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268B1 -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268B1
KR870000268B1 KR8201776A KR820001776A KR870000268B1 KR 870000268 B1 KR870000268 B1 KR 870000268B1 KR 8201776 A KR8201776 A KR 8201776A KR 820001776 A KR820001776 A KR 820001776A KR 870000268 B1 KR870000268 B1 KR 8700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lever
op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966A (ko
Inventor
나오도 미야지마
다가도모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오오구보 마사오
니혼 케이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구보 마사오, 니혼 케이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구보 마사오
Publication of KR83000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제1도는 운반기에 작용하는 힘을 표시하는 벡터도(vector圖)
제2도는 운반기의 사시 설명도.
제3도는 문짝 개폐시의 개폐레버의 위치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a)는 주행시의 상태. (b)는 문짝을 열었을 때의 상태. (c)는 문짝을 닫았을 때의 상태.
제4도는 문짝 개폐기구를 표시하는 사시 설명도이고, (a)는 문짝의 개폐구동부재. (b)는 문짝의 쇄정(鎖 錠)부재. (c)는 래치트(rachet). (d)는 래치트 받침구.
제5도는 문짝 개폐기구를 표시하는 펑면도로서, (a)는 문짝이 닫혔을 때의 상태.(b)는 자물쇠가 열렸을때의 상태. (c)는 문짝이 열렸을 때의 상태.
제6도는 문짝 개폐기구를 스켈리턴(sheleton)으로 표시한 평면 설명도이고, (a)는 폐문시의 상태. (b)는 개문시의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객 차 2 : 현수기(懸垂機)
3 : 악삭기(握索機) 7a, 7b : 문 짝
9 : 상판(床板) 10 : 저 판
17 : 문짝개폐기구
본 발명은 삭도 운반기 문짝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도, 예를 들어 자동 순환식 삭도에 있어서 운반기가 삭도 선로중에서 한쪽끝의 터어미널에 도착하며는 삭조에서 떨어져서 터어미널내의 궤조에 따라서 완속으로 압송(押送)되면서 이동하고, 이 이동중에 문이 열려서 하차객을 취급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운반기는 터어미널내의 평면상 U자형의 궤조를 따라서 방향을 전환하여 출발측으로 회송되어 완속으로 압송되면서 승객을 취급한 후에 문이 닫혀서 삭도선로중으로 출발하게 되어 있다.
자동순환식 삭도의 운반기의 운전간격은 보통 10여초 또는 그 이하의 짧은 간격이기 때문에 터어미널 내에서의 운반기의 상기 이송이 원활하게 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이들의 동작은 사람 손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특히 문에 대하여는 상기와 같이 자동적으로 문이열렸다 닫쳤다 하게 하는 동시에 문을 여는 것과 또한 문을 닫치는 것, 특히 문을 닫는 것이 확실하여야 한다는 것, 닫은 문을 내부에서 승객이 열수 없도륵 확실히 록(rock)되어 있다는 것, 빈번한개폐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어야 하는 것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종래로부터 몇 개가 제안되어 실시되어 왔으나 아래에 기술하는 것과 같은 점에서 종래에 사용되어온 장치는 충분히 만족하게 한 것은 아니었다. 즉 자동 순환식 삭도의 운반기는, 경량구조로 계획되는 것이 통상이고, 이는 운반기를 지지하는 삭조가 부담하는 하중이 커지지 않도록 계획하며, 나아가서는 삭도의 전체설비가 대형화되지 않도록 경제적으로 설계할 필요에 따른 것이나, 이와같이 경량화한 운반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한 운반기의 요동(특히 로울링)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재언할 필요도 없지만 운전중에 운반기의 요동이 발생한다는 것은 승객에게 불쾌감과 불안감이 생기게 할뿐만 아니라 요동의 진폭이 어느 한도를 넘으면 삭도 선로중에서 삭조를 지지하고 있는 수압삭(受壓索)장치나 지주에 운반기가 접근 또는 충돌할 우려가 있고 운행의 안전상 이것을 회피하기 위한 운전의 정지 또는 휴지(休止)를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삭도가 가설되는 산악의 다설지역에서는 강풍이 발생하는 날이 많고 운전의 정지 또는 휴지가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은 승객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도 큰 것이다.
