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498Y1 - 자주식 어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주식 어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498Y1
KR200240498Y1 KR2020010013304U KR20010013304U KR200240498Y1 KR 200240498 Y1 KR200240498 Y1 KR 200240498Y1 KR 2020010013304 U KR2020010013304 U KR 2020010013304U KR 20010013304 U KR20010013304 U KR 20010013304U KR 200240498 Y1 KR200240498 Y1 KR 200240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tation
bus
bus station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조
Original Assignee
박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조 filed Critical 박상조
Priority to KR2020010013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498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귀성 어류의 산란을 돕기 위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댐에서 어도를 사후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또는 신규로 설치할 댐에 어도를 동시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댐 하류의 물고기가 댐 상류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를 하류로 흘러보내는 수로에 구축되는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의 반대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제 1 모선스테이션(B) 사이와,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에 닿는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 궤도레일(10a)(10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 사이에 설치되는 치차레일(12)과; 상기 치차레일(12)에 안내되어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간을 왕복구동하는 견인모선(20)과; 상기 견인모선(20)의 견인로우프(26a)에 의해 연결되어 그 모선상으로 승차가능하고, 상기 견인모선(20)이 제 1 모선스테이션(B)이나 제 2 모선스테이션(C)에 위치할 경우 그 견인로우프(26a)의 구동에 의해 어류를 포획하여 댐이나 저수지쪽으로 이동되어 방출시키도록 하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자주식 어도 시스템{auto-driving fish way}
본 고안은 회귀성 어류의 산란을 돕기 위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댐에서 어도를 사후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또는 신규로 설치할 댐에 어도를 동시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댐 하류의 물고기가 댐 상류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수지나 댐에서는 어도를 설치하지 않던가 설치할 경우 계단식 어도 등과 같이 제방의 구배에 버금가는 기울기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물살이 세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물의 낭비가 크며 유영능력이 뛰어난 어류만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밖에 없어 어도로서의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공사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도가 설치되어 되어 있지 않은 기존의 댐이나 저수지에 엘리베이터식 어도나 리프트식 어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어도를 허공에 설치하게 되므로 자연경관을 극히 해치며 더구나 댐이나 저수지의 구조적인 안전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저수지나 댐을 비켜서 설치하고자 할 경우 이동거리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한다.
또한 상류측 경사에 설치된 경사구조물로 물과 어류를 동시에 낙하시키고 양수기를 이용하여 퍼 올린 저수지 물과 함께 흘려보내므로 어류가 충격을 받음은 물론 고온시 또는 저온시 가열 또는 냉각된 경사구조물 표면과 흘러가는 물의 온도차이로 인해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댐 또는 저수지 수면상에 발생하는 파랑으로 인해 슈트가 조기에 노후하게 되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댐에서 어도를 사후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또는 신규로 설치할 댐에 어도를 동시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댐 하류의 물고기가 댐 상류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를 하류로 흘러보내는 수로에 구축되는 어류포획 스테이션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1 모선스테이션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의 반대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2 모선스테이션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과 제 1 모선스테이션 사이와, 제 2 모선스테이션과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에 닿는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 궤도레일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과 제 2 모선스테이션 사이에 설치되는 치차레일과;
상기 치차레일에 안내되어 제 1 모선스테이션과 제 2 모선스테이션 간을 왕복구동하는 견인모선과;
상기 견인모선의 견인로우프에 의해 연결되어 그 모선상으로 승차가능하고, 상기 견인모선이 제 1 모선스테이션이나 제 2 모선스테이션에 위치할 경우 그 견인로우프의 구동에 의해 어류를 포획하여 댐이나 저수지쪽으로 이동되어 방출시키도록 하는 어류이송용 자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상에 승차한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측단면도.
