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997B1 -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997B1
KR100516997B1 KR10-2003-0027276A KR20030027276A KR100516997B1 KR 100516997 B1 KR100516997 B1 KR 100516997B1 KR 20030027276 A KR20030027276 A KR 20030027276A KR 100516997 B1 KR100516997 B1 KR 10051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harity
bus
monorai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858A (ko
Inventor
박광수
황종서
Original Assignee
박광수
황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황종서 filed Critical 박광수
Priority to KR10-2003-002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9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 및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에 설치되어 하류의 어류를 상류 쪽으로 이동시키는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모선용 레일을 랙기어가 구비된 모노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모선에 설치된 모선 예인모터와 모노레일 사이에는 체인 전동수단에 의해 상기 랙기어와 치차 접속되는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모선을 따라 이동하는 자선에는 어류 포획용 도어가 개폐모터에 의해 개폐되게 함과 동시 어류 방출용 도어는 자선이 도착하는 자선 스테이션의 걸고리와 결합되면서 자동으로 개방되어 포획된 어류를 방출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선이 모선 예인모터의 동력에 의해 모노레일을 따라 양측의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왕복하고, 자선은 모선에 실린 채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왕복함과 동시 그 아래쪽에서 어류를 포획 및 방출하는 자선 스테이션 구간까지 더 왕복하여 어류를 포획 및 방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노레일에 의해 모선의 주행로(경사도 및 방향)에 관계없이 어류가 담긴 모선 또는 자선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상류측의 어류방류지 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홍수 뒤에도 제기능을 다하며, 어류의 포획 및 방출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Auto-driving fish way using mono-rail}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에 설치된 댐이나 저수지 또는 보 등의 수리 시설물에 설치되어 하류의 어류를 상류 쪽으로 이동시키는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가 담긴 자선 또는 모선을 동력으로 이동시키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서 양측의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왕복하는 모선이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하므로서 어도의 주행로에 관계없이 모선 또는 자선이 안전하게 이동하고, 자선에 설치된 어류 포획도어와 방출도어가 모터 및 걸고리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어류의 포획 및 방출이 용이하도록 한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하천에 설치된 댐이나 저수지 및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에는 생태계 보존과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어도가 설치된다.
통상, 어도는 댐이나 보 등을 가로질러 완만한 기울기로 설치되는 계단식과, 어류가 담긴 통을 허공에 매달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식 또는 리프트식과, 어류가 담긴 모선 또는 자선을 동력으로 운반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 등이 있다.
상기 계단식은 어도를 해당 지역의 지형에 맞게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물살이 세고 어도가 길어 물의 낭비가 심하며, 유영능력이 뛰어난 어류만이 상류측으로 올라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서 어도로서의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식이나 리프트식은 어도가 허공에 설치되므로 자연경관을 해칠뿐더러 댐과 저수지의 구조적인 안전문제를 야기시켜 상기 댐 또는 보를 우회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이동거리가 길어지므로 공사비의 증대와 함께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이용하여 어류가 담긴 모선 또는 자선을 운반하는 자주식 어도 시스템은 최근에 각광받는 어도 시스템의 일종으로, 수리 시설물의 하류에 위치한 어류를 물과 함께 모선 또는 자선에 싣고, 이 모선 또는 자선을 동력으로 이동하여 수리 시설물의 상류측의 어류방류지 저장된 표층수 까지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자주식 어도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본인에 의해 선출원 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13304호의 "자주식 어도 시스템"이 있다.
위 "자주식 어도 시스템의 내용을 요약하면,
『댐이나 저수지의 표층수를 하류로 흘러보내는 수로에 구축되는 어류포획 스테이션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경사면이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1모선 스테이션과;
상기 제 1모선 스테이션의 반대 경사면에 구축되고 일정높이의 단차를 갖는 제 2모선 스테이션과;
상기 어류포획 스테이션과 제 1모선 스테이션 사이와, 제 2모선 스테이션과 댐이나 저수지의 포층수에 닿는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 궤도레일과;
상기 제 1모선 스테이션과 제 2모선 스테이션 사이에 설치되는 치차레일과;
상기 치차레일에 안내되어 제 1모선 스테이션과 제 2모선 스테이션 간을 왕복 운동하는 견인모선과;
상기 견인모선의 견인 로우프에 의해 연결되어 그 모선상으로 승차 가능하고, 상기 견인모선이 제 1모선 스테이션이나 제 2모선 스테이션에 위치할 경우 그 견인 로우프의 구동에 의해 어류를 포획하여 댐이나 저수지 쪽으로 이동되어 포획된 어류를 방출시키도록 하는 어류 이송용 자선;』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자주식 어도 시스템"은 댐이나 저수지의 양측 경사면에 견인모선이 안착되는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치차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의 아래쪽에는 자선이 안착되어 어류를 포획 내지는 방출하는 어류포획 또는 방출 스테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과 어류포획 및 방출 스테이션 사이에 자선의 이동을 위한 자선 궤도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견인모선 및 자선은 각각 모선 예인모터와 자선 예인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하였던 것이다.