이와같은 이유에서 운반기의 요동을 발생하게 하거나 또는 조장하게 하는 원인을 가능한한 배제하는 것이 필요한데 운반기에 장비된 문짝 개폐장치의 위치나 구조 등도 운반기의 요동을 발생 또는 조장하게 하는 원인에 큰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 사용 되어온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는 복잡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또한 비교적 중량이 큰 장치를 운반기의 지붕 위에 외부로 노출하여서 장비한 것이고, (예로서 실공소 53-53252호 「자동 순환식 삭도의 객차의 문 자동 개폐장치」) 이와같은 위치와 형태의 장치를 설치한다는 것은 첫째로 운반기의 중심(重心)의 위치를 상승시켰다는 것과 둘째로 운반기의 공력적(空力的) 저항계수를 증대시킨다는 두가지 계단이 있었다.
우선 첫째의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옆바람을 받아서 운반기의 흔들림(이 경우에는 로울링)이 생겼을 때를 표시한 것이다, 운반기(101)는 현수기(102)로 삭조(103)에 현수되어 있는 진자(振子)라고 볼 수가 있다. 여기서, O : 지검(삭조(103)), G : 운반기의 중심 위치, l : OG의 길이, W : 운반기의 중량, R : 운반기의 자세에 의한 복원력, M : 운반기의 자세에 의한 복원모우멘트, α : 운반기의 혼들림의 각으로 한다면 흔들림이 생겼을때의 운반기의 자세의 복원 모우엔트 M는
M=W.ℓ sin α
로 구해지며 W 또는 ℓ를 크게하는 것이 븍원 모우멘트 M를 크게 하여서 운반기가 흔들림에 대하여 안정하다는 것이 명백하여 진다.
그러나 운반기 중량 W를 상술과 같이 크게 한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중심위치 G를 될 수 있는 대로 하방으로 내려서 ℓ의 치수가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문짝 개폐장치를 운반기의 지붕 또는 천정 부근에 설치한다는 것은 중심 G의 위치를 상승시키는 것이 되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하였다.
다음에 둘째의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문짝 개폐장치는 복잡한 형태를 한 장치가 운반기의 지붕위에 노출되어서 장비된 것이었으나 이것은 운반기에 부딪치는 바람의 유선을 혼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소위 공력적 저항지수가 증대하여 바람에 의한 운반기의 흔들림에 대하여서는 불리한 조건을 초래한다.
종래의 장치는 이와 같은 2개의 결점을 가지고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결함의 해소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문짝 개폐장치를 운반기의 지붕 위가 아니고 밑바닥 아래에 배설하게 하여 장치의 중량이 운반기 중심의 하저에 기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근장치를 밑바닥안에 수납하여서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고 강풍이 불 때에 운반기 주위의 공기의 유선을 혼란시키지 않고 운반기의 요동을 증대 또는 조장하지 않게 기도된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은 유용성을 향유하는 동시에 문짝 개폐장치 본래의 기능인 개폐를 확실히 하고 또한 특히 문을 닫았을 때의 록이 확실하여 문을 닫았을 때에 내부에서 사람이 문을 열 수 없어서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며 또한빈번한 개폐동작에 대하여서도 동작이 안정되어 있고 내구성이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을 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전체의 설치관계를 표시한 것이며, 운반기가 터어미널 내의 궤조상에 있어서 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객차(1)는 현수기(2)에 의하여 악삭기(3)에 현수되고 터어미널 내에서 이 악삭기(3)는 로울러(4a), (4b)에 의하여 궤조(5)를 따라서 화살표(6) 방향으로 이동한다. 객차(1)는 문짝(7a), (7b)을 가지고 문짝(7a)은 힌지(hinge) (8a), (8c)로 객차(1)에 부착 지지되며, 문짝(7b)은 힌지(8b), (8d)로 객차(1)에 부착지지 되고 힌지(8a), (8c) 및 힌지(8b), (8d)를 중심으로 회등하여서 접동개폐 된다. 객차(1)는 승객의 발판이 되는 상판(9) 및 운반기의 저면이 되는 저판(l0)을 가지며 상판(9)과 저판(10)과의 사이에는 문짝개폐기구(17)를 배설하는 간격 a가 형성되어 있다.
