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53Y1 -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53Y1
KR200236153Y1 KR2020010010397U KR20010010397U KR200236153Y1 KR 200236153 Y1 KR200236153 Y1 KR 200236153Y1 KR 2020010010397 U KR2020010010397 U KR 2020010010397U KR 20010010397 U KR20010010397 U KR 20010010397U KR 200236153 Y1 KR200236153 Y1 KR 200236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fastener
hook
springs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황
Original Assignee
유근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황 filed Critical 유근황
Priority to KR2020010010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53Y1/ko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체인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스프링 체결구에 있어서, 체결구(1)가 요구되는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1)의 스프링(s)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된 스프링(2)(3)(4)의 양 단부(2a)(3a)(4a)(2b)(3b)(4b)는 고리(5)(6)와 걸구멍(6d) 및 구멍(6d')를 가진 체결편(5a)(6a)에 각각 연결시키되, 좌우측 스프링(2)(4)의 일단부(2b)(4b)에는 구멍(2c')(4c')을 가진 고리편(2c)(4c)을 형성하여 고리편(2c)(4c)의 고리 (2d)(4d)를 상기 체결편(6a)에 형성된 걸구멍(6d)에 손잡이(7)가 형성된 걸고리 (7a)를 이용하여 각각 걸어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APPARATUS FOR LINKING TIRE CHAIN SPRINGS}
본 고안은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 체결구의 요구되는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의 스프링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타이어 체인의 연결간에 걸어 보다 작은 힘으로 소정의 강도의 스프링 체결구를 체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종래, 미끄럼 방지패드의 타단부는 환상의 와이어에 연결하여 타이어의 뒤쪽에 설치하고 연결핀으로 한 쌍씩 연결된 패드의 일 단부는 타이어 앞쪽에 설치하여, 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핀에 소정의 스프링 강도를 가진 체결구의 고리를 걸어 체결하게 된 타이어 체인은,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저렴하여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타이어에 밀착된 패드를 체결하는 체결구의 스프링 강도가 약하면 패드의 미끄럼 방지기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패드가 타이어에 밀착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의 스프링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체결구는 강한 하나의 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에 설치된 체인을 스프링 체결구로 체결할 때 스프링을 당기는데 상당한 힘이 들어, 최근에 많아진 여자 운전자에게는 힘이 부치고 눈길에서 타이어 체인을 체결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고 타이어 체인을 보다 작은 힘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타이어 체인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연결핀에 스프링 체결구를 걸어 체결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요구되는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의 스프링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된 스프링의 양 단부를 각각 고리와 구멍이 형성된 체결편에 연결하되, 좌우측 스프링의 일단부에 구멍을 가진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편에 형성된 걸 구멍에 손잡이가 형성된 걸고리를 이용하여 걸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눈길을 주행하기 위하여, 타이어에 체인을 체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타이어 에 미끄럼 방지용 패드가 밀착되게 체인을 설치하고 체결구의 중앙 스프링의 양 단부에 연결된 체결편의 고리를 상기 패드의 연결핀에 각각 걸어 1차적으로 체결한다. 이어서 분할된 좌우측 스프링의 일단부측 고리를 일측 체결편의 걸구멍에 걸어 보다 작은 힘으로 소정 강도의 체결구의 스프링을 차례로 체결한다. 그리고 또 하나의 체결구를 이미 체결된 체결구와 교차되게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가 형성된 걸고리를 이용하여 체결판이나 스프링의 고리를 용이하게 당기어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하나의 강력한 스프링으로 된 체결구에 비하여, 체결구의 스프링이 분할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스프링을 보다 작은 힘으로 체결하여 소정의 강도로 타이어 체인의 체결구를 체결할 수 있고 여자들도 타이어 체인에 스프링 체결구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 분할 형성된 총체적인 스프링 강도는 타이어에 체인의 패드가 밀착유지되는 조건이 충족되므로 패드의 미끄럼 방지기능이 유지되므로 눈길에서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체결구, 2, 3, 4 : 스프링, 2c, 4c : 고리편,
2c' 4c' : 구멍, 2d, 4d, 5, 6 : 고리, 5a, 6a : 체결편,
6d : 걸구멍, 6d' : 구멍.