도 3 은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에서 하차되어 어류포획 스테이션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4 는 견인용 모선이 제 1 모선스테이션에 위치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 는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상에 승차하여 제 2 모선스테이션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은 견인용 모선이 제 2 모선스테이션에 이르러 어류포획용 자선을 하차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은 어류포획용 자선이 댐이나 저수지로 어류를 방출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서 해제/잠금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측면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10 은 해제/잠금수단의 간섭에 의한 통 고정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 은 어류방출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어류포획 스테이션, B: 제 1 모선스테이션,
A-1: 감지센서, A-2: 에어실린더,
C: 제 2 모선스테이션, 10a, 10b: 자선 궤도레일,
12: 치차레일, 13: 침목,
20: 견인모선, 21: 지지프레임,
22: 모선예인모터, 23: 구동롤러,
24: 체인구동계, 25: 자선예인모터,
26: 보빈, 26a: 견인로우프,
27: 체인구동계, 28: 궤도안내수단,
29: 승차용 레일,
30: 어류이송용 자선, 31: 베이스 프레임,
32: 지지프레임, 32a: 수평프레임,
32b: 행거 브래킷, 33: 부구,
33a: 와이어, 34: 도어개폐수단,
35: 어류포획도어, 36: 어류방출도어,
37: 어류포획통, 38: 안내롤러,
39: 수평유지봉, 39a: 수평조정추,
39b: 감지도그,
40: 통 고정수단, 41: 마찰고정판,
42: 스프링, 43: 케이싱,
44: 이동봉, 44a: 걸림레버,
44b: 와이어, 44c: 로크요홈,
45: 로크핀, 46; 해제레버,
50: 해제/잠금수단, 51: 해제레버 간섭대,
52: 걸림레버 간섭대, 53: 스프링 힌지,
60: 브래킷 프레임, 61: 모터,
62: 권취롤러, 63: 축전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도 1 은 본 고안에서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상에 승차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에서 하차되어 어류포획 스테이션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견인용 모선이 제 1 모선스테이션에 위치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어류포획용 자선이 견인용 모선상에 승차하여 제 2 모선스테이션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 은 견인용 모선이 제 2 모선스테이션에 이르러 어류포획용 자선을 하차시킨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7 은 어류포획용 자선이 댐이나 저수지로 어류를 방출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서 해제/잠금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측면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0 은 해제/잠금수단의 간섭에 의한 통 고정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를 하류로 흘러보내는 수로에 구축되는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의 반대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제 1 모선스테이션(B) 사이와,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에 닿는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 궤도레일(10a)(10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 사이에 설치되는 치차레일(12)과, 상기 치차레일(12)에 안내되어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간을 왕복구동하는 견인모선(20)과, 상기 견인모선(20)의 견인로우프(26a)에 의해 연결되어 그 모선상으로 승차가능하고, 상기 견인모선(20)이 제 1 모선스테이션(B)이나 제 2 모선스테이션(C)에 위치할 경우 그 견인로우프(26a)의 구동에 의해 어류를 포획하여 댐이나 저수지쪽으로 이동되어 방출시키도록 하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구축물에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이 대기위치에 이르렀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A-1)가 설치되는 한편, 그 구축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술되는 어류포획통(37)의 어류포획도어(35)를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개폐수단(34)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A-2)가 설치된다.
한편, 댐이나 저수지의 바깥측 경사면에 구축되는 제 1 모선스테이션(B)의 위치는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적당한 거리를 갖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해도 무방하지만 댐이나 저수지의 안쪽 경사면에 위치되는 제 2 모선스테이션(C)은 저수위치가 매일 변하기 때문에 최대 저수량을 감안하여 구축위치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견인모선(20)으로 공급되는 전원선이 물에 수장되어 버리면 감전사고나 쇼트(short)현상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2 모선스테이션(C)으로부터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에 이르기까지 설치되는 자선궤도레일(10b)은 상기와 반대로 최저저수위치를 감안하여 설계해야 한다. 이유는 포획한 어류를 댐이나 저수지의 상류측으로 원활히 방출시키고자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에서 기술된 견인모선(2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지지 프레임(21)상의 양측에 설치되어 정/역구동하는 모선예인모터(22)와, 상기 치차레일(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기어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하부에 회전자재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23)와, 상기 구동롤러(23)에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체인구동계(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구동계(24)는 모선예인모터(22)의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24a)과, 구동롤러(23)의 중심축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24b) 및 상기 스프로킷(24a)(24b)간을 연결 결합하는 체인(24c)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견인모선(20)은 상기 지지 프레임(21)상에 설치되어 정/역구동하는 자선예인모터(25)와,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과 연결된 견인 로우프(26a)를 권취하는 보빈(26)과, 상기 자선예인모터(25)의 구동력을 보빈(26)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체인구동계(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구동계(27)는 자선예인모터(25)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27a)과, 보빈(26)의 중심축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27b) 및 상기 스프로킷(27a)(27b)간을 연결 결합하는 체인(27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하부에는 궤도를 유지 안내하는 궤도안내수단(28)이 설치 구비된다. 상기 궤도안내수단(28)은 치차레일(12) 사이의 침목(13)에 설치되는 안내레일(28a)과, 그 안내레일(28a)에 구름결합되어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2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자선 궤도레일(10a)(10b)과 동일 위상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을 승차시키도록 하는 승차용 레일(29)이 설치 구성된다.