현수기(2)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근에는 개폐레버(11)가 장비되고 이 개폐레버(11)에 접속된 연결부재(13)는 현수기(2)에 따라서 첨부 가설되어서 객차(1)내에 배설되고 상판(9)과 저판(10)과의 간격a내의 문짝 개폐기구(17)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의 전체 배설관계에서 표시한 문짝 개폐기구(17)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문짝 개폐기구(17)는 상기 상판(9)과 상기 저판(10) 사이에 끼인 간격 a내의 저판(10) 위에 조립되어 있다.
제5도(a)에서 저판(l0)과 구조체(21a), (21b)는 서로 고착관계에 있고 고정위치에 있다. 문짝(7a) (7b)은 고정위치에 있는 힌지(8a), (8b)에 지지 부착되고 각각 힌지(8a), (8b)를 중심으로 접동 개폐한다. 문짝(7a)에는 핀(22a)을 통하여 링크(23)의 일단이 부착되고 문짝(7b)에는 핀(22b)를 통하여 링크(24)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저판(10)에 고착된 브래킷(26)에는 핀(27)을 통하여 레버(28)의 한쪽 끝부가 부착되며 다른 끝부는 자유끝부로 하여 요동자재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레버(28)의 길이 방향의 중간점 부근에 위를 향하여 돌출한 핀(25)을 고착하고 핀(25)에는 상기 링크(23)의 다른 끝부 및 상기 링크(24)의 다른 끝부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고정위치인 저판(10)에는 가이드 레일(29a), (29b)이 대향하여 병행으로 고정 설치되고 접동판(30)은 가이드 레일(29a), (29b)의 한쪽에 끼워져서 유도되어서 접동 자재로 되어 있다.
즉 접동판(30)에 고착한 연결부재(13)에 의하여 화살표(32a), (32b)의 방향으로 밀던가 잡아다니던가에 의하여 접동 동작을 한다. 이 접동판(30)의 상면에는 핀(33)이 상하로 향하여 편지상(片持狀)으로 고착되고 또한 접동판(30)의 하면에는 핀상태의 돌기(34)가 아래쪽을 향하여 핀지상으로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레버(35)는 한쪽 끝부를 핀(36)으로 상기 링크(23)에 부착되고 다른 끝부에는 장원형의 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37)에는 상기 핀(33)이 늘게 안으로 삽입되어서 이 장원형의 구멍(37)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움직이는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레버(38)는 저판(10)에 고착되어 있는 핀(39)에 한쪽끝을 부착하고, 다른끝은 자유끝단으로 한 것이고, 또한 이 레버(38)의 자유끝단부근에는 외연이 미끄러운 원호상의 돌출면(凸面)을 형성한 가이드면(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면(40)은 상기 접동판(30)의 돌기(34)와 닿아 접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고정위치인 저판(10)에는 래치트(rachet) 장치(41)가 고착되어 있다. 래치트 장치(41)는 2개의 래치트(42a), (42b)과 광체(筐體)(43)내를 접동하여서 선단의 갈퀴(44a), (44b)가 돌출 또는 도로 들어가게 한 것으로 내장된 탄성수단(45a), (45b)에 의하여 항상 상기 갈퀴(44a), (44b)가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발력이 작동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래치트(42a), (42b)는 연결핀(46)을 통하여 고착관계로 되어 있다. 이 연결핀(46)과 상기 레버(38)의 대략 중간점 부근과의 사이를 로드(47)로 연결한다. 즉 로드(47)의 일단은 핀(48)을 통하여 레버에 부착하고 또한 로드(47)의 타단을 연결핀(46)에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28)의 상기 핀(25)의 고착 위치 부근의 하면에는 복수의 톱니형의 이빨을 가지는 래치트 받침구(50)가 고착되어 있다.