이 "자주식 어도 시스템"은 견인모선이 치차레일을 따라 양측의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 사이만 왕복하고, 자선은 견인모선에 실린 채 상기의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 뿐만 아니라 그 아래쪽의 어류포획 및 방출 스테이션까지 왕복하면서 하류의 어류를 포획하여 상측의 표층수에 운반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 자주식 어도 시스템은 자선을 이동시키는 견인모선이 산악용 기차레일과 같은 두 개의 치차레일을 통하여 양쪽의 제 1 및 제 2모선 스테이션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이므로 견인모선의 주행로가 직선주로일 경우에는 관계없지만, 꼬불꼬불한 곡선주로일 경우에는 회전반경의 차이로 인해 좌우 이동거리가 달라지므로 두 치차레일을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자선이나 모선의 궤도레일이 댐 상류측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될 경우, 홍수 등으로 떠내려온 쓰레기 더미가 표층에 두껍게 덮이면 부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어류방출이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궤도레일을 쓰레기가 덮을 경우 레일로써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선이 어류 포획 스테이션에 도착할 경우, 포획 스테이션에 설치된 기계적 장치를 작동시켜 어류의 포획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므로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모선이 주행로의 경사나 방향에 관계없이 모노레일을 따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자선에 설치된 어류 포획통의 어류 포획 및 방출효과가 뛰어나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 및 보의 상하류측에 설치된 모선 스테이션 사이에 랙기어가 구비된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모선에 설치된 모선 운반용 예인모터에는 체인 전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랙기어와 치차 접속되는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모선에 실려서 이동하는 자선에는 어류 포획용 도어가 개폐모터에 의해 개폐되게 하고,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에 설치된 걸고리와 결합되면서 방출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고리를 자선의 하부에 설치하여 어류의 포획 또는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선이 모선 예인모터의 동력에 의해 모노레일을 따라 양측의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왕복하고, 자선은 모선에 실린 채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왕복함과 동시 그 아래쪽에 설치된 자선 스테이션 구간까지 더 왕복하면서 어류를 포획 및 방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노레일의 특성상 모선이 이동하는 주행로의 경사나 방향에 관계없이 어류가 담긴 모선 또는 자선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상류측의 어류방류지 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어류의 포획 및 방출효과가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요부를 확대시킨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주식 어도 시스템은 댐이나 저수지 및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의 상, 하류측에 형성되는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과;
상기 모선 스테이션(10)의 하류측 표층수표면과 접하게 또는 상류측 표층수의 표면 가까이 접하게 설치되어 어류를 포획 내지는 방출하는 2개의 자선 스테이션(20)과;
상기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사이에 설치되며 랙기어(31)를 구비하는 모노레일(30)과;
상기 모선 스테이션(10)과 자선 스테이션(20)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용 레일(40)과;
상기 모노레일(30)의 상측에 설치되어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구간을 왕복하며 상기 모노레일의 저면부에 형성된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선 예인모터(90)를 구비하는 모선(50)과;
상기 모선(50) 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00)에 실려서 모선의 이동과 함께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구간을 이동하고, 상기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벗어난 모선 스테이션과 자선 스테이션(20) 사이의 구간에서는 자선 예인모터(110)에 의해 회전하는 예인보빈(120)과 이로부터 권취 및 이완되는 와이어(130)에 의해 이동하는 자선(60) 및;
상기 자선(60)에 설치되어 그와 함께 이동하며 어류를 포획하는 포획도어(140)와 포획된 어류를 방출하는 방출도어(150)를 구비하는 어류 포획통(70);으로 구성된다.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댐이나 저수지 및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의 상, 하류측 표층수 또는 방류수보다 상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모선(50)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가 걸려 더 이상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모선의 이동 한계지점이다.