한편, 지지 프레임(21)의 하부의 침목(13)상에는 모선예인모터(22)와 자선예인모터(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14)이 비전도체인 피복레일(15)에 둘러쌓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1)측에는 상기 전원케이블(14)에 항상 접촉하는 브러시(21a)가 설치 구성된다.
이어서 어류이송용 자선(3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프레임(31)으로부터 대향되고 그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삼각형태의 지지프레임(32)이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의 후방측에 일정한 기울기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1)과 연장 설치된 연장 플레이트(31a)상에 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스티로폼 재질의 부구(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수평프레임(32a)상에 절대수평을 유지하도록 행거브래킷(32b)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고, 일측부에 도어개폐수단(34)에 의해 여닫음이 자유로운 어류포획도어(35)가 구비되며, 하부에 부구(33)와 와이어(33a)로 연결되어 상기 부구(33)의 부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어류방출도어(36)를 갖는 어류포획통(37)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개폐수단(34)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 어류포획통(37)의 측부에서, 항상 탄성 복귀력을 갖는 태엽스프링(34a)과, 상기 태엽스프링(34a)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그 태엽스프링(34a)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결합된 벨트(34b)와, 상기 태엽스프링(34a)의 끝단과 어류포획도어(35)간을 연결한 와이어(34c)상에 벨트(34b)의 임의 위치에 돌출 설치되어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시 에어실린더(A-2)의 작동에 의해 벨트(34b)를 움직이도록 간섭하는 개폐간(34d)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A-2)의 설치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구축물상에서 수직방향일 수 있고, 수평방향일수도 있다. 단 에어실린더(A-2)가 수평일 경우에는 실린더의 작동력이 개폐간(34d)에 미치기 위해서 도어개폐수단(34)의 벨트(34b) 및 개폐간(34d)의 위치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부구(33)와 어류방출도어(36)간에 연결된 와이어(33a)는 긴장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도르레에 걸쳐짐과 동시에 지지프레임(32)과 수평프레임(32a)에 걸쳐지고 통 내부로 뻗어져 상기 어류방출도어(36)에 연결 구성된다. 이러한 와이어(33a)상에는 부구(33)의 부력이나 무게를 감안하여 무게추(33b)를 덧구성할 수 있다.
한편, 어류방출도어(36)를 개폐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도 11 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지지 프레임(32)의 수평 프레임(32a)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어류포획통(37)의 상부에 브래킷 프레임(60)을 설치하고, 그 브래킷 프레임(60) 상에 모터(61)와 그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어류방출도어(36)와 연결된 와이어(33a)를 풀거나 감도록 하는 권취롤러(62) 및 모터(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63) 등을 구성하여 부구(33)를 이용하여 어류방출도어(36)를 개폐하는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균등한 장치를 이용하여 어류포획도어(35)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기술한 도어개폐수단(34) 및 이를 작동하기 위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구축물 상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A-1)의 구성이 배제됨을 당연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자선 궤도레일(10a)(10b)에 안내되어 습동하는 안내롤러(38)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자선 궤도레일(10a)을 타고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상태로 이동중일 때 하류쪽으로 흐르는 물살과 어류포획통(37) 자체의 부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상기 자선 궤도레일(10a)로부터 이탈될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롤러(38)와 근접되는 베이스 프레임(31)의 하부에 이탈방지 가이드(31b)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31b)는 그 일단이 상기 자선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레일측에 걸려져 습동되도록 하여 상기 안내롤러(38)가 궤도레일(1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지지프레임(32)의 수평프레임(32a)에는 상기 어류포획통(37)의 절대수평을 조정하기 위해 수평조정추(39a)가 구비된 수평유지봉(39)이 행거 브래킷(32b)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유지봉(37)의 선단에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에 이르렀을 경우 감지센서(A-2)와 접촉하는 감지도그(39b)가 탄설된다.