이 래치트 받침구(50)와 상기 래치트(42a), (42b)의 갈퀴(44a), (44b)와는 상기 문짝(7a), (7b)이 닫쳤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계합 가능한 형태와 상대위치 관계가 되도록 정한다. 또한 상기 레버(28)의 자유끝단 부근에는 스프링 거리구(51)를 고착하고 저판(l0)에도 스프링 거리구(52)가 고착되어 이들 스프링거리구(51)와 스프링 거리구(52)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3)이 긴장 가설되어 있다. 또한 저판(10)에는 스톱퍼(54)가 고착되어 있어, 이것은 후술과 같이 문짝이 열린 상태 때의 문짝이 열리는 한도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문짝개폐장치에 있어서의 개폐동작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a)는 문짝을 닫은 상태를 표시한 것이며, 문짝(7a), (7b)은 닫쳐져 있고, 링크(23), 링크(24), 레버(28)는 문짝을 닫은 위치로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래치트 받침구(50)는 래치트 장치(41)의 갈퀴(44a)와 계합하고 있다. 접동판(30)은 가이드 레일(29a), (29b)에 인도되어서 화살표(32b)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고 돌기(34)는 레버(38)의 가이드면(40)에 닿지 않고 떨어져 있어서 이 레버(38)는 상기 래치트 장치(41)의 탄성 수단(45a), (45b)에 의하여 핀(46), 로드(47), 핀(48)을 통하여 견인되므로 핀(39)을 중심으로 화살표(57a) 방향으로 회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또한 접동판(30)의 핀(33)은 리버(35)의 장원형의 구멍(37)내에 늘게 삽입되어 계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프링 거리구(51)와 스프링 거리구(52)와의 사이에 긴장 가설된 코일 스프링(53)은 상기 레버(35)의 핀(27)과의 해당 위치 관계에 따라서 문짝을 닫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레버(28)의 하면의 래치드 받침구(50)가 래치트 장치의 갈퀴(44a)와 계합하고 있음으로 문짝(7a), (7b)은 핀(22a), (22b), 링크(23), (24) 및 핀(25)를 통하여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록되어 열수가 없게 되어 있다.
다음에 문짝을 여는 도중 경과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객차(1)가 화살표(6) 방향으로 진행하여서 문짝을 여는 가이드 레일(14) 부근을 통과하여는 로울러(12)는 문짝을 여는 가이드 레일(l4)에 인도되어서 전동하고 개폐레버(11)는 화살표(16a) 방향으로 전향되어 상향위치로 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부재(13)에 접속되어 있는 문짝 개폐기구(17)의 접동판(30) (제5도(b))을 화살표(32a)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문짝 개폐기구(17)의 동작을 제4도 (a) 및 (b)로 설명한다. 접동판(30)이 화살표(32a) 방향으로 이동하며는 돌기(34)는 레버(38)의 가이드면(40)의 선단부근에 닿고, 접동관(30)이 화살표(32a)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돌기(34)는 화살표(32a)방향 즉, 가이드 레일(29a), (29b)과 평행하게 직진하므로서 상기 돌기(34)가 가이드면(40)을 따라서 접동하면서 이동하고 이 결과 레버(38)는 핀(39)을 중심으로 화살표(57b)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레버(38)의 상기 회동에 수반하여 핀(48)의 위치도 화살표(57b)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이 핀(48)을 통하여 로드(47), 연결핀(46)을 거쳐서 갈퀴(44a), (44b)를 속으로 끌어넣고 갈퀴(44a)와 래치트 받침구(50)와의 계합을 떼어 놓게 한다.
