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53Y1 -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53Y1
KR200241353Y1 KR2020010011419U KR20010011419U KR200241353Y1 KR 200241353 Y1 KR200241353 Y1 KR 200241353Y1 KR 2020010011419 U KR2020010011419 U KR 2020010011419U KR 20010011419 U KR20010011419 U KR 20010011419U KR 200241353 Y1 KR200241353 Y1 KR 200241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racket
fixed
fixing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배
Original Assignee
손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배 filed Critical 손상배
Priority to KR202001001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구조이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칸막이 판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일단부의 지지편을 굴곡하여 적은 수량으로도 견고한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THE BRACKET FOR PARTITIONING INSTALLATION}
본 고안은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이면서 동일구조의 브래킷을 칸막이의 설치위치에 따라 일단부만 변형을 주어 적은 수량의 브래킷으로 손쉽게 견고한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 등과 같은 장소에는 조립식 칸막이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칸막이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ㅡ자형 판넬(100) 일단을 벽면(110)에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된 판넬(100)과 벽면(110)의 전후 모서리에 각각 3 ~ 4개의 ㄴ자형 브래킷(120)을 박아 판넬(100)의 일측은 벽면(110)에 고정하고, 다른 일측은 ㅡ자형 판넬(100)을 T자형으로 맞대고 그 전후 접합부에 각각 3 ~ 4 개의 ㄴ자형 브래킷(120)을 박아 고정한 후 상기 판넬(100)의 하단에는 바닥면에서 닿지 않도록 하며 판넬(100)의 중량을 지지하는 받침용 브래킷(130)을 보통 판넬(100)의 하부에 2개를 고정하여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칸막이 설치방법은 ㄴ자형의 브래킷을 판넬과 벽면 및 판넬과 판넬의 전후 접합부마다 다수의 브래킷과 판넬의 하부에 다수의 받침용 브래킷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와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수의 브래킷을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된 다수의 브래킷에 의하여 판넬의 외측면이 외관상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조이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칸막이 판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일단부의 지지편을 굴곡하여 적은 수량으로도 견고한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래킷
11 : 브래킷본체 12 : 절곡선 13 : 지지편
14 : 제 1 고정편 15 : 제 2 고정편
20 : 고정공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위치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본 고안은 일단부의 지지편을 굴곡하여 적은 수량으로 견고한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브래킷본체(11)의 상부에 절곡선(12)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선(12)의 상부에 브래킷본체(11)와 연설되고 전후 직각으로 절곡되하여 판넬(10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편(13)을 형성하며, 상기 절곡선(12) 하부 브래킷본체(11)의 양측에서 직각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판넬(100)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14)을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본체(11)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연설되어 판넬(100)이나 벽면(110)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15)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편(13)과 제 1, 2 고정편(14)(15)에는 각각 고정공(2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 은 칸막이판넬이고, 110 은 벽면이며, 140 은 고정수단이다.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지지편(13)과 제 1, 2 고정편(14)(15)이 형성된 브래킷본체(11)로 구성된 본 고안 브래킷(10)은 ㅡ자형 판넬(100) 사방 모서리에 브래킷(10)의 브래킷본체(11)을 고정하되,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10)에 고정되는 쪽의 판넬(100) 상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은 브래킷본체(11)를 판넬(100)의 측면에 밀착시키고 브래킷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13)을 제 1 고정편(14)이 돌출된 방향으로 절곡하여 지지편(13)이 판넬(100)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판넬(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은 제 2 고정편(15)이 상부로 위치되게 하여 판넬(100)의 측면에 브래킷본체(11)를 밀착시킨 후 지지편(13)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돌출된 제 1 고정편(14) 방향으로 절곡하여 지지편(13)이 판넬(10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10)의 제 1 고정편(14)은 판넬(100)에 밀착되고, 지지편(13)과 제 1 고정편(14)에 형성된 고정공(20)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40)을 이용하여 판넬(100)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판넬(100)의 일측 상하부 모서리에 브래킷(10)을 고정 후 상하부 브래킷본체(11)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설된 제 2 고정판(15)의 고정공(20)에 고정수단(140)을 이용하여 판넬(100)을 벽면(1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ㅡ자형 판넬(100)이 T자형을 고정되는 다른 일측의 판넬(100) 상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은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제 1 고정편(14)이 판넬(100)에 밀착되게 브래킷본체(11)를 판넬(100)의 상부 측면에 밀착시키고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13)을 상기 제 1 고정편(14)의 반대방향으로 절곡한다.
