지부(4)에 고정된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 Zw축 주위로 제 1연결부재(80)에 대한 지지부(4)의 회전 자유도(F1)가 사라지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4)와 제 1연결부재 (80)는 일체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내에서, 상기 지지부(4)와 제 1연결부재(80)의 조립체는 단일한 통합된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 동일한 부품들을 사용하는 동안 룸미러(1)의 다른 변형을 만들 가능성을 필요없게 한다면, 전술된 윤곽이나 다른 고정수단들이 물론 생략될 수 있되, 다른 변형들은 지지부(4)의 위치에 의해 서로 구별된다. 물론, 이 경우에 사실 전술한 통합된 부품 (4+80)의 다른 변형을 제조함으로써 룸미러(1)의 다른 변형을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성취하는 가능한 방법은 사출성형 기술로써, 상기 제 1연결부재(80)는 힌지볼 (62) 주위에 끼워 넣어지고, 사출성형에서 지지부(4)의 위치는 결국 조립되어질 룸미러내의 지지부(4)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연결부재(90)는 평면도에서 대체로 U형상을 가지면서 가교부(94)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다리부(92,93)를 갖춘다. 이 제 2연결부재 (90)는 실린더면을 따라 굽어지고 제 1연결부재(80)의 상부면(81)에 상응하는 바닥면(91)을 갖추며, 이음고리와 같은 제 1연결부재(80)상의 그 다리부들(92,93)과 맞게 된다. 상기 원통면(81,91)의 원통축은 힌지볼(62)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Zw축에 직각인 Xw축에 따라 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는 2개의 지지안착부(110,120)를 구비하는데, 이는 거울대칭 또는 바람직하기로 더욱 이상적인 구조로 될 수 있다. 각 지지안착부(110 ,120)는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상기 프레임(20)과 지지안착부(110, 120)는 Z축에 대해 독점적으로 회전 자유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지지안착부(110,120)는 프레임(20)의 돌출부(23,24)들 중 각각 하나를 고정하는 원형 베어링부(111,121)를 갖춘다. 또한, 프레임(20)의 다리부(21,22)는 그 실린더축이 돌출부(23,24)의 축과 일치하고, 지지안착부(110,120)가 동일한 실린더표면을 따라 굽어진 오목한 벽(114,115;124,125)을 갖추는 실린더표면을 따라 굽어진 볼록한 벽(112,113;122,123)을 갖춘다. 상기 지지안착부(110,120)의 오목한 벽 (114,115;124,125)은 프레임(20)의 각각의 볼록한 벽(112,113;122,123)을 고정시켜 회전 베어링을 형성하는데, 상기 다리부(21,22)는 이 지지안착부(110,120)의 오목부(116,126)에 위치된다. 이들 오목부(116,126)의 측면끝은 다리부(21,22)를 위한 정지부를 한정하여 예정된 각도내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자유도는 약 30°로 된다.
Z방향에서, 상기 지지안착부(110,120)는 이 지지안착부(110,120)의 내부로 향한 표면(117,127)이 프레임(20)의 다리부(21,22)의 외부로 향한 표면(118,128)에 접촉하는 곳에서 프레임(20)에 대해 고정된다.