이에 의하여 록이 해제되어 문짝을 여는 준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접동판(30)의 화살표(32a)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과 동시에 핀(33)도 레버(35)의 장원형상의 구멍(37)내를 따라서 접동 이동하여 결국에는 핀(33)과 장원형상의 구멍(37)의 일단이 닿은 위치에 도달한다. 제3도(b)는 이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5도(c)의 상태에서 더욱 문짝이 열리는것이 진행되어 문짝이 열리는 것이 완료될 때까지의 상태를 제5도(c)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개폐레버(11)의 상향위치로의 전향(제3도(b))에 의하여 연결부재(13)가 위쪽으로 더욱 끌리면 접동판(30)은 더욱 화살표(32a) 방향으로 접동한다. 접동판(30)에 고착되어 있는 핀(33)은 레버(25)의 장원형상의 구멍(37)에 놀게 삽입되어 있음으로 상술과 같이 접동판(30)의 이동에 수반하여 핀(33)은 장원형상의 구멍(37)을 따라서 접동이동하고 장원형상의 구멍(37)의 길이의 한도에 도달하면 레버(35)를 화살표방향(32a)으르 밀어 눌르게 된다.
상기 제5도(b)의 상태에서 이미 록은 개방이 완료되어 있음으로 상기 핀(33)에서 레버(35)가 밀어 누리며는 핀(36)을 통하여 링크(23)를 밀어 눌르고 이에 따라서 링크기구가 작동하여서 문짝이 열리게 된다.
이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제6도(a), (b)와 같다. 제6도(a)는 제5도(a) 도는 (b)의 경우에 해당하며 제6도(b)는 제5도(c)의 경우에 해당하는 설명도이다. 제6도(a)에 있어서 링크(23)의 양단은 핀(22a)에 의하여 문짝(7a)과 핀(25)에 의하여 레버(28)에 각각 부착되고, 또한 문짝(7a)은 고정위치에 있는 힌지(8a)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레버(28)는 고정위치에 있는 핀(27)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상기 접동판(30)의 이동에 기인되는 압력P가 핀(36)에 가하여 지며는 문짝(7a)은 힌지(8a)를 중심으로 화살표(58a) 방향으로 요동하여서 문짝이 열린다. 이와 동시에 핀(25)을 통하여 링크(28)는 고정위치에 있는 핀(27)을 중심으로 화살표(59a)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고 더욱 이에 따라서 핀(25), 링크(24)를 거쳐서 문짝(7b)의 핀(22b)을 밀어 눌러서 이동시키므로서 문짝(7b)은 힌지(8b)를 중심으로 화살표(60a) 방향으로 요동이동하여서 문짝이 열리고 제6도(b)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5도(c) 및 제6도(b)에 표시한 것 같이 문짝(7a), (7b)이 접동하여 문짝이 열리게된다.
또한 스톱퍼(54)는 문짝이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링크(23)와 링크(24)가 닿아서 문짝이 열리는 한도위치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동작의 경과 도중에서 코일 스프링(53)의 긴장 가설 중심선은 핀(27)의 위치를 넘어 극 사점(死點)을 초과하므로서 그 이후에는 이 코일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하여 레버(28)를 화살표(59b)의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문짝을 열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문짝 여는 것을 원활히 하게 한다.
다음에 문짝을 닫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문짝을 닫을 경우에는 상술의 문짝을 여는 경우와 거의 반대의 순서에 따라서 동작한다.
제3도(b)의 문짝이 열린 상태에서는 개폐레버(11)는 상향위치로 되어 있으나 문짝을 닫을 때에는 제3도(c)와 같이 운반기가 화살표(6)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문짝을 닫는 가이드 레일(15) 위치를 통과하며는 로울러(12)는 문짝을 닫는 가이드 레일(15)에 따라서 전동하고 개폐레버(12)는 화살표(16b)의 방향으로 전향되어 하향위치가 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부재(13)에 고착된 접동판(30)은 화살표(32b) 방향으로 시동을 개시한다.
이 접동판(30)의 이동에 의하여 핀(33)은 레버(35)의 장원형상의 구멍(35)내를 따라서 구멍(37)의 다른끝에 닿을 때까지 접동을 계속한다.