한편 상기 어류포획통(37)에 근접되는 베이스 프레임(31)상에,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 어류포획용 자선(30)의 이동시 어류포획통(37)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통 고정수단(40)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제 1 모선스테이션(B)에 정차된 견인모선(20)으로부터 하차되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에 이를 때 지지프레임(32)의 수평프레임(32a)상에 회전자재되게 설치된 상기 어류포획통(37)이 비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하류로 흐르는 물속으로 들어가는 동안 부력에 의해 절대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 감지도그(39b)와 감지센서(A-2)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가 있는가 하면, 어류포획통(37)이 회전하게 되면서 에어실린더(A-2)가 도어개폐수단(34)을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 고정수단(40)은 어류포획 스테이션(A)에 도착되기 전에 상기 어류포획통(37)의 절대수평을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통 고정수단(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상에 스프링(42)에 의해 지지되고 어류포획통(37)을 면압착시켜 고정하는 마찰고정판(4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 하부의 케이싱(43)에 습동결합되고, 일측에 걸림레버(44a)가 부설되고 상기 마찰고정판(41)과 와이어(44b)에 의해 연결 결합되며 하부에 로크요홈(44c)이 형성된 이동봉(44)과, 상기 이동봉(44) 하부의 케이싱(43)상에 스프링(45a)에 의해 탄설되어 선택적으로 이동봉(44)의 로크요홈(44c)에 끼움결합하는 로크핀(45), 및 상기 로크핀(45)의 끝단의 당김줄(46a)에 연결 결합되고 케이싱(43)에 힌지결합되는 해제레버(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어류포획 스테이션(A) 사이의 자선궤도레일(10a)을 고정 지지하는 침목(13)상에 상기 통 고정수단(40)을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해제/잠금수단(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기 해제/잠금수단(50)은, 어류포획용 자선(30)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의 이동시 상기 해제레버(46)만을 간섭하는 해제레버 간섭대(51)와, 상기 자선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에서 제 1 모선 스테이션(B)으로의 이동시 걸림레버(44a)만을 간섭하는 걸림레버 간섭대(52)가 상기의 해제레버 간섭대(51)와 일정 위상차를 가지면서 구성되고 침목(13)상에 힌지축(5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걸림레버 간섭대(52)는 두 개의 부재가 토션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힌지(53)의 설치에 의해 조합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힌지(53)는 걸림레버(44a)가 간섭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된다.
또한 해제/잠금수단(50)은 그 하부와 침목(13)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 고정수단(40)의 스프링(42) 탄성계수의 일정배율을 갖는 별도의 스프링(5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작용설명은 제 1 모선스테이션(B)에 정차된 견인모선(20)이 어류이송용 자선(30)을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로 이동되는 과정부터 설명한다.