각 지지안착부(110,120)는 제 2연결부재(90)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제 2연결부재(90)와 지지안착부(110,120)는 Y축에 대해 독점적으로 회전 자유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연결부재(90)의 다리부(92,93)는 계단형상을 갖는데, 이에 의해 목부(95,96)와 어깨부(97,98)가 한정된다. 상기 목부(95,96)는 그 실린더축이 Y축을 한정하고 힌지볼(6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실린더표면을 따라 볼록하게 굽어져 있다. 상기 어깨부(97,98)는 편평하고 Y축에 직각이다. 각 지지안착부(110,120)는 상부끝(131,132)을 구비하는 바, 이 지지안착부(110)의 상부끝(131)은 제 2연결부재(90)의 다리부(92)의 어깨부(97)와 목부(95)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안착부(120)의 상부끝(132)은 제 2연결부재(90)의 다리부(93)의 어깨부(98)와 목부(96)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이들 상부끝(131,132)은 내부로 향하여 있고, 목부(95,96)의 원통형상에 상응하는 실린더면을 따라 굽어진 오목한 벽(133,134)을 갖추는 한편, 이들 상부끝(131,132)의 바닥벽(135,136)은 편평하고 Y축에 직각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안착부(110,120)는 Y축에 대하여 제 2연결부재(90)를 위한 회전 베어링을 한정한다. 상기 지지안착부(110,120)는 제 2연결부재(90)의 다리부 (92,93)를 위한 정지부를 구비하여 예정된 각도, 예컨대 약 30°내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데, 간략히 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Y축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20)은 지지안착부(110,120)의 오목한 벽(114,115 ;124,125)이 프레임(20)의 볼록한 벽(112,113;122,123)을 각각 고정시키는 곳에서 지지안착부(110,120)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볼(62)과 제 1연결부재(80) 및 제 2연결부재(90)의 조립체는 한편으로는 상기 힌지볼(62)이 힌지소켓(65)에 놓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안착부(110,120)의 상부끝(131,132)의 바닥벽(135,136)이 제 2연결부재(90)의 어깨부(97,98)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지지안착부(110,120)와 프레임(20)의 조립체에 대해 Y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연결부재(90)와 프레임 지지부(100) 및 거울지지판 (3')이 부착된 프레임(20)의 조립체는 힌지볼(62)과 제 1연결부재(80)의 조립체에 대해 X축(F4) 주위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바, 상기 힌지볼(62)은 힌지소켓(65)에 대해 방향을 바꾸게 되며, 제 1연결부재(80)의 원통형 상부면(81)은 제 2연결부재(90)의 원통형 바닥면(91)에 대해 방향을 바꾸게 된다. X축에 대한 이러한 회전으로, Y축과 Z축에 대한 위치는 고정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즉 한편으로는 제 2연결부재(90)와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고,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와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2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내에서, 2개의 연결부재(80,90)는 X축에 대해 경사진 거울판(3)을 갖춘 하우징(2)을 위치시킬 가능성이 필요없는 룸미러의 변형에서 단일한 통합된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견고히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2개의 연결부재(80,90)가 평면도에서 U형상이면서, U자 형태의 다리부들이 룸미러의 배후면으로 향해 있기 때문에, 힌지소켓(65)으로부터 시작되는 가늘고 긴 지지부(4)는 수직하고 수평한 뒤쪽 사이의 임의의 위치, 즉 Zw축에 대한 90°의 위치 자유도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연결부재(90)의 다리부(92,93)는, YZ평면에서 서로에 대한 각도로 위치되어 X축 주위로 회전할 때 약 30°의 각도범위를 거쳐 가늘고 긴 지지부(4)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표면(99)을 갖춘다.
또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와 거울지지판(3')이 부착된 프레임(20)의 조립체는 힌지볼(62)과 제 1연결부재(80) 및 제 2연결부재(90)의 조립체에 대해 Y축 (F3) 주위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바, 상기 힌지볼(62)은 힌지소켓(65)에 대해 회전하고, 제 2연결부재(90)의 원통형 목부(95,96)는 지지안착부(110,120)의 상부끝(131,132)의 오목한 벽(133,134)에 대해 방향을 바꾸게 된다. Y축에 대한 이러한 회전동안, X축과 Z축에 대한 위치는 고정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즉 한편으로는 제 1연결부재(80)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 2연결부재(9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고,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와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2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거울지지판(3')이 부착된 프레임(20)은 힌지볼(62)과, 제 1연결부재(80), 제 2연결부재(90), 및 프레임 지지부(100)의 조립체에 대해 Z축(F2) 주위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바, 상기 힌지볼(62)은 힌지소켓(65)에 대해 방향을 바꾸게 되고, 상기 프레임(20)의 다리부(21,22)의 볼록한 벽(112,113)은 지지안착부 (110,120)의 오목한 벽(114,115;124,125)에 대해 방향을 바꾸게 된다. Z축에 대한 이러한 회전동안, X축과 Y축에 대한 위치는 고정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즉 한편으로는 제 2연결부재(90)와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고, 한편으로는 제 1연결부재(80)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 2연결부재(90) 사이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조정가능성은 하우징(2)에 외력을 (수동으로) 가함으로써 수동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점차 이해될 것이다. 