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010Y1 - 소음 방지용 맨홀틀 - Google Patents

소음 방지용 맨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010Y1
KR200240010Y1 KR2020010011441U KR20010011441U KR200240010Y1 KR 200240010 Y1 KR200240010 Y1 KR 200240010Y1 KR 2020010011441 U KR2020010011441 U KR 2020010011441U KR 20010011441 U KR20010011441 U KR 20010011441U KR 200240010 Y1 KR200240010 Y1 KR 200240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support
jaw
manhol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윤복현
Original Assignee
(주)일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산금속 filed Critical (주)일산금속
Priority to KR2020010011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010Y1/ko

Links

Landscapes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뚜껑과 접하는 맨홀받침 상단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지지턱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맨홀뚜껑의 둘레면에 동일방향의 경사를 갖는 경사턱을 형성하여 계폐되도록 한 것으로, 설치후 맨홀틀의 상부로 차량이 밟고 지나가더라도 맨홀뚜껑이 맨홀받침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하여 충격음을 최소화하고 또 맨홀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방지용 맨홀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맨홀틀의 상부로 주행하는 자동차가 지나갈 때 그 동하중에 의해 맨홀뚜껑이 유동하게 되고, 그 유동에 의해 맨홀뚜껑이 맨홀받침의 측벽이나 안착턱을 충격하여 큰 충격음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맨홀받침(10a)(10b)과 이에 안착되는 맨홀뚜껑(20)으로 이루어진 맨홀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10a)(10b)의 상단 내측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지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맨홀뚜껑(20)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지지턱(11)과 동일한 각의 경사턱(21)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턱(21)의 하단에는 수직의 이탈방지면(22)을 구성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방지용 맨홀틀{A manhole frame for prevention of noise}
본 고안은 맨홀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뚜껑과 접하는 맨홀받침 상단에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지지턱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맨홀뚜껑의 둘레면에 동일방향의 경사를 갖는 경사턱을 형성하여 계폐되도록 한 것으로, 설치후 맨홀틀의 상부로 차량이 밟고 지나가더라도 맨홀뚜껑이 맨홀받침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하여 충격음을 최소화하고 또 맨홀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방지용 맨홀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틀은 도 1에서와 같이 맨홀받침(1)의 내측 하부에 뚜껑 안착턱(2)이 있어 이에 맨홀뚜껑(3)이 삽입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맨홀틀은 상부로 주행하는 자동차 등이 밟고 지나가게 되면 그 동하중에 의해 맨홀뚜껑(3)이 유동하게 되고, 그 유동에 의해 맨홀뚜껑(3)이 맨홀받침(1)의 측벽이나 안착턱(2)을 충격하여 큰 충격음이 발생된다.
즉,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첫째 맨홀받침(1)과 맨홀뚜껑(3)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동하중의 발생시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맨홀뚜껑(3)이 유동하여 받침(1)의 측벽면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맨홀뚜껑(3)이 안착되는 맨홀받침(1)의 안착턱(2)이 수평을 이루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가공 오차에 의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또 이와 접하는 맨홀뚜껑(3) 또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들떠있기 때문에 동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들떠있던 맨홀뚜껑(3)이 안착턱(2)에 충격을 가하여 충격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맨홀받침(1)의 안착턱(2)에 패킹을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패킹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따른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단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 맨홀뚜껑(3)과 받침(1)에 별도의 잠금 수단을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그에 따른 제품의 제조가 어렵고 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충격음에 의해 맨홀틀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 동하중에 의한 맨홀뚜껑(3)의 유동이 심할 경우에는 외부로 퉁겨져 나가 큰 사고를 유발할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맨홀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맨홀받침의 안착턱을 내향된 경사턱으로 형성하므로써 안착되는 맨홀뚜껑이 쐐기형태로 맨홀받침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부로 자동차 등이 지나가더라도 맨홀뚜껑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음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맨홀뚜껑이 외부로 퉁겨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하는 소음 방지용 맨홀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틀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맨홀틀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맨홀뚜껑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돌기 및 홈의 구조도
도 6a∼6z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맨홀틀의 형상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맨홀받침 11 - 경사지지턱