제 1 모선스테이션(B)에 도착한 견인모선(20)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 자선예인모터(25)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자선예인모터(25)의 구동력은 스프로킷(27a)(27b)과 체인(27c)의 조합인 체인구동계(27)를 통해 보빈(26)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그 보빈(26)상에 감기어진 견인 로우프(26a)가 풀리면서 의지하고 있던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자선궤도레일(10a)를 타고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의 지지프레임(32) 하부에 구성된 통 고정수단(40)이 침목(13)상의 간섭위치에 설치된 해제/잠금수단(50)에 의해 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핀(45)과 당김줄(46a)에 의해 연결된 해제레버(46)와, 이동봉(44)의 측부에 돌출된 걸림레버(44a)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로 이동하면서 해제/잠금수단(50)의 해제레버 간섭대(51)와 걸림레버 간섭대(52)의 간섭위치에 들게 되지만 상기 걸림레버 간섭대(52)는 두 개의 부재가 스프링힌지(53)의 설치에 의해 조합되고 그 상부부재는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걸림레버(44a)를 간섭하지 못하고 통과되는 반면에, 이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해제레버(46)는 해제레버 간섭대(51)의 간섭범위에 들게 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해제레버(4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해제레버(46)와 당김줄(46a)에 의해 연결된 로크핀(45)은 스프링(45a)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향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이동봉(44) 로크요홈(44c)의 걸림범위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때 마찰고정판(41)과 와이어(44b)에 의해 연결된 이동봉(44)은 로크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마찰고정판(41)을 탄지하는 스프링(4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그 마찰고정판(41)을 상향되게 밀어 자유회전상태의 어류포획통(37)을 절대수평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이 후 어류이송용 자선(30)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대기위치에 완전히 다다르게 되면 수평유지봉(39) 선단의 감지도그(39b)가 이와 대향위치인 감지센서(A-1)를 건드리며, 이를 신호로보빈(26)을 구동시키는 자선예인모터(25)의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센싱작동에 의해 어류포획 스테이션(A)의 측방에 위치된 에어실린더(A-2)가 작동되어 도어개폐수단(34)의 개폐간(34d)간을 수직하향되게 밀게 되면 벨트(34b)의 연동에 의해 태엽스프링(34a)에 탄성력을 인가시켜 그 태엽스프링(34a)상에 권취된 와이어(34c)를 풀어 어류포획통(37) 전방의 어류포획도어(35)를 개방시킨다.
이 때 어류포획통(37)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을 역류하여 회귀성 어류가 상기 어류포획통(37) 내부에 유입되고, 충만하게 되어 에어실린더(A-2)를 복귀시키면 태엽스프링(34a)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와이어(34c)가 다시 감기어져 어류포획도어(35)를 닫게 된다.
이 후 견인모선(20)의 자선예인모터(22)가 역구동되면서 견인 로우프(26a)를 되감아 어류이송용 자선(30)을 견인모선(20)쪽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 견인모선(20)에 승차하기 전 어류포획용 자선(30)의 통 고정수단(40)은 다시 해제/잠금수단(50)의 간섭을 받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해제레버 간섭대(51)의 간섭범위를 벗어난 상태의 해제레버(46)는 그대로 통과되지만 걸림레버(44a)는 그 걸림레버 간섭대(52)에 걸리게 된다.
이 때 해제/잠금수단(50)은 침목(13)상에 힌지축(54)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 하부에 탄설된 스프링(55)의 탄성계수가 마찰고정판(41)을 탄지하는 스프링(42) 탄성계수의 일정배율이기 때문에 걸림레버(44a)를 간섭하는 걸림레버 간섭대(52)가 마찰고정판(41)의 스프링(42)을 이기면서 이동봉(44)을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4b)는 상기 마찰고정판(41)을 당기면서 어류포획통(37)의 위치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과정에서 이동봉(44)의 로크요홈(44c)에 스프링(45a)의 탄성복귀력에 의한 로크핀(45)이 끼워져 마찰고정판(37)의 해제상태가 완전히 완료된다.
이 때의 걸림레버(44a)는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제/잠금수단(50)의 스프링(55)을 이기면서 걸림레버 간섭대(52)의 간섭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연속하여 움직이는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은 견인모선(20)의 승차용 레일(29)을 타고 승차하게 되고, 자선예인모터(25)에 전원이 차단된다.
이 후 모선예인모터(22)가 구동되고 그 구동력은 스프로킷(24a)(24b) 및 체인(24c)이 조합된 체인구동계(24)를 통해 마치 랙과 피니언의 결합관계와 같이 치차레일(12)에 치합된 구동롤러(23)를 회전시켜 오르막 경사를 오르게 된다. 이 때 궤도안내수단(28)의 안내롤러(28b)는 안내레일(28a)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이탈되어 탈선될 염려가 없다.
