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143Y1 -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43Y1
KR200243143Y1 KR2019990015426U KR19990015426U KR200243143Y1 KR 200243143 Y1 KR200243143 Y1 KR 200243143Y1 KR 2019990015426 U KR2019990015426 U KR 2019990015426U KR 19990015426 U KR19990015426 U KR 19990015426U KR 200243143 Y1 KR200243143 Y1 KR 200243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to
pump
dredged
j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2019990015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43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겔(GEL)상의 준설오니토를, 가수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죽상태로 만들어 관로 반송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고화제의 균일한 혼합을 실현하고 준설 오니토 처리의 효율화 및 유효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죽상태 오니토(b)를 제트펌프1(21)에 가압 공급하여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준설오니토(a)를 상기 고압 분사류에 휩쓸려 들게 하는 것으로 죽상태화 한다. 또한 죽상태 오니토를 제트펌프2(43)에 가압 공급하여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고화제(c) 또는 고화제 혼입물을 상기 제트펌프2의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여 양자의 혼합 및 관로 반송을 하고,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여 혼합 오니토(d)의 공형화를 시행한다.

Description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DREDGED SLUDGE SE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준설오니토를 준설위치로부터 처리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수단 및 소정의 장소에 반송된 준설오니토의 처리수단으로서의 반송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 하천, 저수지등에 퇴적된 오니토는, 그대로 방치하면 각각의 기능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적절히 준설하고 있다. 준설 수단으로서는 버켓(BUCKET)으로 퍼 올리거나, 진공흡입 및 에어리프트(AIR LIFT)에 의해 퍼 올리는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퍼올린 오니토는 탱크에 넣고, 탱크별로 소정의 장소에 수송하여, 탈수 처리하거나,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시켜, 어느정도 고형상으로 한 후에 페기처리하고 있다.
또한, 특히 준설장소로부터 지상으로 운송하는데 있어서는 펌프압송에 의한 관로 반송도 행하여지고 있다.
오니토의 관로 반송은, 준설한 겔(GEL)상 오니토를 죽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전의 죽상태화 수단으로는, 스크류교반이 채택되고 있고, 교반후에 반송펌프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스크류 교반에서는, 오니토의 완전한 죽상태화가 곤란하고 또한 아주 효율적인 수단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준설한 오니토의 폐기처리에 있어서도, 탈수처리나 응집처리는 처리 자체가 아주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취급도 아주 불편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준설오니토의 반송 및 후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 할수 있는 새로운 반송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시스템의 설명도
도 2는 동 준설부의 설명도 (굴삭기의 사용)
도 3은 동 준설부의 설명도 (진공흡입기의 사용)
도 4는 동 준설부의 설명도 (굴삭압송기의 사용)
도 5는 동 제트펌프의 단면도
도 6은 동 고화처리부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준설부 11 : 용기체
12 : 스크린 13 : 굴삭기
2 : 죽상태화부 21 : 제트펌프1
22 : 슬러리(SLURRY) 펌프1 23 : 흡인실
24 : 고압관 25 : 노즐
26 : 혼기관 27 : 공기 도입관
28 : 이송관
3 : 반송부 31 : 저류탱크
3 : 압송용 펌프 33 : 반송관
34 : 스크린
4 : 고화처리부
41 : 저장탱크 42 : 슬러리(SLURRY) 펌프2
43 : 제트펌프2 44 : 고화제 싸이로
45 : 혼합실 46 : 방출관
본 고안에 의한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 시스템은, 첫째 준설오니토의 죽상태화 수단으로서, 죽상태화된 오니토를 제트펌프1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준설오니토를 상기 고압 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는 것으로 죽상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죽상태의 오니토를 원하는 곳에 관로 수송을 하여, 일부를 다시 제트펌프1에 죽상태화용으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죽상태화된 오니토를 압력수로서 제트펌프1에 공급하면, 겔(GEL)상의 준설오니토는,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어 균일한 죽상태로 되고, 죽상태화된 오니토는, 슬러리 펌프로부터 소정의 장소에 관로 반송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시스템은, 둘째로 죽상태 오니토의 폐기처리 수단으로서 오니토를 제트펌프2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고화제 또는 고화제혼입물을 상기 제트펌프2의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여, 양자의 혼합 및 관로 반송을 하고,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고 오니토의 고형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죽상태의 오니토를 압력수로서 제트펌프2에 공급하면, 죽상태의 오니토에 고화제등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면, 고화제의 작용으로 고형화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준설부(1), 죽상태화부(2), 반송부(3), 고형 처리부(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준설부(1)은, 준설한 오니토(a)를 넣는 용기체(11)와, 용기체에 펼쳐 설치한 스크린(SCREEN, 120mm*120mm 메쉬)(12)과, 적절한 준설 수단과를 갖춘 것이다.