또한 이 경과 기간중 문짝(7a), (7b)은 아직 열린 상태로 있다. 더욱 접동판(30)이(32b) 방향으로 이동하여는 핀(33)은 장원형상의 구멍(37)의 다른 끝에 닿아 링크(35)를 화살표(32b) 방향으로 견인한다. 즉, 제6도(b)에 있어서 접동판(30)의 이동에 기인되는 견인력Q가 핀(36)에 작용하며는 링크(23)를 통하여 문짝(7a)은 힌지(8a)를 중심으로 화살표(58b) 방향으로 요동하여 문짝을 닫는다.
또한 상기 견인력Q에 의하여 링크(23) 및 핀(25)을 통하여 레버(28)를 핀(27)을중심으로 화살표(59b)방향으로 요동전향시키고, 또한 링크(24) 및 핀(22b)를 통하여 문짝(7b)을 힌지(8b)를 중심으로 화살표(60b)방향으로 요동하여 문짝을 닫는다. 또한 이 레버(28)의 요동동작중에 스프링거리구(51)와 스프링거리구(52)를 연결한 코일 스프링(53)의 중심선이 레버(28)의 핀(27) 위치를 넘어선 후에는 이 코일 스프링(53)은 문짝을 닫는 것을 돕게끔 작용한다.
또한 이와같은 문짝을 닫는 동작 사이에 한편에서는 돌기(34)는 접동판(30)의 화살표(32b)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레버(38)의 가이드면(40)에 닿으면서 접동하므로 이 레버(38)는 핀(39)을 중심으로 화살표(57b)방향으로 요동전향하고 이에 따라서 핀(48), 로드(47) 및 연결핀(46)을 통하여 갈퀴(44a), (44b)를 끌어 집어넣고 상기 레버(28)의 래치트 받침구(50)와의 계합준비상태가 되고 더욱이 접동판(30)의 화살표(32a) 방향으로의 이동 말기에 도달하면 돌기(34)는 가이드면(40)에서 떨어져서 제5도(a) 상태가 되므로 탄성 수단(45a), (45b)의 탄발력에 의하여 레버(38)는 핀(39)을 중심으로 화살표(57a) 방향으로 요동전향하고 따라서 핀(48), 로드(47), 연결핀(46)을 통하여 갈퀴(44a), (44b)는 광체(筐體)(43)에서 돌출하고 갈퀴(44a)와 래치트 받침구(50)와의 계합이 행하여져서 문짝은 록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문짝을 닫는 것을 완료한다. 또한 래치트 장치(41)에는 갈퀴(44a), (44b)를 2개 가지며, 또한 래치트 받침구(50)에 이빨을 2개 가지는 이유는 만일 갈퀴(44a)와 래치트 받침구(50)와의 계합이 이탈되어도 갈퀴(44b)가 이 대신에 래치트 받침구(50)와 계합하여서 문짝이 열리지 않게하기 위한 것이며 즉 2중 안전 장치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의 설명의 제3도에 있어서 개폐레버(11)와 문짝 개폐기구(17)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13)에는 예를 들어 레버, 로드 등을 조합한 풋슈플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가요성의 중공관내에 와이어 로우프를 삽입하여서 접동자재로 하여서 동작을 전달하는 소위 프레키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4도(a), (b) 및 제5도(a), (b), (c)에 점선으로 표시한것 같이 레버(38)에 핀(60)을 통하여 로드(61)를 부가하여 객차외부의 적당한 개소에서 화살표(62)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게 하며는 레버(38)를 핀(39) 중심으로 화살표(57b)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래치트 장치의 록을 해제할 수가 있어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객차 외부에서 문짝(7a), (7b)을 손으로 여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순환식 삭도의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는 객차의 상판과 저판간의 공간에 배설할 수가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크다란 효과를 갖는다. 즉, 종래의 객차 지붕상에 문짝개폐기구를 설치한다는 것은 운반기의 중심을 높이고 풍압하중에 의하여 운반기의 혼들림을 발생하게 한다는 불리한 조건으로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것은 운반기의 중심위치를 낮추었기 때문에 풍압하중에 의한 흔들림에 대하여 현저하게 유리하다.