12 - 수직면 13 - 안전돌기
20a,20b - 맨홀뚜껑 21 - 경사턱
22 - 이탈방지면 23 - 홈
24 - 공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맨홀받침과 이에 안착되는 맨홀뚜껑으로 이루어진 맨홀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의 상단 내측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맨홀뚜껑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지지턱과 동일한 각의 경사턱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턱의 하단에는 수직의 이탈방지면을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맨홀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각 부분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받침(10a)(10b)과 이에 안착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맨홀틀에 있어서, 맨홀받침(10a)(10b)의 상단 내측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지턱(1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뚜껑(20a)(20b)의 측면 또한 경사지지턱(11)과 동일한 각의 경사턱(21)을 구성한 것이다.
맨홀받침(10a)(10b)은 용도에 따라 크게 원형과 사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원형일 경우에는 주로 주물로 제조하고, 주로 차도측구에 사용되는 사각맨홀틀의 경우에는 주물 또는 프레임을 사각으로 연결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그 형상은 각각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뚜껑(20a)(20b)이 안착되는 경사지지턱(11)을 갖는 구조는 동일하다.
특히 본 고안의 맨홀받침(10a)(10b)에는 종래의 맨홀받침에 형성되어 있던 수평한 뚜껑 안착턱은 완전히 제거되므로 본 고안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 하부에는 수직면(12)을 구성한다. 즉, 뚜껑(20a)(20b)을 안착하는 기능은 경사지지턱(11)이 전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맨홀뚜껑(20a)(20b)은 용도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이든 관계없이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과 대응되는 측면이 경사턱(21)을 이루고, 그 하단은 수직의 이탈방지면(22)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맨홀뚜껑(20a)(20b)을 맨홀받침(10a)(10b)에 안착시키면 맨홀뚜껑(20a)(20b)의 경사턱(21)이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의 경사를 타고 쐐기형태로 삽입되어 맨홀받침(10a)(10b)에 맨홀뚜껑(20a)(20b)이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게 되므로 차량이 맨홀틀의 상부로 지나가더라도 전혀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맨홀뚜껑(20a)(20b)이 맨홀받침(10a)(10b)에 충격되어 발생되는 충격음은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된다.
또한 뚜껑(20a)(20b)의 경사턱(21)의 하부에는 수직의 이탈방지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차량이 맨홀틀의 상부를 지나갈 때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맨홀뚜껑(20a)(20b)이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맨홀뚜껑(20a)(20b)에 횡방향의 힘이 가해져 맨홀뚜껑(20a)(20b)이 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더라도 하부의 수직의 이탈방지면(22)이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 하부에 걸리게 되므로 맨홀받침(10a)(10b)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도 6a∼6z와 같이 다양한 맨홀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맨홀뚜껑이 맨홀받침(10a)(1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맨홀받침(10a)(10b)의 측면 즉, 경사지지턱(11)하부의 수직면(12)에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돌기(13)를 형성하고, 맨홀뚜껑(20a)(20b)의 이탈방지면(22)에는 안전돌기(13)가 삽입되는 걸림홈(23)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맨홀뚜껑(20)을 닫게되면 맨홀받침(10a)(10b)의 안전돌기(13)가 맨홀뚜껑(20a)(20b)의 걸림홈(23)에 끼워지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맨홀틀에 차량이 지나가 횡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안전돌기(13)와 걸림홈(23)에 의해 맨홀뚜껑(20a)(20b)의 이동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맨홀틀 다른 실시예도로서, 맨홀뚜껑(20b)의 각 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맨홀받침(10a)(10b)과 이격되는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맨홀받침(10b)에 가하여지는 각종 하중을 네 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맨홀뚜껑(20b)의 경사턱(21)과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 전체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특별히 정밀하게 제조하지 않는 이상 특정부분이 들뜨게 마련이다. 이 때문에 들뜬 부분으로 가해지게 되면 그 부분이 서로 밀착되면서 충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소음을 완벽하게 줄일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부분 즉 네 귀부분으로만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 맨홀뚜껑(20b)의 각 측면 중앙부분을 맨홀받침(10a)(10b)의 경사지지턱(11)과 이격되도록 공간(24)을 형성하여 들뜨는 부분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받침의 안착턱을 내향된 경사지지턱으로 구성하고, 이와 접하는 맨홀뚜껑의 둘레가 경사지지턱과 같은 각의 경사턱을 구성하므로써 결합시 맨홀뚜껑이 맨홀받침에 쐐기박음 형태로 안착되기 때문에 상부로 자동차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맨홀뚜껑이 전혀 유동하지 않게 되므로 충격음을 최소화되며, 그에 따른 맨홀틀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맨홀뚜껑의 경사턱의 하부에 수직의 이탈방지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맨홀틀의 상부로 차량이 지나가더라도 그 충격에 의해 맨홀뚜껑이 맨홀받침으로부터 퉁겨져 이탈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3)

