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762Y1 - 완충포장구조체 - Google Patents

완충포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762Y1
KR200240762Y1 KR2020000033608U KR20000033608U KR200240762Y1 KR 200240762 Y1 KR200240762 Y1 KR 200240762Y1 KR 2020000033608 U KR2020000033608 U KR 2020000033608U KR 20000033608 U KR20000033608 U KR 20000033608U KR 200240762 Y1 KR200240762 Y1 KR 20024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ottom plate
packaging structure
buff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62Y1/ko

Link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완충포장구(20)는 골판지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제1바닥판(30), 제2바닥판(40) 및 커버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는 각각 제품안착공(32,42)이 천공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겹쳐져 사용된다.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는 지지편(34,34')(44,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50)은 상기 제1바닥판(3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 안착된 제품(p)을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의 사이에는 걸림공(38)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50)에는 걸림편(5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완충포장구조가 상대적으로 소형화되면서도 완충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포장구조체{A packing structure}
본 고안은 완충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제품을 일차 포장한 상태로 포장용 박스에 넣어지는 완충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완충포장구(1)는 스치로폼(E.P.S)을 원재료로 하여 일체로 만들어진다. 즉 완충포장구(1)의 둘레를 외벽(3)이 형성하고, 상기 외벽(3)에 둘러싸인 내부를 격벽(5)이 구획하여 그 내부에 제품안착홈(7)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포장구(1)는 포장용 박스의 내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품안착홈(7)은 안착되는 제품(p)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 진다. 이를 위해 상기 외벽(3)과 격벽(5)에는 필요한 끼움홈(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안착홈(7)은 소정의 깊이를 가져 제품(p)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3)과 격벽(5)은 완충성을 갖기 위해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스치로폼의 완충특성상 대략 10cm이상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포장구(1)에는 각각의 상기 제품안착홈(7)에 제품(p)이 안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제품안착홈(7)에 제품(p)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포장용 박스의 내부에 상기 완충포장구(1)를 안착시켜 포장하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완충포장구(1)는 그 완충 특성상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포장구(1)가 안착되는 포장용 박스의 크기가 커져야 하고 결국 물류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품(p)을 상기 제품안착홈(7)에 안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품(p)이 상기 제품안착홈(7)에 압입되지 않으면 상기 완충포장구(1)가 거꾸로 들어지는 경우에 제품(p)이 제품안착홈(7)에서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안착홈(7)은 제품(p)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여야 하고, 상기 제품(p)을 상기 제품안착홈(7)에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완충포장구(1)의 외관은 포장용 박스의 내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포장구(1)의 외면 전체가 포장용 박스의 내면 전체에 마찰되므로 삽입작업과 취출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소형이면서 완충효과가 뛰어난 완충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안착과 분리가 용이한 완충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용 박스에의 삽입과 취출이 용이한 완충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품이 포장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커버판의 걸림편을 걸림공에 체결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완충포장구 30: 제1바닥판
32: 제품안착공 34,34': 지지편
36: 절단선 38: 걸림공
39,39': 걸림턱 40: 제2바닥판
42: 제품안착공 44,44': 지지편
46: 측면판 47,47': 절곡선
50: 커버판 52: 완충부
53: 칼선 54,54': 손잡이홈
56: 걸림편 57,57': 걸림고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품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공을 구비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바닥부와 타측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이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커버부와의 체결을 위한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걸림부와의 체결을 위한 걸림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와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부와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측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의 높이는 상기 걸림편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와 커버부의 양측에는 요입되게 절제된 손잡이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안착공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인 커버부에 칼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골판지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소형인 완충포장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완충포장 및 분해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포장용 박스에의 삽입과 취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완충포장구조체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완충포장구(20)는 크게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으로 구성되는 바닥부, 커버부인 커버판(50)으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완충포장구(20)는 골판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바닥판(30)에는 다수개의 제품안착공(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품안착공(32)은 상기 제1바닥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대체로 제품(p)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품안착공(32)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지지편(34,3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품안착공(32)에 안착된 제품(p)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34,34')은 그 위치가 상기 제품(p)의 형상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품(p)이 제품안착공(32)의 내부로 어느 정도 안착될 수 있도록 제품(p) 바닥면의 요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편(34,3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의 사이에는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공(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판(50)의 걸림편(56)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걸림공(38)에는 상기 제1바닥판(30)에 해당되는 그 양측 모서리에서 걸림공(38)의 내부로 돌출되게 걸림턱(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고리(57,57')가 걸려진다.
그리고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의 사이에는 절단선(36)이 형성되어 있어, 완충포장구(20)의 사용시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이 겹쳐지게 접혀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바닥판(40)에는 상기 제1바닥판(30)의 제품안착공(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품안착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제품안착공(42)에도 역시 지지편(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져 사용된다. 따라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을 각각 형성하지 않고, 일측 바닥판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품안착공(42)의 깊이를 제품(p)의 제원에 따라 달리 한다든지, 하고 상기 걸림공(38)의 걸림턱(39,39')을 바닥판의 끝단에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제2바닥판(40)에는 측면판(46)이 연결형성된다. 상기 측면판(46)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판(50)과 제1바닥판(30)과의 사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바닥판(40) 및 커버판(50)과 각각 절곡선(47,47')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측면판(46)과 연결되어서는 커버판(5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판(50)은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p)의 상면을 눌러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판(50)에는 완충부(52)가 구비된다. 상기완충부(52)는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부(52)는 상기 커버판(50)에 칼선(53)을 넣어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칼선(53)은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내부에 십자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50)의 양측에는 손잡이홈(54,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홈(54,54')은 상기 커버판(50)의 양측을 요입되게 절제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닥판(30,40)에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판(50)에는 걸림편(56)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56)은 상기 커버판(5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판(50)과 연결된 부분이 절곡선(56')에 의해 구획된다. 이와 같이 커버판(50)과 사이의 절곡선(56')이 상기 커버판(5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절곡선(56')을 접었을 때, 상기 걸림공(38)의 걸림턱(39,39')에 자연스럽게 걸려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56)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턱(39,39')에 걸려지는 걸림고리(57,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완충포장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완충포장구(20)는 상기 절단선(36)을 따라 접어 상기 제1바닥판(30)을 상기 제2바닥판(40)상에 겹쳐지게 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의 제품안착공(32,42)이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 제품(p)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편(34,34')(44,44')에 제품(p)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제품안착공(32,42)에 제품(p)을 각각 안착시킨 후에는 상기 커버판(50)을 덮어준다. 이때 상기 커버판(50)과 상기 제1바닥판(30)의 사이는 상기 측면판(46)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다. 즉 상기 절곡선(47,47')을 각각 절곡하여 상기 측면판(46)을 상기 제2바닥판(40)과 커버판(50)에 수직되게 한 상태로 상기 커버판(5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판(50)의 완충부(52)가 상기 제품(p)의 상면에 닿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52)는 골판지에 칼선(53)을 형성한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져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완충포장구(20) 자체가 골판지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골판지 자체가 완충작용도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5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56)이 상기 걸림공(38)에 걸려지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판(50)이 상기 제1바닥판(3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제품(p)을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완충포장구(20)에 제품(p)의 포장이 완성되면 포장용 박스에 상기 완충포장구(2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판(50)의 양측면에 형성된 손잡이홈(54,54')을 잡고 완충포장구(20)의 삽입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제품(p)을 완충포장구(20)에서 꺼낼 때에는 상기 걸림편(56)의 체결상태만을 해제하면 된다. 즉 상기 걸림편(56)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57,57')를 상기 걸림턱(39,39')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제품(p)을 덮고 있는 상기 커버판(50)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품안착공(32,42)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p)을 들어내기만 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완충포장구조체는 골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제품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완충포장구조가 소형화되면서도 완충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판을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고, 이 사이에 제품을 안착시켜 커버판과 바닥판을 체결하여 제품을 포장하므로 제품의 포장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품을 제품안착홈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에서 커버판을 사용하여 눌러서 체결하므로 제품을 완충포장구에 안착시키고 분리하여 내는 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완충포장구는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단에 손잡이홈이 구비되어 있어 포장용 박스에 완충포장구를 삽입하거나 취출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7)