다음으로, 조정가능성(F2,F3)이 모터의 전기여기(勵起)를 통해 원격제어될 수도 있음이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도 3과 비교되는 룸미러(1)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바, 하우징(1)과 거울지지판(3')은 고려하지 않으나, 모터하우징(150)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전기구동에 적절한 룸미러(1)의 부품들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특히 모터하우징(150)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150)은 통합된 부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 2개의 개별적인 모터하우징 부재들(151,152)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은 거울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모터하우징 부재(151)는 제 1지지안착부 (110)에 부착되고, 제 2모터하우징 부재(152)는 제 2지지안착부(120)에 부착된다. 부착방식은 임의의 적당한 부착방식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지지안착부 (110,120)는 위치선정용 핀(153)을 구비하고, 모터하우징 부재들(151,153)은 이들 위치선정용 핀(153)에 상응하는 위치선정용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하우징 부재(151,152)가 구비된 후, 위치선정용 핀(153)은 열적으로 변형되어 모터하우징 부재(151,152)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아교접착이나 나사체결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전기모터(M1)가 제 1모터하우징 부재(151)에 설치되고, 제 2전기모터(M2 )는 제 2모터하우징 부재(152)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동일한 이들 모터(M1,M2 )는 횡방향으로 모터(M1,M2)에 대해 돌출한 전기적 연결핀(154)을 구비한다. 이 연결핀(154)은 대체로 X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모터하우징 부재(151,15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55,156)은 각 모터하우징 부재(151,152)에 장착되는데, 이 인쇄회로기판(155,156)은 바람직하기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대칭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55,156)은 전술된 위치선정용 핀(153)과 상호작용하는 위치선정용 구멍을 구비하여서, 인쇄회로기판(155,156)이 상기 위치선정용 핀(153)에 대해 적당히 위치될 때, 모터하우징 부재(151,152)에 대한 인쇄회로기판(155,156)의 적당한 위치선정은 자동적으로 성취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5,156)은 추가로 전술한 모터(M1,M2)의 연결핀(154)에 상응하는 연결점을 구비하는데, 간략히 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이들 연결점은 조임접촉(clamping contacts)과 같은 구조로 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55 ,156)의 인쇄트랙(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하여, 모터(M1,M2)를 차량속의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이들 연결전선을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4)는 공동(空洞)구조인 한편, 지지부(4)의 측벽에는 적어도, 힌지볼(62) 부근의 연결전선이 지지부(4)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7은 하우징 부재(151,152)와 인쇄회로기판(155,156)의 형태가 지지부의 F1-조정가능성이 그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을 명확히 도시하고 있다.
각 모터(M1,M2)는 선택적으로 적당한 감속장치(162,172)를 매개로 하여 피니언(161,171)을 구동시키고, 바람직하기로 슬립 커플링(slip coupling)이 중간에 끼워 넣어진다. 만일 있다면, 상기 감속장치(162,172)와 모터(M1,M2)의 구조와 특성이 본 발명의 주제에 기여하지 않고,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그 지식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은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 자체로 알려진 감속장치와 모터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슬립 커플링에 관해서도 유사하게 인지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슬립 커플링은 예컨대 룸미러(2)가 끝위치에 도달해서 하우징(2)의 운동이 불가능할 때, 연속된 여기로 인해 모터(M1,M2)가 작동을 유지하고, 모터가 헛돌때 룸미러(1)가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 부가될 수 있다.
