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96Y1 - 수팽창성 지수재 - Google Patents

수팽창성 지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96Y1
KR200275996Y1 KR2020020004224U KR20020004224U KR200275996Y1 KR 200275996 Y1 KR200275996 Y1 KR 200275996Y1 KR 2020020004224 U KR2020020004224 U KR 2020020004224U KR 20020004224 U KR20020004224 U KR 20020004224U KR 200275996 Y1 KR200275996 Y1 KR 200275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rete
index member
expandable index
expan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돈
Original Assignee
박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돈 filed Critical 박광돈
Priority to KR2020020004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96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수팽창성 지수재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 수단없이 그 자체만으로 1차 콘크리트 상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고, 공사중에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미리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팽창성 지수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는 1차 콘크리트의 상면에 밀착되는 본체와 상기 1차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지수재의 표면에 수분 차단용 막이 추가로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에 의하면 별도의 고정 수단없이 콘크리트의 접합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증대되며, 수분 차단용 막에 의하여 미리 팽창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지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수팽창성 지수재 {water stop sealing}
본 고안은 수팽창성 지수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의 시공 이음부와 같은 접합부에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팽창성 지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는 일체로 한번에 타설되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조적인 문제 또는 현장 상황 등에 따라 일체로 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콘크리트를 나누어 타설함으로써 발생되는 콘크리트 구조의 시공 이음부는 수분의 침투에 의한 누수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수재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된 1차 콘크리트(1)의 상면의 레이턴스 등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수팽창성 지수재(10)를 배치한 다음 못 또는 접착재로 고정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팽창성 지수재의 설치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10)를 상기 1차 콘크리트(1)의 상면에 고정하여 부착시키는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상기 1차 콘크리트의 상면과 수팽창성 지수재(10)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고, 둘째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10) 설치후 2차 콘크리트(2) 타설시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10)가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팽창하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팽창성 지수재가 들뜨고 뒤틀려 오히려 물 흐름 통로를 만들어 주는 결과가 되어 지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못으로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10)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1차 콘크리트(1)가 일정 시간 양생된 후에 행하여지므로 상기 1차 콘크리트(1)에 균열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이는 누수 등 하자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차 콘크리트의 상면과 수팽창성 지수재 사이의 공극을 없애 지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못이나 접착재 없이 지수재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수팽창성 지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팽창성 지수재 설치 후 2차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가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미리 팽창하여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팽창성 지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수팽창성 지수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팽창성 지수재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
1 : 1차 콘크리트 10 : 수팽창성 지수재
11 : 본체 12 : 매립부
20 : 수분 차단용 막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수팽창성 지수재 본체와 1차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공사중에 수팽창성 지수재가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미리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차단용 막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10)는 본체(11)와 매립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수분 차단용 막(20)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1)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1차 콘크리트(1)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본체(11)의 하부면 및 양 측면의 일부에는 후술하는 수분 차단용 막(20)이 추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12)는 상기 본체(11)의 하부에 연결되어 1차 콘크리트(1)에 매립되는 부분으로서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는 후술하는 수분 차단용 막(20)이 추가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10)는 1차 콘크리트(1)에 매립되는 상기 매립부(12)에 의하여 못이나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기 1차 콘크리트(1)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매립부(12)의 표면에는 1차 콘크리트(1)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매립부(12)의 하부의 단면이 상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팽창성 지수재(10)는 상기 본체(11)와 매립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T'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속적인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 및 매립부(12)의 단면 형상으로 장방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수분 차단용 막(20)은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11)의 하부면 및 양 측면의 일부와 상기 매립부(12)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수팽창성 지수재 표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차단용 막(20)은 수팽창성 지수재가 공사중에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미리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팽창성 지수재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분 차단용 막(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불투수성 재질로서 불투수성이 영구적으로 지속되거나 또는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녹아서 없어지는 재질로 한다.
수분 차단용 막(20)이 녹아서 없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분 차단용 막(20)이 콘크리트 중의 물에 녹을 수 있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 성분과 반응하여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부패하여 없어지는 재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분 차단용 막(20)은 코팅 또는 도장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팅에 의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를 공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성 재질 또는 알칼리 성분에 녹는 재질로 지수재의 표면을 코팅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장에 의하는 경우에는 공장에서 도장된 상태로 출하될 수도 있으나 수용성 또는 알칼리 성분에 녹는 성질을 지닌 도료를 현장에서 수팽창성 지수재를 설치할 때 지수재의 표면에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1차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상기 1차 콘크리트의 표면을 정리하고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10)의 매립부(12)를 상기 1차 콘크리트의 상면에 매립시켜 수팽창성 지수재를 고정하여 부착시킨다.
이 때 상기 본체(11)의 하부면을 상기 1차 콘크리트의 상면에 밀착시켜 공극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상기 1차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본 고안의 수팽창성 지수재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수팽창성 지수재 자체의 매립부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므로 1차 콘크리트에 유행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팽창성 지수재의 표면에 수분 차단용 막이 설치되므로써 수팽창성 지수재가 공사중에 콘크리트 중의 물과 반응하여 미리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의 접합부의 지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콘크리트 접합부의 1차 콘크리트 상면에 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1차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매립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지수재.
  2. 제1항에서, 상기 매립부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거나 매립부 하부의 단면이 매립부 상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지수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의 본체의 양 측면의 일부 및 하부면과 상기 매립부의 표면 또는 상기 수팽창성 지수재의 표면 전체에 수분 차단용 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지수재.
  4. 제3항에서, 상기 수분 차단용 막은 불투수성 재질로서 영구히 불투수성이 지속되거나 또는 일정 기간 경과 후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지수재.
KR2020020004224U 2002-02-08 2002-02-08 수팽창성 지수재 KR200275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4U KR200275996Y1 (ko) 2002-02-08 2002-02-08 수팽창성 지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4U KR200275996Y1 (ko) 2002-02-08 2002-02-08 수팽창성 지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996Y1 true KR200275996Y1 (ko) 2002-05-18