  1. 제품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공을 구비하는 바닥부(30,40)와,
    상기 바닥부(30,40)의 일측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바닥부(30,40)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바닥부(30,40)와 타측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커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이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1바닥판(30)과 제2바닥판(40)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커버부(50)와의 체결을 위한 걸림부(3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50)에는 상기 바닥부(30,40)에 형성된 걸림부(38)와의 체결을 위한 걸림편(5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40)와 커버부(50)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부와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측면판(46)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46)의 높이는 상기 걸림편(56)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40)와 커버부(50)의 양측에는 요입되게 절제된 손잡이홈(5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인 커버부에 칼선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포장구조체.
KR2020000033608U 2000-11-30 2000-11-30 완충포장구조체 KR200240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08U KR200240762Y1 (ko) 2000-11-30 2000-11-30 완충포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08U KR200240762Y1 (ko) 2000-11-30 2000-11-30 완충포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62Y1 true KR200240762Y1 (ko) 2001-09-25

Family

ID=7309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08U KR200240762Y1 (ko) 2000-11-30 2000-11-30 완충포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2993B1 (ja) 梱包材
JPH092454A (ja) 調節可能で且つ再使用し得る保護梱包システム
JP5955265B2 (ja) 包装ケース及び梱包体
KR200240762Y1 (ko) 완충포장구조체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JP5155089B2 (ja) 固定材
US5782354A (en) Corrugated end cap for electrical products
JP4165934B2 (ja) 梱包用緩衝材
JP5035981B2 (ja) 支持部材
JP3145940U (ja) 緩衝機能付き包装箱
KR200473371Y1 (ko) 상품 포장 박스
JP4490258B2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洗濯槽の固定装置
JP2007276808A (ja) 梱包構造
JP2013159369A (ja) 立体物のパッキング及び梱包装置
KR20090046440A (ko) 포장어셈블리
JP2009107676A (ja) 支持部材
RU2765165C1 (ru) Держатель коробки
JP5200514B2 (ja) 電子機器の梱包材
JP4779559B2 (ja) 緩衝材
JP4097137B2 (ja) 緩衝装置
KR200314369Y1 (ko) 계란 재치판 덮개의 포장구조
JP6473286B2 (ja) 包装箱
JP2007168828A (ja) 段ボール箱の蓋固定用具
JP2649134B2 (ja) 組立緩衝体
JP3175023U (ja) 緩衝機能内蔵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