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102Y1 -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 Google Patents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02Y1
KR200243102Y1 KR2020010014154U KR20010014154U KR200243102Y1 KR 200243102 Y1 KR200243102 Y1 KR 200243102Y1 KR 2020010014154 U KR2020010014154 U KR 2020010014154U KR 20010014154 U KR20010014154 U KR 20010014154U KR 200243102 Y1 KR200243102 Y1 KR 200243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index plate
water expansion
water
expansi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20010014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02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의 지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 : 이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1)은, 수팽창 지수판(11)에 접착제(9)로 부착되도록 그 일 면에 다수의 돌기(7)를 형성한 바디(3); 이 바디(3)의 돌기(7) 반대측에 바디 함몰부(17)가 함몰 설치되고, 콘크리트 함몰부(19)가 양생 전 콘크리트(13)에 함몰 설치되며, 연결부(21)가 바디 함몰부(17)와 콘크리트 함몰부(19)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앵커(5)로 구성된다.
효과 : 이 스트립은, 수팽창 지수판이 부착된 바디가 앵커에 의하여 양생 전 콘크리트에 밀착 설치되므로 수팽창 지수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공극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의 지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strip for use in an adhesion of tight water stopping plate}
본 고안은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에 구비된 앵커를 콘크리트에 함몰시키고 바디를 수팽창 지수판에 부착하여 수팽창 지수판을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설치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 지하실, 슬래브 벽, 댐, 제방, 터널, 지하도, 저수조, 침전조, 개수로, 그리고 수조 건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팽창 지수판을 설치한다.
이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 공법의 한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양생된 콘크리트(51)의 상면을 청결하게 정리하고, 수팽창 지수판(53)을 배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못(55)을 박아 수팽창 지수판(53)을 콘트리트(51) 상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 공법은 콘크리트(51) 상면과 수팽창 지수판(53) 사이에 필연적으로 공극(57)을 형성시켜, 콘크리트(51) 시공 이음부의 지수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51)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수팽창 지수판(53)을 부착하여 콘크리트(51)와 수팽창 지수판(53) 사이의 공극(57)을 어느 정도 제거한 상태로 콘크리트 못(55)을 박아 설치하는 공법도 있다.
그러나, 이 두 공법은 모두, 콘크리트(51)가 일정 시간 양생된 후에 콘크리트 못(55)을 박기 때문에, 콘크리트 못(55) 박기 작업을 어렵게 하여 수팽창 지수판(53)을 손상시킬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고, 콘크리트(51)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수팽창 지수판(54)의 손상과 콘크리트(51)의 크랙은 콘크리트 타설 시, 모르터의 침투에 의하여 또 다른 시공 이음부를 형성하여 누수 등 하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의 지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은,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 설치되는 수팽창 지수판에 접착제로 부착되도록 그 일 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바디, 이 바디의 돌기 반대측에 그 일측이 함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양생 전 콘크리트에 함몰 설치되는 앵커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는 수팽창 지수판과 긴밀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팽창 지수판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앵커는 바디에 함몰되는 바디 함몰부, 양생 전 콘크리트에 함몰되는 콘크리트 함몰부, 그리고 이 콘크리트 함몰부와 바디 함몰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의 사시도.
도 2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관련된 수팽창 지수판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립 3 : 바디
5 : 앵커 7 : 돌기
9 : 접착제 11 : 수팽창 지수판
17 : 바디 함몰부 19 : 콘크리트 함몰부
21 : 연결부
본 고안의 장점과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의 사시도로서,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의 지수성과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스트립(1)은 바디(3)와 앵커(5)로 구성되어 있다.
바디(3)는 그 일 면에 돌기(7)를 구비한 연속적인 구조의 것을 필요에 따라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는 미세하게 형성되어 접착제(9)의 도포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의 일면과 수팽창 지수판(11)의 부착을 긴밀하게 하여 바디(3)와 수팽창 지수판(11) 사이의 공극 발생을 제거한다.
이 공극 제거의 일환으로, 바디(3)는 수팽창 지수판(11)과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수팽창 지수판(11)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수팽창 지수판(11)이 고무제일 경우, 바디(3) 또한 고무제로 형성한다.
또한, 바디(3)는 양생 전 콘크리트(13)에 함몰 설치되는 앵커(5)에 의하여 콘크리트(13)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즉, 앵커(5)가 구비된 바디(3)를 양생 전 콘크리트(13) 상에 가볍게 눌러 설치함으로서, 돌기(7) 반대측 바디(3)의 일 면은 콘크리트(13)에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바디(3)의 일 면은 수팽창 지수판(11)에 돌기(7)와 접착제(9)로 긴밀하게 접착되고, 바디(3)의 다른 일 면은 양생 전 콘크리트(13)에 밀착 설치됨으로서, 수팽창 지수판(11)을 콘크리트(13)와 공극 없이 긴밀하게 설치한다.