조립 후, 각각의 감속장치(162,172)를 갖춘 모터(M1,M2)와 모터하우징(150) 및 프레임 지지부(100)는 완전체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한 인쇄회로기판이 가교부와 같이 2개의 지지안착부(110,120)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도에 기여하므로, 상기 2개의 인쇄회로기판(155,156)은 단일한 부품처럼 통합된 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피니언(161)은 제 1하우징 부재(151)에 베어링으로 장착되어 그 회전축 (163)이 YZ평면에 위치되며, Y축과 바람직하기로 약 45°의 각도를 이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피니언(161)은 모터축과 정렬되게 장착된다. 제 2연결부재(90)는 제 1피니언(161)과 연동하는 이빨을 갖추면서 Y축과 일치하는 대칭축(165)을 갖추는 제 1기어 세그먼트(164)를 구비한다. 이 제 1기어 세그먼트(164)는, 예컨대 아교접착을 통하거나 제 1기어 세그먼트(164)가 제 2연결부재(90)의 통합된 부품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통해 상기 제 2연결부재(90)에 견고하게 연결되나, 바람직하기로 제 1기어 세그먼트(164)는 스냅(snap)연결에 의해 제 2연결부재(90)에 연결된 별도의 부품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 1기어 세그먼트(164)는 크라운 휠(crown wheel)의 세그먼트로서,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피니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개선된 기어휠인 원추형 휠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피니언은 전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지 않고서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크라운 휠의 사용의 중요한 장점은 피니언(161)의 지지와 축방향 위치선정이 임계에 있지 않고 제한된 제조비용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상기 제 1모터(M1)가 기동될 때, 제 1피니언(161)은 모터(M1)의 구동전류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제 1기어 세그먼트(164)는 제 1모터하우징 부재(151)와, 그 후에 프레임 지지부(100) 및 프레임(20)의 조립체에 대해 그 회전축(165) 주위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는다. 이 회전동안, 제 1기어 세그먼트(164)는 제 2연결부재(90)와, 그 후에 제 1연결부재(80) 및 지지부(4)를 수반하게 된다. 특히, 이는 제 1모터하우징 부재(151)를 갖춘 제 1모터(M1)와, 프레임(20), 하우징(2), 부착된 거울지지판(3'), 및 거울(3)이 지지부(4)에 대해 Y축 주위로 회전한다.
제 2피니언(171)은 제 2하우징 부재(152)내에 베어링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그 회전축(173)이 YZ평면에 놓일 수 있게 되며 상기 Y축과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63,173)은 서로 약 90°를 이룬다. 상기 프레임(20)의 제 2다리부(22)는 제 2기어 세그먼트(174)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2기어 세그먼트는 제 2피니언(171)과 결합되는 이빨을 구비하며, 상기 Z축과 일치하는 대칭축(175)을 가진다. 바람직하기로, 제 2기어 세그먼트(174)는 크라운 휠의 세그먼트이다. 상기 제 2기어 세그먼트(174)는 상기 프레임(20)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되, 바람직하게는 아교접착을 통하거나, 제 2기어 세그먼트가 제 2기어 다리부(22)의 일부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 제 2기어 세그먼트가 별도의 부분으로 스냅연결에 의해 상기 제 2프레임 다리부(2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모터(M2)가 기동하면, 상기 제 2피니언(171)이 상기 모터(M2)의 구동전류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제 2기어 세그먼트(174)는 그 회전축(175) 주위로 제 2모터하우징 부재(152)에 대해, 그리하여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대해 회전이 강제된다. 이러한 회전 동안, 제 2기어 세그먼트(174)는 상기 프레임(20)과 하우징(2) 및 부착된 거울지지판(3')을 수반한다. 이렇게 되어 실제로는, 상기 프레임(20)과 하우징(2) 및 그에 부착된 거울지지판(3')이 상기 지지부(4)와, 제 1연결부재(80), 제 2연결부재(90), 프레임 지지부 (100), 제 2모터하우징 부재(151), 및 제 2모터(M2)의 조립체에 대하여 Z축(F2) 주위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174)는 서로 동일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피니언(161,171)은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174)는 그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중요한 장점은 상기 모터의 배치가 대칭적으로 되어 치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174)의 이빨은 기어 세그먼트(164,174)의 회전축(Y, Z)과 45°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것은 기어 세그먼트(164,174)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게 하므로 장점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지지판(3)의 위치, 즉 상기 Y축 및 Z축에 대한 거울지지판(3)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정수단은 모터(M1,M2)를 구비한 룸미러의 전기적 조정을 위해 유용한데, 그것은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거울에 대한 기억가능성이 실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수단은 전기적 조정을 위한 모터를 구비하지 않아서, 수동으로만 작동시키는 룸미러에서도 유용한데, 이는 차량에서 각 부분의 위치나 작동이 운전자의 체격, 즉 차 안에서 그의 머리의 위치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자동조정에 유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요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수단은 인쇄회로기판 (155,156) 위에 설치된 제한궤도(201,202)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룸미러의 조정에 상응하여 이들 제한궤도(201,202)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각각의 미끄럼 접촉부(203,204)가 구비된다. 최적의 정확도와, 제조과정에서 초래되는 제한궤도상의 상호간 차이나 불균일성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상기 제한궤도(201,2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이고 서로 평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는 X축 방향을 따라 바라본 인쇄회로기판(155,156)의 정면도를 나타내는데, 제한궤도(201,202)의 개략적인 위치가 나타나 있으며,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제한궤도가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부를 구비한 제한궤도는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재를 위한 연결전선이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동의 지지부(4)를 통해 빠져나갈 수도 있게 된 것을 충분히 알 수 있다.