또한 견인모선(20)은 이동체이기 때문에 상기 모선상의 각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본 고안은 궤도레일과 동일한 절연체인 피복레일(15) 내부에 전원케이블(14)을 설치하였고, 그 전원케이블(14)에 습동하면서 항상 접촉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브러시(2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모선(20)이 댐이나 저수지의 오르막 경사와 정상부를 지나다시 내리막 경사를 지나면서 견인모선(20) 및 이에 승차한 어류이송용 자선(30)의 위치상태가 역전되지만 어류포획통(37)은 항상 절대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통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될 염려가 없는 한편, 상기 견인모선(20)이 제 2 모선스테이션(C)에 도착하게 되면 모선예인모터(22)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자선예인모터(25)에 전원이 인가되어 보빈(26)에 권취된 견인 로우프(26a)를 풀게 되고, 하중에 의해 어류이송용 자선(30)은 자선 궤도레일(10b)을 타고 저수된 표층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이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 안으로 이동하게 되면 베이스 프레임(31)에 연장 설치된 연장 플레이트(31a)상에 위치된 스티로폼재질의 부구(33)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부력은 와이어(33a)에 의해 연결된 어류포획통(37) 하부의 어류방출도어(36)를 잡아당기면서 개방시켜 포획한 회귀성어류를 댐이나 저수지 안으로 방출시킨다.
한편, 부구(33)의 부력을 이용하여 않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어류포획통(37) 상부의 브래킷 프레임(60)상에 구성된 어류방출도어의 개폐수단, 즉 축전지(63)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롤러(62)를 정/역회전시키고, 그 권취롤러(62)에 감기어진 와이어(33a)를 풀거나 감아서 상기 어류방출도어(36)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 후 어류이송용 자선(30)이 다시 제 2 모선스테이션(C)에 정차된 견인모선(20)으로 끌어당겨질 때 상기 부구(33)는 점차적으로 부력이 상실됨과 아울러 와이어(33a)상에 연결된 무게추(33b)와 어류방출도어(36)의 자중에 의해 어류방출도어(36)가 닫혀지게 되고, 부력이 완전히 상실될 때 부구(33)는 자연히 연장 플레이트(31a)상에 놓이게 된다.
이 후의 작동상태는 상기의 역순이기 때문에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유영능력이 떨어지는 어류라고 하더라도 저수지 또는 댐 상류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의 댐이나 저수지에서도 안전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공사비를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댐이나 저수지를 계획할 경우 본 고안을 이용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각 스테이션과 견인모선 및 어류포획용 자선의 일정위치에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게 되면 이를 통제하는 통제소에서 최소의 관리요원만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마이컴을 이용함으로써 어류를 포획하는 단계부터 견인모선을 구동하고 어류포획용 자선을 견인하며 포획한 어류를 방출시키기 위한 상기 어류포획용 자선의 위치상태 결정 등을 일정한 흐름에 의해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를 비롯한 관리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를 하류로 흘러보내는 수로에 구축되는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의 반대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A)과 제 1 모선스테이션(B) 사이와, 제 2 모선스테이션(C)과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에 닿는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 궤도레일(10a)(10b)과;
    상기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 사이에 설치되는 치차레일(12)과;
    상기 치차레일(12)에 안내되어 제 1 모선스테이션(B)과 제 2 모선스테이션(C)간을 왕복구동하는 견인모선(20)과;
    상기 견인모선(20)의 견인로우프(26a)에 의해 연결되어 그 모선상으로 승차가능하고, 상기 견인모선(20)이 제 1 모선스테이션(B)이나 제 2 모선스테이션(C)에 위치할 경우 그 견인로우프(26a)의 구동에 의해 어류를 포획하여 댐이나 저수지쪽으로 이동되어 방출시키도록 하는 어류이송용 자선(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모선(20)은,
    지지 프레임(21)상의 양측에 설치되어 정/역구동하는 모선예인모터(22)와, 상기 치차레일(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기어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하부에 회전자재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23)와, 상기 구동롤러(23)에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체인구동계(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1)상에 설치되어 정/역구동하는 자선예인모터(25)와,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과 연결된 견인 로우프(26a)를 권취하는 보빈(26)과, 상기 자선예인모터(25)의 구동력을 보빈(26)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체인구동계(2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하부에 설치되어 궤도를 유지 안내하는 궤도안내수단(28); 및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상부에 자선 궤도레일(10a)(10b)과 동일위상차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을 승차시키도록 하는 승차용 레일(29)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이송용 자선(30)은,