또한 지붕상에 문짝 개폐기구를 설치한다는 것은 그 복잡한 형태의 장치를 외부에 돌출시키고 있다는 것에 의하여 공력적인 저항계수가 커지고 풍압저항을 높이기 때문에 다같이 운반기의 흔들림을 크게 하는 조건이 되어 있였으나 본 발명의 것은 객차상판과 저판간의 사이에 문짝 개폐장치를 수납하고 있으므로 그 폐해가 제거된다.
또한 부차적으로 객차의 디자인도 간결하여 지고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의 특정을 가지는 동시에 문짝 개폐장치 본래의 문짝을 열고 닫는 일의 확실성, 닫친 문짝을 내부에서는 열수 없게한 록의 확실성, 빈번한 회수의 개폐에 대한 동작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의 점에 의하여 삭도 운반기, 특히 사람을 수송하는 운반기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운반기의 저부에 상(床)판과 저판을 배설하여서 구획된 공간을 만들어 상기 운반기의 문짝을 개폐하기위한 문짝 개폐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공간내에 배설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 개폐기구는 종동자(從動子)와 문짝의 쇄정부재(鎖錠部材)와 문짝 개폐구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운반기의 외부에 배설되어서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소에 있어서 변위하겠끔 구성되고, 상기 종동자의 변위에 의하여 상기 쇄경부재의 동작과 상기 개폐 구동부재의 동작과를 제어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쇄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개폐구동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공간내에 배설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는 레버이고, 상기 레버는 운반기의 현수기에 취착되어 있고 상기 레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레버의 연위를 상기 쇄정부재 및 상기 개폐구동부재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KR8201776A 1981-06-17 1982-04-22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KR87000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64 1981-06-17
JP???56-92364 1981-06-17
JP56092364A JPS57209376A (en) 1981-06-17 1981-06-17 Switchgear for door of cableway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66A KR830009966A (ko) 1983-12-24
KR870000268B1 true KR870000268B1 (ko) 1987-02-23

Family

ID=1405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776A KR870000268B1 (ko) 1981-06-17 1982-04-22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209376A (ko)
KR (1) KR870000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522A (ja) * 1989-12-01 1991-07-31 Toto Ltd 公衆トイレ
JPH06204542A (ja) * 1992-12-26 1994-07-22 Inax Corp 窓用材料
JPH07166591A (ja) * 1994-10-28 1995-06-27 Toto Ltd トイレ排水の循環利用方法及びトイレ設備
JP4933829B2 (ja) * 2006-05-08 2012-05-16 株式会社浅間製作所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209376A (en) 1982-12-22
JPH0222196B2 (ko) 1990-05-17
KR830009966A (ko) 198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7921B2 (en) Door drive device with latching mechanism for lifts
KR970000137A (ko) 건축물의 개방부의 베인 차폐물용 제어 및 현가장치
US5207024A (en) Door system of the swivel-sliding type for use in an vehicle
CH635640A5 (it) Capannone mobile su rotaie, estensibile,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sportivi.
CN102548826A (zh) 铁路车辆用门结构
KR870000268B1 (ko) 삭도운반기의 문짝 개폐장치
AU665700B2 (en) Boarding ladder assembly having a variable counterweight lifting force
SE467959B (sv) Skjut- eller skjut-lyft-tak foer motorfordon
US3526194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lidable roof sections,particularly on freight cars
US2545775A (en) Garage door operating device
DE2961880D1 (en) Garage for parking vehicles one above the other
SE448484B (sv) Sperranordning for en vegg-genomforing for en transportanleggning
US3651767A (en) Multistep entry particularly for vehicles
US2244405A (en) Vertical suspension door
JPS63112217A (ja) 車両のキヤンバストツプ構造
US4276831A (en) Trolley storage
US3059587A (en) Drag line conveyor system
KR100470677B1 (ko) 자주식 어도 시스템
JPS602241Y2 (ja) 自動循環式索道のタ−ミナル高架軌道における平行リンク式分岐装置
US1769195A (en) Gate and door opening device
GB2160580A (en) Sliding window
US2661555A (en) G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SU164174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грузов
US1789189A (en) Door-operating mechanism
SU10066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крывани переплет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