  1. 맨홀받침(10a)(10b)과 이에 안착되는 맨홀뚜껑(20a)(20b)으로 이루어진 맨홀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10a)(10b)의 상단 내측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지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맨홀뚜껑(20a)(20b)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지지턱(11)과 동일한 각의 경사턱(21)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턱(21)의 하단에는 수직의 이탈방지면(22)을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맨홀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20b)의 각 변의 중앙부에 상기 맨홀받침(10a)(10b)과 이격되는 공간(24)을 형성하여 상기 맨홀뚜껑(20b)에 작용하는 하중이 네 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맨홀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20b)의 이탈방지면(22)에는 걸림홈(2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맨홀받침(10a)(10b)의 내측면에는 걸림홈(23)에 삽입되는 안전돌기(1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맨홀틀.
KR2020010011441U 2001-04-20 2001-04-20 소음 방지용 맨홀틀 KR200240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41U KR200240010Y1 (ko) 2001-04-20 2001-04-20 소음 방지용 맨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41U KR200240010Y1 (ko) 2001-04-20 2001-04-20 소음 방지용 맨홀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546A Division KR20020081946A (ko) 2001-04-20 2001-04-20 소음 방지용 맨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010Y1 true KR200240010Y1 (ko) 2001-10-12

Family

ID=7309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441U KR200240010Y1 (ko) 2001-04-20 2001-04-20 소음 방지용 맨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0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89A (ko) * 2003-01-23 2004-07-30 지운용 맨홀용 덮개
KR100991148B1 (ko) 2008-11-27 2010-11-01 이명숙 측면 집수구가 형성된 지하 유수 통로용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89A (ko) * 2003-01-23 2004-07-30 지운용 맨홀용 덮개
KR100991148B1 (ko) 2008-11-27 2010-11-01 이명숙 측면 집수구가 형성된 지하 유수 통로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2266A (zh) 盖紧固构造
KR200240010Y1 (ko) 소음 방지용 맨홀틀
KR20020081946A (ko) 소음 방지용 맨홀틀
KR101254661B1 (ko)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JP4198621B2 (ja) 油圧緩衝器のバンプストッパ
KR102213287B1 (ko) 고소작업대
KR102159599B1 (ko) 소음 및 이탈 방지용 테이퍼형 잠금식 맨홀
US6371570B1 (en) Securing member for a steel ring of a wheel cover
KR100746633B1 (ko) 맨홀
KR200309994Y1 (ko) 이탈방지 수단이 구비된 맨홀
KR100404540B1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KR102286782B1 (ko) 소음 및 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의 결합장치
KR101838535B1 (ko) 저소음 맨홀
JP6465663B2 (ja) 排水溝ユニット
KR102198967B1 (ko)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KR200213322Y1 (ko) 쌍호차
JP492815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686583B2 (ja) マンホ−ル蓋構造
JPH08310318A (ja) バンパーフェーシア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KR200356120Y1 (ko) 맨홀뚜껑의 안착구조
KR200207625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쿠션의 장착구조
KR200417719Y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 스프링 장착구
KR200172165Y1 (ko) 맨홀
JP2679542B2 (ja) リフトシリンダ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