2개의 자선 스테이션(20)은 도 5와 같이 모선 스테이션(10)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표층수 또는 방류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자선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가 걸려 더 이상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자선의 이동 한계점이 되며, 어류를 방출하는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에는 도 6과 같이 양측의 자선용 레일(40) 사이에 걸고리(41)가 설치된다.
상기 걸고리(41)는 자선(60)에 설치된 고리(73)와 결합되면서 방출도어(150)를 개방하여 포획된 어류를 방출하게 된다.
모노레일(3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침목 또는 받침대에 입설된 다수개의 지지바(160)와 볼트(170)로 체결되어 견고히 지지되며, 그 저면에는 랙기어(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60)는 다수개를 설치하되, 랙기어(31)와 접촉하는 피니언 기어(80)의 설치를 용이토록 하기 위해 모노레일(30)의 어느 일측으로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자선용 레일(40)은 모선 스테이션(10)과 자선 스테이션(20) 사이에 기차레일과 같이 2줄로 설치되어 그 상측을 자선의 이동바퀴(180)가 구름 접촉하게 된다.
상기 자선용 레일(40)과 모선(10) 상의 가이드 레일(100)은 동일한 폭으로 설치된다.
모선(50)은 견고히 지지된 모노레일(30) 상에 설치된 연직지지롤러(260)와 그 저면의 렉기어(31)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80)의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며, 저면 양측에는 수평유지를 위하여 지면의 모선용 레일(190)과 구름 접촉하는 모선롤러(200)가 설치되고, 상부 중앙에는 자선(60)의 이동용 바퀴(180)와 구름 접촉하는 2줄의 가이드 레일(100)이 설치되며, 하부 일측에는 모노레일(30)의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가 구동축(210)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모선(5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모선 예인모터(90)와 자선 예인모터(110)가 설치되며, 이중 모선 예인모터(90)는 상기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에 회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체인전동 수단(220)이 설치된다.
상기 체인전동 수단(220)은 모선 예인모터(90)의 출력축에 축설되는 구동 스프라켓(221)과, 구동축(210)에 축설되는 종동 스프라켓(222)과,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221,222)을 연결하는 체인(223)으로 구성되어 모선 예인모터의 동력을 피니언 기어(80)에 전달 해 주게 된다.
상기 자선 예인모터(110)는 그 측방에 설치된 와이어(130) 권취용 예인보빈(120)과 체인전동 수단(230)으로 연결된다.
상기 체인전동 수단(230)은 자선 예인모터(110)의 출력축에 축설되는 구동 스프라켓(231)과, 예인보빈(120)의 중심축에 축설되는 종동 스프라켓(232)과,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231,232)을 연결하는 체인(233)으로 구성되어 자선 예인모터(110)의 동력을 예인보빈(120)에 전달해 주게 된다.
자선(60)은 삼각형의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선(50)상의 가이드 레일(100)과 구름 접촉하는 이동용 바퀴(180)로 구성되어 이후에 설명하는 어류 포획통(70)의 지지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자선(60)의 프레임(61)에는 와이어(1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예인보빈(120)에 권취되며, 프레임(61)의 저면에는 어류를 방출하는 상측의 자선 스테이션에 설치된 걸고리(41)와 결합되는 고리(73)가 설치된다.
따라서, 자선(60)을 실은 모선(50)이 모선 스테이션(10)에 도착한 뒤 자선 예인모터(110)가 구동하면 예인보빈(12)이 회전하면서 와이어(130)를 통하여 자선을 끌어당기거나 놓게 되어 자선이 가이드 레일(100)과 자선용 레일(40)을 따라 자선 스테이션(20)까지 이동한 뒤 어류 포획통(70)을 통하여 어류를 포획하고, 상기 자선이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에 도착하면 그 저면의 고리(73)가 걸고리(41)와 결합되면서 방출도어(150)를 개방하여 포획된 어류를 방출하게 된다.