준설수단은, 종래의 준설수단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도 2의 예시와 같이 굴삭기(13)나 크램쉘(CLAMSHELL)버켓(BUCKET)을 사용한 굴삭 수단 도 3의 예시와 같이 제트펌프 자체를 흡인 펌프로서 작용시켜 용기체(11)를 흡인 탱크로 하고, 오니토(a)의 흡인 준설을 하여도 좋고, 또한 도 4의 예시와 같이 굴삭 압송하는 준설장치(13a)를 채용하여도 좋다.
죽상태화부(2)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제트펌프1(21)와, 제트펌프 구동용의 슬러리 펌프1(22)로 구성되며, 제트펌프1(21)은 상기 용기체(11)의 하방에 용기체(11)와 연속하는 흡인실(23)과, 상기 슬러리 펌프1(22)와 고압관(24)를 중개시켜 접속한 노즐(25)와 노즐(25)의 선단과 접속하여 상기 흡인실(23)에 개구한 혼기관(26)과, 혼기관(26)에 연결한 공기 도입관(27)과, 혼기관(26)에 대면하여 형성한 이송관(28)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슬러리 펌프(22)로 공급되는 죽상태의 오니토(b)는 후기의 저류탱크(31)로부터 취입한다.
반송부(3)은, 저류탱크(31)과, 압송용 펌프(32)와, 반송관(33)으로 구성되며 저류탱크(31)은 상기 죽상태화부(2)의 이송관(28)과 접속됨과 동시에, 도중에 스크린(10mm*10mm MESH)(34)를 중개장치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압송용 펌프(32) 및 반송관(33)은, 종전의 죽상태의 오니토(b)의 관로반송과 같고, 펌프 능력에 의하지만 통상 500 ∼ 1000m의 반송을 행한다.
고화처리부(4)는 저장탱크(41)과, 제트펌프 구동용의 슬러리 펌프2(42)와 제트펌프2(43)와, 고화제 싸이로(44)와, 혼합실(45)과, 방출관(46)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저장탱크(41)은, 상기 반송관(33)과 접속하여, 죽상태 오니토(b)를 일단 받아 넣어 보관하는 것이다. 슬러리 펌프2(42)는, 죽상태 오니토(b)를 제트펌프2(43)에 고압 공급을 함과 동시에, 혼합실(45)에도 공급하는 것이다.
제트펌프2(43)은, 상기 죽상태화부(2)의 제트펌프1(21)와 같은 구조이고, 흡인실상에 혼합실(45)를 설치하여 이루어 진다. 그리고 방출관(46)은, 제트펌프2(43)의 이송관과 대응하는 것으로서, 20m 이내의 길이로 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의 실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적절한 준설수단(준설부1)에서, 용기체(11)에 겔(GEL)상 오니토(a)를 퍼올려, 스크린(12)에서 큰 돌등을 제거하고 적정량을 채워 넣으면, 겔(GEL)상 오니토(a)는, 흡인실(23)을 꽉 채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트펌프1(21)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제트펌프1(21)은 슬러리 펌프1(22)의 구동으로, 슬러리상 오니토(b)를 고압공급하는 것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죽상태 오니토(b)를 노즐(25)로부터 분사시키면, 혼기상으로 되어 이송관(28)에로 분사된다.
이 혼기분사시에, 흡인실(23)내에 존재하고 있는 겔(GEL)상 오니토(a)는, 혼기 분사류에 휩쓸려들어, 이송관(28)에 흡인되어 이송된다.