Z축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측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 2미끄럼 접촉부 (204)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대한 위치가 Z축에 대한 조정동안 변화되는 부분에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부분은 감속장치(172)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미끄럼 접촉부(204)는 누르는 힘과 당기는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유연성 부재(206)에 의해 상기 기어 세그먼트(174)에 연결되어 있는데, 구조상의 단순함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상기 유연성 부재는 두께 0.9mm 정도의 낚시줄과 같은 플라스틱사로 형성된다. 도 9b는 제 2제한궤도(202)에서의 XY평면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유연성 부재(206)의 형태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연성 부재(206)는 상기 기어 세그먼트(174)에 접착이나 클램핑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6d에는 제 2지지안착부(120)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206)를 그 안에 안내하기 위한 홈(2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홈(220)은 상기 제한궤도(202)에 인접한 수직부(221)를 가지고 있고, 기어 세그먼트(174)의 인접 부위에서 만곡부(222)로 바뀐다.
마찬가지로, 제 1미끄럼 접촉부(203)는 Y축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측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1유연성 부재(205)을 통해 제 1기어 세그먼트(164)에 연결되어 있다. 제 1유연성 부재(205)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지지안착부(110)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0)이 구비되어 있다. 이 홈(210)은 제한궤도(201)에 인접한 수직부(211)를 가지고 있고, 수직면에서 굽은 만곡부(212)를 거쳐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에 인접한 부위에서 수평면에서 굽은 만곡부(214)로 바뀐다. 도 9c는 제 1기어 세그먼트(164)와 제 1유연성 부재(205) 및 제 1미끄럼 접촉부(203)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제 1유연성 부재(205)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구조의 장점은 이동가능한 부분과 측정부 사이의 전동이 기어전동장치의 매개없이, 따라서 기어로 유발된 작동없이 확실한 연결로 확립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어 세그먼트(164,174)와 유연성 부재(205,206) 및 미끄럼 접촉부 (202,204)는 바람직하기로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정확도에서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안착부(110, 120)는 한쪽 끝에 수직면에 놓여 있는 굽어진 부위에서 홈 끝을 가지고, 다른쪽 끝에서는 수직면에 놓여 있는 벤드 세그먼트(bend segment)를 거쳐 수평면에 놓여 있는 벤드 세그먼트로 바뀐다. 그리하여, 2개의 지지안착부(110,120)는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 중에 상기 지지안착부는 서로에 대해 거꾸로 장착되며, 결과적으로 지지안착부(110,120)의 제조비용을 한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20)의 바닥부(30)는 프레임의 다리부(21,22)에 대해 적은 정도로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바닥부(30)와 상기 다리부(21, 22)에 작용하는 스프링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와, 연결부재(80,90), 지지부 (4), 및 프레임(20) 사이에서의 어떠한 작동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은 세개의 기능을 하나로 한번에 수행하는데, 즉 움직이는 부재들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시키고, 움직이는 부재들 사이의 어떠한 작동도 제거하며, 제광구조 (dimming construction)에 편향을 제공한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보호범주는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발명사상의 근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로 도시된 실시예를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의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몇 가지 형태의 차량에 적합한 룸미러의 구현은 생략될 수 있는데, 즉 하우징(2)에 대한 지지부(4)의 운동 자유도(F1)를 없애고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부(4)는 제 1연결부재(80)에 단일한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2)은 프레임(2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광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거울지지판(3')은 하우징(2)에 선회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광가능성이 없거나, 제광가능성이 전기변색 유리에 의해 제공되며, 또는 제광가능성이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하우징(2)과 거울지지판(3')은, 하우징(2)이나 거울지지판(3')이 프레임(20)에 결합된 채로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은 프레임(20)의 다리부(21,22)가 아닌 지지안착부 (110,1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차량용 룸미러의 구조를 제공하며, 특히 원가면에서 효율적이고 전기조정 및 위치검출기와 용이하게 결합하는 룸미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8)

  1. 룸미러를 차량에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4)와; 거울판(3)을 부착하기 위한 거울지지판(3'); 이 거울지지판(3')이 부착되는 프레임(20); 프레임 지지부 (100); 및 상기 지지부(4)를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80, 90)으로서, 한편으로는 이 연결수단(80,90)과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 사이에서 단지 Y축에 대한 회전 자유도만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20)은 프레임 지지부(100)에, 한편으로는 상기 프레임(20)과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 지지부(100) 사이에서 단지 Z축에 대한 회전 자유도만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프레임(20)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 사이에서 단지 Z축에 대한 회전 자유도만이 존재하도록 되어 있고, 조립 후에는 Z축에 대한 상기 회전 자유도를 제거하기 위한 고정수단(63,64,8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64,85)은 