    베이스 프레임(31)로부터 대향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구(33)와;
    상기 삼각 지지프레임(32)상에 절대수평을 유지하도록 매달려 설치되고, 일측부에 도어개폐수단(34)에 의해 여닫음이 자유로운 어류포획도어(35)가 구비되며, 하부에 부구(33)와 와이어(33a)로 연결되어 상기 부구(33)의 부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어류방출도어(36)를 갖는 어류포획통(37);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선 궤도레일(10a)(10b)에 안내되어 습동이동하는 안내롤러(3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포획통(37)에 근접되는 베이스 프레임(31)상에,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 어류포획용 자선(30)의 이동시 어류포획통(37)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통 고정수단(40)을 추가로 구성하되,
    상기 통 고정수단(4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상에 탄설되고 어류포획통(37)을 면압착시켜 고정하는 마찰고정판(4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 하부의 케이싱(43)에 습동결합되고, 일측에 걸림레버(44a)가 부설되고, 상기 마찰고정판(41)과 와이어(44b)에 의해 연결 결합되며, 하부에 로크요홈(44c)이 형성된 이동봉(44)과; 상기 이동봉(44) 하부의 케이싱(42)상에 탄설되어 선택적으로 이동봉(44)의 로크요홈(44c)에 끼움결합하는 로크핀(45)과; 상기로크핀(45)의 끝단에 연결결합되고, 케이싱(43)에 힌지결합되는 해제레버(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어류포획용 자선(30)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으로의 이동시 상기 해제레버(46)만을 간섭하는 해제레버 간섭대(51)와; 상기 자선이 어류포획 스테이션(A)에서 제 1 모선 스테이션(B)으로의 이동시 걸림레버(44a)만을 간섭하는 걸림레버 간섭대(52)를 상기 해제레버 간섭대(51)와 일체이되 일정 위상차를 갖도록 한 해제/잠금수단(50)을 침목(13)상에 탄력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
KR2020010013304U 2001-05-08 2001-05-08 자주식 어도 시스템 KR200240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04U KR200240498Y1 (ko) 2001-05-08 2001-05-08 자주식 어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04U KR200240498Y1 (ko) 2001-05-08 2001-05-08 자주식 어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96A Division KR100470677B1 (ko) 2001-05-08 2001-05-08 자주식 어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498Y1 true KR200240498Y1 (ko) 2001-10-12

Family

ID=7310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304U KR200240498Y1 (ko) 2001-05-08 2001-05-08 자주식 어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97B1 (ko) * 2003-04-29 2005-09-26 박광수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97B1 (ko) * 2003-04-29 2005-09-26 박광수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335B2 (en) Autonomous pool cleaning robot
ES2295741T3 (es) Metodo y dispositivo de transporte.
US3797827A (en) Lake golf ball driving range
US20110162551A1 (en) Self-driv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for persons used for the (aerial) observation of the environment
US8746148B1 (en) Portable various pitch rope tow system
US20100237305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pole mounted electrical producing or consuming panels
KR100470677B1 (ko) 자주식 어도 시스템
US201403615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generating energy
CA2613071A1 (en) Device for storing transportation means of aerial cableway
KR200240498Y1 (ko) 자주식 어도 시스템
JP3642718B2 (ja) 重量物空中搬送装置
US3952885A (en) Nuclear reactor installation
US3376829A (en) Tow system for water sking and the like
JP6389772B2 (ja) ホーム柵
CN103974869B (zh) 机械升降运载工具
CN1327923C (zh) 舞台幕体对开牵引机构
KR100516997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US2582201A (en) Ski lift
JP2009155033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870000268B1 (ko)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JPH093863A (ja) 魚道設備
KR102648660B1 (ko) 좌우 이동이 가능한 채낚기용 양승장치
JP2673274B2 (ja) 魚の搬送設備
JPS60123611A (ja) 網場用通船ゲ−ト
CN112774208B (zh) 秋千游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