타이어 체인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p)의 타단부는 환상의 와이어에 연결하여 타이어의 뒤쪽에 설치하고 패드(p)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핀(c)은 타이어(t)의 앞쪽에 설치하여 패드(p)가 타이어(t)에 고정되도록 스프링(s)의 양단부에 고리(h)가 형성된 체결구(1)를 상기 연결간(c)에 고리(h)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 것에 있어서, 체결구(1)가 요구되는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1)의 스프링(s)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된 스프링(2)(3)(4)의 양측 단부(2a)(3a)(4a),(2b)(3b)4b)는 각각 고리(5)(6)와 걸구멍(6d) 및 구멍(6d')을 가진 체결편(5a)(6a)에 덮개판 (5b)(6b)과 함께 연결나사(5c)(6c)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시키되, 좌우측의 스프링 (2)(4)의 일단부(2b)(4b)에는 구멍(2c')(4c')을 가진 고리편(2c)(4c)을 형성하여 고리편(2c)(4c)에 형성된 고리(2d)(4d)를 상기 체결편(6a)에 형성된 걸구멍(6d)에 상기 손잡이(7)가 형성된 걸고리(7a)를 이용하여 각각 걸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에 설치한 서로 대향된 패드(p)의 한쪽 연결핀(c)에 체결구(1)의 체결편(5a)에 형성된 고리(5)를 먼저 걸고 대향된 다른 쪽의 연결핀(c)에는 체결편(6a)의 고리(6)를 걸되 손잡이 (7)가 형성된 걸고리(7a)를 구멍(6d')에 걸고 손잡이(7)로 잡고 당기어 고리(6)를 연결핀(c)에 간편하게 걸어, 타이어 중심방향으로 스프링(s)이 당겨지게 체결한다. 그 다음 좌우측 스프링(2)(4)의 고리(2d)(4d)를 상기 체결편(6a)에 형성된 걸구멍 (6d)에 각각 걸되, 걸고리(7a)를 고리편(2c)(4c)의 구멍(2c')(4c')에 걸어 손잡이 (7)를 잡고 당기면서 각각 차례로 걸어 체결한다. 이어서 이미 체결된 체결구(1)와 +자형으로 교차되게 또 하나의 체결구(1)를 상기한 수순(手順)으로 체결하면 타이어 체인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체결구(1)의 스프링(2)(3)(4)이 분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7)가 형성된 걸고리(7a)를 이용하여 각 분할된 스프링을 보다 작은 힘으로 편리하게 순차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강한 스프링으로 구성된 종래의 체결구에 비하여, 여자 운전자들도 용이하게 타이어 체인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체결구(1)의 각각 분할 형성된 스프링(2)(3)(4)의 총체적인 강도는 패드(p)를 타이어 (t)의 주면에 밀착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타이어 체인의 패드가 미끄럼방지 기능이 유지되어 눈길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타이어 체인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연결핀에 걸게된 스프링 체결구에 있어서, 체결구가 요구되는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의 스프링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된 중앙스프링의 양 단부에 연결된 고리를 상기 연결핀에 걸어 체결한 다음, 분할 된 좌우측 스프링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체결편에 형성된 걸 구멍에 걸어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 하나의 강한 스프링으로 구성된 체결구와 달리, 분할된 스프링의 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체결구를 체결할 수 있다.
또 체결된 체결구의 총체적인 스프링 강도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타이어에 밀착 유지되는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에 패드의 미끄럼 방지기능이 유지된다.
또 타이어 체인의 체결구의 체결편과 고리편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된 걸고리를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고리를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타이어 체인의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여자 운전자들도 상기한 타이어 체인을 간편하게 체결하여 보다안전하게 눈길을 운전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타이어 체인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스프링 체결구에 있어서,
    체결구(1)가 요구되는 소정의 스프링 강도 내에서 체결구(1)의 스프링(s)을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분할된 스프링(2)(3)(4)의 양측 단부(2a)(3a)(4a)(2b) (3b)(4b)를 각각 고리(5)(6)와 걸구멍(6d) 및 구멍(6d')를 가진 체결편(5a)(6a)에 덮개판(5b)(6b)과 함께 연결나사(5c)(6c)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되, 좌우측 스프링(2)(4)의 일단부(2b)(4b)에 구멍(2c')(4c')을 가진 고리편(2c)(4c)을 형성하여, 고리편(2c)(4c)의 고리(2d)(4d)를 상기 체결편(6a)에 형성된 걸구멍(6d)에 각각 걸거나 분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구(1)의 체결편(6a)에 형성된 구멍(6d') 및 고리편 (2c)(4c)에 형성된 구멍(2c')(4c')에 손잡이(7)가 형성된 걸고리(7a)를 걸어 당기어 각각 체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KR2020010010397U 2001-04-13 2001-04-13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KR200236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97U KR200236153Y1 (ko) 2001-04-13 2001-04-13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97U KR200236153Y1 (ko) 2001-04-13 2001-04-13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53Y1 true KR20023615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97U KR200236153Y1 (ko) 2001-04-13 2001-04-13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304B1 (en) Two sided traction belt for tires
US4187894A (en) Tire traction device
KR200236153Y1 (ko) 타이어 체인의 스프링 체결장치
CN106080062A (zh) 一种轮胎防滑装置
US2681094A (en) Anchoring means for wheel antiskid harness
KR200172868Y1 (ko) 폴리 우레탄으로 된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US4411301A (en) Tire traction chain
US5837075A (en) Anti-skid chain
US2681095A (en) Anchoring means for wheel antiskid harness
KR200327185Y1 (ko) 조립식 스노우체인
JPH0423681Y2 (ko)
JPH0742809Y2 (ja) タイヤの滑り止め具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JPH067926Y2 (ja) タイヤ滑止具の連結具
KR100406263B1 (ko) 타이어의 미끄럼방지구 결합구조
KR200262028Y1 (ko) 타이어 미끄럼방지기구
KR100456789B1 (ko) 타이어 미끄럼방지기구
JP2000198335A (ja) 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H0417363Y2 (ko)
JPH0820210A (ja) 緊締具とこの緊締具を用いた車両用滑止め具
KR950006293Y1 (ko) 타이어의 스노우 체인
JPH07205622A (ja) タイヤチェーン
KR900002274Y1 (ko) 자동차용 타이어의 미끄럼방지구
JPH11348517A (ja) 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H1067213A (ja) 防滑チップと自動車タイヤの防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