지지부(4)와 연결부재(80)에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와 연결부재(80)는 일체의 단일부재로 제조되고, 상기 연결부재(80)는 사출성형법에 의해 지지부(4)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4)의 연결부재(80)에 대한 위치는 사출성형으로 제조과정 동안 상기 지지부(4)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80,90)은 제 1연결부재(80)와 제 2연결부재(9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80)는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연결부재(90)는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연결부재(80)와 제 2연결부재(90)는 서로 결합되어 있되, 한편으로는 상기 제 1연결부재(80)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연결부재(90) 사이에서 단지 X축에 대한 회전 자유도만이 존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는 서로 직선으로 된 2개의 돌출핀(63,64)이 형성된 구형상 단부(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80)는 원형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상부면(8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되기 위해 상응하는 절삭부(85)를 구비한 바닥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재(90)는 제 1 연결부재(80)에 결합되기 위하여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바닥면(91)을 구비하고,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측면(95,96)을 구비한 측벽과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되기 위한 어깨부(97,9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지지부(4)에 결합되기 위한 힌지소켓(65)을 구비한 바닥면(30)과,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결합되기 위하여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끝면(112,113;122,123)이 구비된 수직 다리부(2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는 2개의 지지안착부(110,1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안착부(110,120)에는 상기 제 2연결부재(90)에 결합되기 위하여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벽(133,13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안착부(110,120)에는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실린더면을 따라 굽은 벽(114,115;124,12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바닥면 (30)에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프레임(20)의 다리부(21,22)에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각각의 지지안착부(110,120) 위에서 발휘하도록 스프링(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지지판(3')은 상기 프레임(20)에 축선회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제광가능성의 부여를 위해 상기 프레임 (20)과 상기 거울지지판(3') 사이에 제광레버(9)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광레버(9)는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프레임(20)의 바닥면(30)으로 눌려져 있고, 상기 제광레버(9)는 상기 스프링(40)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 세그먼트(164)가 상기 제 2연결부재(9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전기모터(M1)는 프레임 지지부(100)에 장착된 제 1모터하우징 부재(15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전기모터(M1)는 제 1기어 세그먼트(164)와 맞물려 있는 기어휠(161)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어 세그먼트(174)는 상기 프레임(20)의 제 2다리부(2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전기모터(M2)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장착된 제 2모터하우징 부재(15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전기모터(M2)는 제 2기어 세그먼트(174)와 맞물려 있는 기어휠(171)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161,171)의 회전축은 Y축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161,171)은 피니언이고,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174)는 크라운휠(crown wheels)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8. 제 1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1,M2)는 상기 하우징 부재(151,152)를 통해 돌출된 연결핀(154)을 구비하고,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핀(154)에 접촉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55,1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55,156)은 전체가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지지판(3')의 Y축 및 Z축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검출기(201,203;202, 20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출기(201,203;202,204)는 인쇄회로기판(155, 156)에 구비된 제한궤도(201,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궤도(201,202)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출기(201,203;202,204)는 상기 각각의 제한궤도(201,2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미끄럼 접촉부(203,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미끄럼 접촉부(203,204)는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174) 중의 하나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접촉부(203,204)와 상기 기어 세그먼트(164, 174) 사이의 결합은 유연성있는 플라스틱 바아(205,2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라스틱 바아(205,206)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에 구비된 홈(219,220) 중의 하나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27.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룸미러.