동시에 겔(GEL)상 오니토(a)는 혼기분사류에 휩쓸려 들어가는 것으로, 전체가 균일한 상태의 죽상태 오니토(b)가 되어, 반송부(3)의 저류 탱크(31)에 일단 저장된다. 또한 이 저류탱크(31)에는 조밀한 메쉬(MESH)의 스크린(34)를 설치하여 놓았으므로, 작은 돌등이 제거된다.
저류탱크(31)에 저장된 죽상태 오니토(b)는, 압송용 펌프(32)를 구동시켜, 이송관(33)을 통하여 다음의 고화처리부(4)에 보내어 진다.
고화 처리부(4)에서는 반송관(33)에서 유송되어온 죽상태 오니토(b)를 일단 받아 넣어, 탱크(41)에 수납하고, 슬러리 펌프2(42)를 구동시켜, 제트펌프2(43)에 죽상태 오니토(b)를 고압공급함과 동시에 혼합실(45)에도 공급한다. 고화제 싸이로(44)에는, 고화제(세멘트)(C)가 수납되어 있고, 스크류 반송등으로 필요량을 혼합실(45)에 보내고, 혼합실(45)에서는, 죽상태 오니토(b)가 혼합실(45)의 외주벽에 붙으면서 분사되어, 고화제(세멘트)(c)와 죽상태 오니토(b)가 혼합하여 세멘트 밀크(MILK)상으로 되나, 단순히 양자를 혼합만 시키면 오니토(b)에 산재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고화제 혼입물은, 제트펌프2(43)의 흡인실에 흘러떨어지는 것으로서, 제트펌프2(43)에서 혼기 분사류에 휩쓸려들어, 고압분사된 죽상태 오니토(b)와 함께 방출관(46)에 보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혼기고압분사류에로 휩쓸려들음으로서, 전체가 균일한 상태로 교반된 상태로 되어, 고화제(c)는 균일하게 혼합되고, 고화제가 균일하게 혼합된 오니토(d)가 방출관(46)으로부터 페기장소에 방출되어 고화되는 것이다.
특히 지반(A)의 정비를 위한 지반 만들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출관(46)의 방출구로부터 지반 형성면에 직접 방출하여 고화시키기만 하면 좋은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전체가 균일한 것이므로, 지반형성후의 강도도 균일하고, 고품질의 지반 형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실시형태는, 준설 부재가 수면상이나 해안에 설치되어, 오니토 페기장소가 당연히 당해 준설부재 설치장소로부터 떨어져 있으나 적어도 1000m 범위내 거리의 경우에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라는 것을 기록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꼭 전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준설부와 죽상태와부의 조합만이라도 좋고, 죽상태 오니토의 이송은 탱크별로 이송하거나, 반송용 용기체에 옮겨 실어 트럭 운송등의 수단이라도 좋다. 또한 고화처리부도, 독립하여 실시할 수 있는것으로서 적절하게 운반되어 오는 죽상태 오니토의 고화를 실시하면 좋은것이고, 또한 고화제도 시멘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의 유기,무기의 오니토에 대해 사용 가능한 고화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 것이다.
또한 전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펌프1,2로서 혼기 제트펌프를 채용하고 있으나, 공기 도입을 하지 않는 통상의 제트펌프나 이잭터(EJECTOR)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준설오니토의 죽상태화 수단으로서, 죽상태로 된 오니토(b)를 제트펌프1(21)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준설오니토를 상기 고압분사류에 휩쓸려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죽상태화 하고, 또한 죽상태 오니토(b)를 제트펌프2(43)에 가압공급하여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고화제 또는 고화제 혼입믈을 상기 제트펌프2(43)의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하여 양자의 혼합 및 관로 반송을 행하고,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여 오니토의 고형화를 행하는 것으로서, 겔(GEL)상태 오니토의 죽상태화를 가수처리를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실시 할수 있는것으로서, 또한 고화처리를 위한 고화제 혼입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준설 오니토 처리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오니토를 준설하는 준설수단과, 이 준설수단에 의해 준설된 오니토가 유입되는 용기체(11)를 포함하는 준설부(1)와;
    이 용기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간의 흡인실(23)과 이 흡인실의 양단에 연결된 고압관(24)과 이송관(28)을 가지는 제트펌프1(21)과, 상기 고압관(24)에 그 토출단이 연결되는 슬러리펌프1(22)을 포함하는 죽상태화부(2)와;
    상기 이송관(28)이 그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러리펌프1(22)의 흡입단이 그 하단부에 연결되는 저류탱크(31)와, 이 저류탱크(31)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저류탱크를 상하로 구획하는 스크린(34)과, 상기 저류탱크의 상측 공간에 흡입단이 연결되는 압송용 펌프(32)와, 압송용 펌프(32)의 토출단에 연결되는 반송관(33)을 포함하는 반송부(3)와;