또한, 상기 ㅡ자형 판넬(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은 제 2 고정편(15)이 상부로 위치되게 하여 제 1 고정편(14)이 판넬(100)에 밀착되도록 하여 브래킷본체(11)를 판넬(100)의 하부 측면에 밀착시키고 지지편(13)을 제 1 고정편(14)의 반대방향으로 절곡한 후 판넬(100)의 다른일측 상부와 하부에 밀착된 제 1 고정편(14)의 고정공(20)에 고정수단(140)을 이용하여 판넬(1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지지편(13)을 원하는 방향의 절곡시 브래킷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선(12)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절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면(110)에 고정된 판넬(100)의 다른 일측 상하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은 판넬(100)의 외측으로 지지편(13)이 돌출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판넬(100)의 상하부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편(13) 사이에 다른 ㅡ자형 판넬(100)을 T자형으로 밀착시키고, T자형으로 밀착된 판넬(100)의 중앙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편(13)과 제 2 고정편(15) 각각의 고정공(20)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4)을 이용하여 판넬(100)을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칸막이 판넬(100)은 판넬(100)과 판넬(100)의 연결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판넬(100)의 중앙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용 브래킷(13)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선(12)을 홈으로 형성하여 절곡시 브래킷본체(11)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절곡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벽면(110)에 판넬(100)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하거나, 판넬(100)과 판넬(100)의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판넬(100)의 양측 중앙에 브래킷(10)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편(13)을 브래킷본체(11)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제 1 고정편(14)을 이용하여 판넬(100)의 양측면에 고정하고, 제 2 고정편(15)을 이용하여 벽면(110)에 고정하거나 T자형으로 고정된 판넬(100)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과 같이 고정되는 칸막이 판넬은 고중화장실과 같은 장소의 벽면에 일정간격 다수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판넬에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브래킷의 일단부에 약간의 변형을 주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적은 수량의 브래킷으로도 판넬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적은 수량의 브래킷을 사용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칸막이 판넬을 설치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브래킷본체(11)의 상부에 절곡선(12)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선(12)의 상부에 브래킷본체(11)와 연설되고 전후 직각으로 절곡하여 판넬(10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편(13)을 형성하며, 상기 절곡선(12) 하부 브래킷본체(11)의 양측에서 직각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판넬(100)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14)을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본체(11)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연설되어 판넬(100)이나 벽면(110)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15)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편(13)과 제 1, 2 고정편(14)(15)에는 각각 고정공(2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KR2020010011419U 2001-04-20 2001-04-20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KR200241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19U KR200241353Y1 (ko) 2001-04-20 2001-04-20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19U KR200241353Y1 (ko) 2001-04-20 2001-04-20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53Y1 true KR200241353Y1 (ko) 2001-10-12

Family

ID=7309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419U KR200241353Y1 (ko) 2001-04-20 2001-04-20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96A (ko) * 2017-12-28 2019-07-08 진목호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20220070630A (ko) * 2020-11-23 2022-05-31 강봉길 칸막이 장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96A (ko) * 2017-12-28 2019-07-08 진목호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102118686B1 (ko) * 2017-12-28 2020-06-03 진목호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20220070630A (ko) * 2020-11-23 2022-05-31 강봉길 칸막이 장착장치
KR102510550B1 (ko) * 2020-11-23 2023-03-16 강봉길 칸막이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1353Y1 (ko) 칸막이 설치용 브래킷
CN111851903A (zh) 装配式壁板安装结构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JP2002004374A (ja) 防水床パンの設置構造
JPH0243249Y2 (ko)
JPH1122071A (ja) 壁下地補強板の支持具
JPH082256Y2 (ja) 衛生設備室の間仕切壁構造
JPH0813824A (ja) 壁パネルの補強構造
JPS5835119Y2 (ja) 身障者用トイレユニツト
JP2681107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H03137349A (ja) タイルブロック壁体
JPS6347204Y2 (ko)
KR930012075B1 (ko) 유닛 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JPH069209Y2 (ja) 面材押圧構造
JP2681108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方法
KR0137230Y1 (ko) 주차장 바닥판
JPS6146103Y2 (ko)
RU2064037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с каркасом здания
JP2525695Y2 (ja) 簡易外装材
JPS6321632Y2 (ko)
JPH0352469Y2 (ko)
JPH11343750A (ja) ユニットルームのパネル接続構造
JPH0813670A (ja) 床板の固定金具
JP2001178642A (ja) 収納棚の取付構造
JPH0617927Y2 (ja) 化粧板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