Family

ID=7311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24U KR200275996Y1 (ko) 2002-02-08 2002-02-08 수팽창성 지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47A (ko) * 2002-03-29 2002-04-17 이인길 콘크리트 수화물 용해성 필름층을 갖는 수팽창 지수재 및지수판
KR101694165B1 (ko) 2016-07-04 2017-01-09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콘크리트 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90977B1 (ko) * 2021-12-13 2022-04-25 한상규 콘크리트 시공 경계면의 누수방지 구조물
KR20220169674A (ko) 2021-06-21 2022-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팽창지수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호벽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47A (ko) * 2002-03-29 2002-04-17 이인길 콘크리트 수화물 용해성 필름층을 갖는 수팽창 지수재 및지수판
KR101694165B1 (ko) 2016-07-04 2017-01-09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콘크리트 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220169674A (ko) 2021-06-21 2022-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팽창지수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호벽 시공방법
KR102390977B1 (ko) * 2021-12-13 2022-04-25 한상규 콘크리트 시공 경계면의 누수방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336B1 (en) Sleeve coupling
JP6093808B2 (ja) 基礎部の配管構造及び基礎部の配管工法
CA2922946A1 (en) Expansion joint seal system
JP2007321398A (ja) コンクリート打継部分の止水構造及び止水部材
KR200275996Y1 (ko) 수팽창성 지수재
JP4931509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620017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打継部分の止水機構及び止水部材
JP200614453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286472Y1 (ko) 수팽창성 지수재
JP4685493B2 (ja) 目地構造および目地の改修方法
JP2007016496A (ja) 壁体の目地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金属製屈曲板
KR101566591B1 (ko) 창틀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 보강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보강시트
JPH11173093A (ja) 排水機能を備えた樹脂被覆型合成セグメント
JP4978171B2 (ja) 新規誘発目地構造
KR100583986B1 (ko) 구조물의 신축이음 장치
KR20080000865U (ko) 창호용 지수재
JPH116197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4374A (ja) 排水管
JP5355488B2 (ja) 目地補修構造及び目地補修工法
KR101450690B1 (ko)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측면 보호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KR200330651Y1 (ko) 구조물의 신축이음 장치
JP2003147935A (ja) サイディングの縦目地の止水構造
US20140202103A1 (en) Membrane Interface for Building Apertures
JP2002021288A (ja) 脱気プラ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脱気方法
JP2006132214A (ja) 折板屋根の断熱構造及び折板屋根用発泡樹脂断熱ボード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