    를 포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3)의 반송관(33)이 그 상부에 연결되는 저장탱크(41)와, 상기 저장탱크(41)의 하단부에 흡입단이 연결되는 슬러리펌프2(42)과, 상기 스러리펌프2(42)의 토출단이 흡입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혼합실(45)이 형성되고 토출단에는 지반(A)을 향하는 방출관(46)이 연결되고 상기 혼합실(45)에 고화제를 투입하기 위한 고화제 싸이로(44)를 구비하는 고화처리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죽상태화된 준설오니토를 제트펌프(43)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고화제 또는 고화제혼입물을 상기 제트펌프(43)의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여, 양자의 혼합 및 관로반송을 행하고,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여 오니토의 고형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죽상태화된 오니토를 제트펌프(21)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준설오니토를 상기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는 것으로 죽상태로 만들고, 죽상태로서 소정의 장소에 관로운송을 하고, 일부를 상기 제트펌프(21)에 죽상태화용으로서 공급하고, 관로반송된 죽상태의 오니토를, 직접 제트펌프에 가압공급하거나, 또는 일단 저장탱크(41)에 저장하고, 저장 오니토를 제트펌프(43)에 가압공급 고압분사류로 만들어, 고화제 또는 고화제 혼입물을 상기 제트펌프(43)의 고압분사류에 휩쓸려들게 하여, 양자의 혼합 및 관로반송을 행하고, 소정의 장소에 방출하여 오니토의 고형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KR2019990015426U 1999-07-29 1999-07-29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KR200243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26U KR200243143Y1 (ko) 1999-07-29 1999-07-29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26U KR200243143Y1 (ko) 1999-07-29 1999-07-29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670A Division KR100451562B1 (ko) 1999-07-21 1999-07-21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143Y1 true KR200243143Y1 (ko) 2001-09-29

Family

ID=7308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426U KR200243143Y1 (ko) 1999-07-29 1999-07-29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5257C (zh) 喷射搅拌施工方法及喷射搅拌装置
US9593457B2 (en) Method and system to manufacture native soil flowable fill
KR200243143Y1 (ko)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KR100451562B1 (ko) 준설 오니토의 반송처리장치
JPH0642451A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残留コンクリート処理方法
JPH1018345A (ja) 軟弱土による埋立工法および浚渫埋立・一貫施工システム
JP2834670B2 (ja) 骨材混合流体供給装置及び方法
JP3149593B2 (ja) ヘドロの処理方法及びヘドロの処理プラント
EP0699633A2 (en) Solidification and pneumatic transportation equipment for soft mud
JP2824041B2 (ja) 土圧式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排土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200523435A (en) Device for spraying mortar or concrete, and method of spraying mortar or concrete by using the device
CN211640447U (zh) 一种公路桥梁铺设用具有防滑功能的混凝土搅拌装置
JP3623594B2 (ja) 超軟弱土用ベルトコンベヤ
JP3660939B2 (ja) 埋戻し用土砂の可搬式流動化処理装置
JP3053179B2 (ja) 浚渫等の土砂の固化移送処理方法
JPH0588628U (ja) 泥土と固化材の混合装置
JPH04102614A (ja) 空気圧送による軟弱土の固化方法
JPS59179197A (ja) スラリ−状泥土処理方法及び装置
JP3650589B2 (ja) 土砂圧送機用高圧水土砂撹拌装置
JP2779888B2 (ja) 土砂のパルス式空気圧送工法および装置
JP2000192504A (ja) 建設工事の泥土の移送装置
JPH01198928A (ja) 泥土圧送方法及び装置
JP3398247B2 (ja) 泥土固化材混合処理装置および泥土処理システム
JPH05311985A (ja) 土圧シールド掘進工法
JP2000038900A (ja) トンネル覆工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