  28. 제 27항에 따른 룸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KR1019997009527A 1997-04-15 1998-04-06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KR20010006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5817A NL1005817C2 (nl) 1997-04-15 1997-04-15 Binnenspiegel voor een voertuig, en actuator voor een binnenspiegel.
NL1005817 1997-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437A true KR20010006437A (ko) 2001-01-26

Family

ID=1976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527A KR20010006437A (ko) 1997-04-15 1998-04-06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75488B1 (ko)
JP (1) JP2002504038A (ko)
KR (1) KR20010006437A (ko)
AT (1) ATE226903T1 (ko)
AU (1) AU733754B2 (ko)
BR (1) BR9808576A (ko)
CA (1) CA2285608A1 (ko)
DE (1) DE69809040T2 (ko)
NL (1) NL1005817C2 (ko)
WO (1) WO1998046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2523A1 (de) 2004-05-05 2005-12-01 Donnelly Hohe Gmbh & Co. Kg Innenspiegel mit Antriebseinrichtung zur Verstellung eines Keilspiegelglases
NL1030221C2 (nl) 2005-10-18 2007-04-19 Eaton Automotive Bv Aandrijfsysteem, aandrijfmodule en binnenspiegeleenheid voor een motorvoertuig.
US8814373B2 (en) 2011-02-28 2014-08-26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support assembly
WO2012118749A1 (en) * 2011-02-28 2012-09-07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support assembly
EP3000659A1 (en) * 2014-09-26 2016-03-30 Manucher Azmudeh In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CN107000642B (zh) 2014-11-07 2020-03-27 金泰克斯公司 全显示镜致动器
EP3509910B1 (en) * 2016-09-08 2020-12-09 Gentex Corporation Low profile mirror pivot
PL239899B1 (pl) * 2018-02-05 2022-01-24 Rawicka Fabryka Wyposazenia Wagonow Rawag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Mechanizm pozycjonowania lustra wstecznego pojazdu, zwłaszcza szynowego
US11338735B2 (en) 2019-10-31 2022-05-24 Gentex Corporation Rotatable outside mirror with imag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4785A (en) * 1951-02-12 1954-01-05 Frederick L O Roehrig Rearview mirror
NL8700878A (nl) * 1987-04-14 1988-11-01 Iku Holding Montfoort Bv Verstelinstrument voor het om twee onderling loodrechte assen elektrisch verstellen van de binnenspiegel van een motorvoertu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26903T1 (de) 2002-11-15
EP0975488A1 (en) 2000-02-02
DE69809040D1 (de) 2002-12-05
WO1998046451A1 (en) 1998-10-22
NL1005817C2 (nl) 1998-10-19
DE69809040T2 (de) 2003-06-26
JP2002504038A (ja) 2002-02-05
CA2285608A1 (en) 1998-10-22
EP0975488B1 (en) 2002-10-30
AU733754B2 (en) 2001-05-24
BR9808576A (pt) 2000-05-30
AU6750698A (en)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ehicle mirrors
US5052754A (en) Headrest arrangement
EP0287181B1 (en) An adjusting instrument for electrically adjusting the interior mirror of a motor vehicle about two mutually perpendicular axes
KR20010006437A (ko)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JP2006145895A (ja) カメラ雲台
US4105301A (en) Car mirror with U-shaped slot means and solenoid control
JP2003146134A (ja) インナーミラー装置
JP2003276507A (ja) カメラ付きルームミラー
JP3138600B2 (ja) ミラー駆動装置
US20020125988A1 (en) Device controller
KR10073726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JP2001292861A (ja) 電動オットマン装置
EP0334416B1 (en) Internal rearview mirror with an adjustable support for motor vehicles
JP3452527B2 (ja) 自動車の最広角視サイドミラー装置
EP0186366A2 (en)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JPH09175288A (ja) スライド式ド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5494387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0164341B1 (ko) 상하각조절이 가능한 룸미러고정구조
KR19980063404U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거울각도 조절장치
JP3851407B2 (ja) ワイパー付き後視鏡
KR19980024540U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 구조
JP2604574Y2 (ja) ガラス接着式インナーミラー
KR19990032000A (ko) 회전식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KR200153376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960004739Y1 (ko) 차량의 실내 후시경(interior back mirror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