한편, 앵커(5)는, 콘크리트(13)가 양생되는 동안, 바디(9)를 콘크리트(13)에 고정시켜 주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함몰부(17), 콘크리트 함몰부(19), 그리고 연결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바디 함몰부(17)는 바디(3)에 함몰 설치되어 바디(3)와 일체를 이루고, 콘크리트 함몰부(19)는 양생 전 콘크리트(13)에 함몰 설치되어 콘크리트(13)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부(21)는 바디 함몰부(17)와 콘크리트 함몰부(19)를 상호 연결하여 바디(3)의 일 면을 콘크리트(13)에 밀착시킨다.
이 바디 함몰부(17), 콘크리트 함몰부(19), 그리고 연결부(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앵커(5)는 I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바디(3)와 콘크리트(13)에 각각 넓은 접촉 면적으로 함몰되어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1)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 수팽창 지수판(11)을 설치하는 공정은 이와 같다.
먼저, 콘크리트(13)를 타설한다.
이 콘크리트(13)가 양생되기 전에 스트립(1)을 설치한다. 즉, 콘크리트(13) 시공 이음부에 바디(3)를 가볍게 눌러서 바디(3)의 일 면에 구비된 앵커(5)를 콘크리트(13)에 함몰시킨다. 이때 앵커(5) 측 바디(3)의 일 면은 콘크리트(13)에 밀착되어 바디(3)와 콘크리트(13) 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콘크리트(13)가 양생된 후, 이 바디(3)의 돌기(7)측 면에 접착제(9)를 도포한다. 이러한 접착제(9) 대신에 바디(3)의 상면에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경우에는 테이프의 접착층 보호 커버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접착제(9)가 도포된 바디(3)의 일 면에 수팽창 지수판(11)을 눌러서 부착한다. 이 수팽창 지수판(11)과 바디(3)는 상호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돌기(7)에 의한 넓은 면적으로 부착되므로 이들 사이의 공극을 또한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수팽창 지수판(11) 상에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한다.
따라서, 양생된 기존 콘크리트(13)와 계속 타설되는 콘크리트(미도시)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 수팽창 지수판(11)을 긴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돌기를 구비하여 수팽창 지수판을 바디에 긴밀하게 부착하고, 앵커를 구비하여 수팽창 지수판이 부착된 바디를 양생 전 콘크리트에 긴밀하게 설치함으로서, 양생된 콘크리트에 지수판을 놓고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수팽창 지수판과 콘크리트와의 공극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의 지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팽창 지수판의 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 설치되는 수팽창 지수판(11)에 접착제(9)로 부착되도록 그 일 면에 다수의 돌기(7)를 형성한 바디(3), 상기 바디의 돌기 반대 면에 그 일측이 함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양생 전 상기 콘크리트(13)에 함몰 설치되는 앵커(5)를 포함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5)는 상기 바디(3)에 함몰된 바디 함몰부(17), 상기 바디 함몰부의 대향측 상기 콘크리트(13)에 함몰되는 콘크리트 함몰부(19), 상기 바디 함몰부(19)와 상기 콘크리트 함몰부(19)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KR2020010014154U 2001-05-15 2001-05-15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KR200243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54U KR200243102Y1 (ko) 2001-05-15 2001-05-15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54U KR200243102Y1 (ko) 2001-05-15 2001-05-15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102Y1 true KR200243102Y1 (ko) 2001-10-15

Family

ID=7310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154U KR200243102Y1 (ko) 2001-05-15 2001-05-15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3102Y1 (ko) 수팽창 지수판 부착용 스트립
JP2008038426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00066163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JPH07300950A (ja) 防水押えコンクリートの伸縮目地挿入凹部の形成施工法及び組立て伸縮目地。
KR200286472Y1 (ko) 수팽창성 지수재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KR20050079965A (ko)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275996Y1 (ko) 수팽창성 지수재
KR20031978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부의 배수관 고정판
JP3142591U (ja) コンクリート打継部分の止水構造及び耐震水平スリット材
KR200389495Y1 (ko) 콘크리트 방식판 설치구조
JPH094077A (ja) 外壁材の目地処理方法
JPH06248714A (ja) PCaスラブ板のジョイント部の止水工法
KR20000074386A (ko) 슬라브 지붕의 단열, 방수공법
KR100325661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표면처리방법
JPS5816068B2 (ja) タイル取付け工法
JPH0439342Y2 (ko)
KR200233182Y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의 탄소 섬유 보강판
JPH086910Y2 (ja) 改修塗膜防水工法用伸縮目地材
KR20010085238A (ko)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JP3615524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表面の剥落防護構造および防護工法
JPS6350338Y2 (ko)
JP4324699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表面の耐蝕処理工法および耐蝕処理構造、並びに耐蝕性パネル
JP3330674B2 (ja) 防水層立上り部の保護工法及び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