어류 포획통(70)은 자선(60)의 프레임(61) 상단에 힌지를 통하여 수평이 유지되게 매달린 채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의 결합 부위에는 균형유지를 위한 무게 중심추(71)가 설치되고, 일측 상단에는 개폐모터(72)에 의해 개폐되는 포획도어(14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류측 자선 스테이션(20)의 걸고리(41)에 걸리는 고리(73)와 이 고리(73)에 연결된 와이어(75)에 의해 개폐되는 방출되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모터(72)는 그 측면부에 설치된 충전기(74)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모노레일(30)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바(160)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모선 및 자선 예인모터(90,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는 본 발명의 자주식 어도 시스템이 모노레일(40) 상에서 대기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류측의 어류를 상류측으로 방출할 경우에는, 모선 예인모터(90)를 작동시켜 자선(60)이 실린 모선(50)을 하류측의 모선 스테이션(10)까지 이동시킨다.
이때는, 모선 예인모터(90)가 작동하면, 그 회전력이 체인전동 수단(220)을 거쳐 구동축(210)에 전달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고정된 랙기어(31)와 치차 접속된 피니언 기어(80)가 회전하므로 모선(50)과 자선(60)이 동시에 이동한다.
모선(50)이 하류측의 모선 스테이션(10)까지 이동하여 정지하면, 자선 예인모터(110)를 작동시켜 자선(60)을 자선 스테이션(20) 까지 이동시킨다.
이때는, 자선 예인모터(110)의 동력이 체인전동 수단(230)을 거쳐 예인보빈(120)에 전달되고, 예인보빈이 권취된 와이어(130)를 풀어주기만 하면 경사지게 설치된 자선(60)이 자중과 관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100) 및 자선용 레일(40)을 통하여 자선 스테이션(20)까지 이동하며, 이동중 부력에 의해 방출도어(150)가 개방되어 어류 포획통(70) 내에 물이 차게 되고, 물이 가득차면 방출도어(150)가 자중에 의해 닫힌다.
자선(60)의 이동이 완료되면, 자선 뿐만 아니라 어류 포획통(70)이 물속에 잠기게 되며, 이 상태에서 개폐모터(72)을 통하여 포획도어(140)를 개방시킨다.
포획도어(140)가 개방되면, 하류의 어류가 물 흐름에 역류하여 어류 포획통(70) 안으로 유입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포획도어(140)를 닫는다.
이후, 자선 예인모터(11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자선을 다시 모선(50) 상에 위치시키고, 모선 예인모터(90)도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자선(60)과 어류 포획통(70)을 실은 모선(50)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여 정상부를 지난 다음 상류측의 모선 스테이션(10)에 도착하게 된다.
모선(50)이 상류측의 모선 스테이션(10)에 도착하면, 다시 자선 예인모터(110)를 작동시켜 자선(60)을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까지 이동시킨다.
자선(60)이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 까지 이동하면, 저면의 고리(73)가 걸고리(41)에 걸리면서 연결된 와이어(75)를 잡아 당기게 되어 하부의 방출도어(150)가 개방되며, 방출도어의 개방과 동시 어류 포획통(70) 내의 어류가 상류측의 표층수에 방출된다.
이후에는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하류측의 어류를 상류측에 방출하게 된다.
상기 동작중, 어류 포획통(70)의 무게 중심추(71)는 자선(60)의 제작오차로 인한 어류 포획통(70)의 수평 불균형을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류측 모선 스테이션(10)과 자선 스테이션(20)을 댐이나 저수지의 상류측 경사 표면에 설치할 경우 홍수직 후 쓸려온 쓰레기 더미로 인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상류측 경사표면에 모선 스테이션(10)과 자선 스테이션을 설치하는 대신에, 홍수위 보다 높은 내수면상에 자선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그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모선 스테이션을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자선 스테이션에 도착하면 자선의 하부에 설치된 어류방출도어를 열어 물과 어류를 동시에 내수면에 자유낙하식으로 방출함으로써 어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선 스테이션과 내수면의 높이차가 큰 경우 자유낙하하는 물고기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어류방출도어 보다 낮은 위치에 물을 담을 수 있는 임시어류집적지를 설치하고 이에 연결된 경사운반로를 내수면 높이까지 설치하되 개폐가 가능한 문비를 병설하면, 문비를 열었을 때 고인물과 어류를 동시에 경사운반로를 통해 내수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양수기를 이용하여 내수면상의 물을 양수하여 임시어류집적지내로 넣어주고, 이 물이 개방된 문비를 거쳐 경사운반로를 따라 흐르게할 경우 내수면상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더욱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7과 같이 모노레일(30)을 지면에 설치하여 랙기어(31)를 상측에 위치시켜도 무방하며, 이 경우 지지바(160)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고, 도 3과는 달리 피니언 기어(80)가 랙기어(31)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모선(50)의 수평유지를 위하여 모선용 레일(190) 및 모선롤러(200)를 설치하고, 도 3과 같이 모선(50)의 저면부에 상기 모노레일(30)의 측면 및 상단과 접촉하는 측면 및 연직 지지롤러(250,260)를 설치해도 무방하며,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주식 어도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모선이 이동하는 모선용 레일을 모노레일로 형성하여 모선의 주행로에 관계없이 어류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모노레일 및 자선용 레일이 홍수로 쌓인 쓰레기 더미에 덮히지 않아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자선이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에 도착함과 동시 걸고리와 결합되는 고리에 의해 자동으로 어류를 방출하게 되므로 어류의 신속하고 안전하게 방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류측 모선 스테이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류측 자선 스테이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류측 자선 스테이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선 스테이션 20 : 자선 스테이션
30 : 모노레일 31 : 랙기어
40 : 자선용 레일 50 : 모선
60 : 자선 61 : 자선프레임
70 : 어류 포획통 71 : 무게 중심추
72 : 개폐모터 73 : 개폐고리
74 : 충전기 75 : 와이어
80 : 피니언 기어 90 : 모선 예인모터
100 : 가이드 레일 110 : 자선 예인모터
120 : 예인보빈 130 : 와이어
140 : 포획도어 150 : 방출도어
160 : 지지바 170 : 볼트
180 : 자선이동바퀴 190 : 모선용 레일
200 : 모선롤러 210 : 구동축
220 : 체인전동 수단 230 : 체인전동 수단
240 : 전원 공급부 250 : 측면 지지롤러
260 : 연직 지지롤러

Claims (5)

  1. 댐이나 저수지 및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에 설치되어 하류측의 어류를 포획하여 상류측의 표층수에 방출하기 위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리 시설물의 상, 하류측에 형성되어 표층수의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과;
    상기 모선 스테이션(10)의 하류측 표층수 또는 상류측 표층수의 표면과 접하게 설치되어 어류를 포획 내지는 방출하는 2개의 자선 스테이션(20)과;
    상기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사이에 설치되며 랙기어(31)를 구비하는 모노레일(30)과;
    상기 모선 스테이션(10)과 자선 스테이션(20) 사이에 설치되는 자선용 레일(40)과;
    상기 모노레일(30)의 상측에 설치되어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구간을 왕복하며 상기 모노레일의 저면부에 형성된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선 예인모터(90)를 구비하는 모선(50)과;
    상기 모선(50) 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00)에 실려서 모선의 이동과 함께 2개의 모선 스테이션(10) 구간을 이동하고, 상기 모선 스테이션 구간을 벗어난 모선 스테이션과 자선 스테이션(20) 사이의 구간에서는 자선 예인모터(110)에 의해 회전하는 예인보빈(120)과 이로부터 권취 및 이완되는 와이어(130)에 의해 이동하는 자선(60) 및;
    상기 자선(60)에 설치되어 그와 함께 이동하며 어류를 포획하는 포획도어(140)와 포획된 어류를 방출하는 방출도어(150)를 구비하는 어류 포획통(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3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침목 또는 받침대에 입설된 다수개의 지지바(160)와 볼트(170)로 체결되어 지지되고, 그 저면에 랙기어(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30)이 지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랙기어(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0)은 모노레일(30) 상에 설치되며 그 저면 양측에 지면의 모선용 레일(190)과 구름 접촉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는 모선롤러(200)가 설치되고, 상부 중앙에는 자선(20)의 이동용 바퀴(180)와 구름 접촉하는 2줄의 가이드 레일(100)이 설치되며, 하부 일측에는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가 구동축(210)에 의해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각각 모선 예인모터(90)와 자선 예인모터(110)가 설치되며, 상기 모선 예인모터(90)는 상기 랙기어(31)와 치차 접속하는 피니언 기어(80)에 회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체인전동 수단(2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포획통(70)은 자선(60)의 프레임(61) 상단에 힌지를 통하여 수평이 유지되게 매달린 채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의 결합 부위에는 균형유지를 위한 무게 중심추(71)가 설치되고, 일측 상단에는 축전지(74)와 개폐모터(72)에 의해 개폐되는 포획도어(14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류측의 자선 스테이션(20)에 설치된 걸고리(41)에 걸려 방출도어(150)를 개방하는 고리(7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KR10-2003-0027276A 2003-04-29 2003-04-29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KR10051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76A KR100516997B1 (ko) 2003-04-29 2003-04-29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76A KR100516997B1 (ko) 2003-04-29 2003-04-29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58A KR20040092858A (ko) 2004-11-04
KR100516997B1 true KR100516997B1 (ko) 2005-09-26

Family

ID=3737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76A KR100516997B1 (ko) 2003-04-29 2003-04-29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41A (zh) * 2014-09-25 2015-01-07 三峡大学 用于集鱼船的便携式导鱼栅
CN106697193A (zh) * 2017-01-22 2017-05-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船载舱养管理系统的移动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1324A (zh) * 2016-03-21 2016-06-0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轨道式集鱼箱上坝系统
CN116905884B (zh) * 2023-09-14 2023-11-21 国网山西省电力公司长治供电公司 一种装配高压配电线路的智能型耐张杆
CN117431911B (zh) * 2023-12-15 2024-02-27 四川弘信天启科技有限公司 一种可维持平衡的集鱼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009A (ja) * 1992-09-02 1994-06-28 Shinji Nagaoka 自動起伏堰
KR200187336Y1 (ko) * 2000-02-03 2000-07-01 주식회사일원 어도
KR200240498Y1 (ko) * 2001-05-08 2001-10-12 박상조 자주식 어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009A (ja) * 1992-09-02 1994-06-28 Shinji Nagaoka 自動起伏堰
KR200187336Y1 (ko) * 2000-02-03 2000-07-01 주식회사일원 어도
KR200240498Y1 (ko) * 2001-05-08 2001-10-12 박상조 자주식 어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41A (zh) * 2014-09-25 2015-01-07 三峡大学 用于集鱼船的便携式导鱼栅
CN104264641B (zh) * 2014-09-25 2015-11-18 三峡大学 用于集鱼船的便携式导鱼栅
CN106697193A (zh) * 2017-01-22 2017-05-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船载舱养管理系统的移动平台
CN106697193B (zh) * 2017-01-22 2018-07-06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船载舱养管理系统的移动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58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5477T2 (de) Wasservergnügungssystem und -verfahren
CN100535433C (zh) 利用河水水流或海水水流的发电装置
KR101606180B1 (ko) 레일형 운하 가이드 시스템
CN111328739A (zh) 高效率全自动升鱼机系统
KR100516997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자주식 어도 시스템
CN116654189A (zh) 布置雷达的工艺
CN110273407B (zh) 转向装置、过鱼系统及过鱼方法
DE202009011950U1 (de) Wasserkraftanlage mit Wasserrädern, Schwimmkörpern, automatischer Höhenregulierung, Kleinwindkraftanlagen und Photovoltaik
CN210395269U (zh) 一种高水头大坝过鱼系统
JP3831826B2 (ja) ダム用魚搬送装置
US20030017003A1 (en) Modular migration fishway
CN210712779U (zh) 转向装置与过鱼系统
CN115679919A (zh) 一种船闸清漂装置及方法
KR20160051176A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JP2614178B2 (ja) 魚の搬送設備
PT107881B (pt) Dispositivo mecânico para conversão da energia cinética das correntes marinhas ou fluviais em energia potencial para posterior conversão em energia elétrica
JPH0526889B2 (ko)
EP4267855A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JP3896531B2 (ja) 取水及び魚道併置型ダム
JP3917869B2 (ja) 開閉式港湾構造物
KR100470677B1 (ko) 자주식 어도 시스템
CN111137425A (zh) 水悬浮失重态封闭管道交通运输系统
CN117385832A (zh) 一种一体化过鱼系统及过鱼方法
CN112544550B (zh) 一种适用于升鱼机工程中的远距离鱼类运送系统及方法
LU102152B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