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01Y1 - 용접용 턴테이블 - Google Patents

용접용 턴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01Y1
KR200234301Y1 KR2020010004865U KR20010004865U KR200234301Y1 KR 200234301 Y1 KR200234301 Y1 KR 200234301Y1 KR 2020010004865 U KR2020010004865 U KR 2020010004865U KR 20010004865 U KR20010004865 U KR 20010004865U KR 200234301 Y1 KR200234301 Y1 KR 200234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elding
frame
turntab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상
Original Assignee
송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상 filed Critical 송재상
Priority to KR2020010004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01Y1/ko

Links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을 위한 가공대상물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큰 물체를 용접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한 위치에서도 전 둘레에 걸쳐 용이하게 용접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판(110)의 중앙부에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회전가이드(120)가 부착된 프레임(100)와;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된 천공된 홀을 관통하며 중앙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최하측 외면에는 감아걸기 기구가 형성되도록 일련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120)의 롤러가 접촉되도록 궤도부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의 측면에 고정부착되고 엇갈리는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체(310)와 한쌍의 암나사체(320)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3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 이어지는 아암(330)이 구비된 홀딩기구(3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200)과 감아걸기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400)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하는 콘트롤러(500)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이동없이 용이하게 용접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용 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용 턴테이블{turn table for welding}
본 고안은 용접를 행하는데 있어 가공대상물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으로 회전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치이동없이 신속하게 용접이 가능토록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직경이 큰 파이프등의 단부에 형성된 불균일한 면을 마감처리하기 위해 얇은 판재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방향 단면상에 용접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작업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하면서 용접을 실시하였었다. 이보다 발전적인 것으로는, 다수의 바이스가 구비된 회전테이블에 파이프를 위치시킨 후 개개의 바이스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셋팅한 후 상기 파이프를 완전고정시키고 작업자가 무릎으로 회전테이블을 회전시켜가며 용접작업을 행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방법에 있어서는 원통형의 파이프를 회전테이블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바이스를 하나씩 회전시켜 적정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바이스를 조금씩 회전시켜 정확하게 중앙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야 했으며, 이로인해 작업자는 파이프를 장시간 들고서 셋팅작업을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떨어짐과 동시에 쉽게 피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파이프를 고정시킨 후에도 상기 파이프의 전주에 걸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특정부분 용접 후에는 무릎으로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영역을 작업자의 정면으로 위치되게 한 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했던 바, 하나의 제품을 완성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가공대상물을 고정시키는데 있어 하나의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서 다수의 아암이 동시에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가공대상물이 고정된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킴에 있어 모터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발을 사용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며 회전속도도 조절가능한 용접용 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2 - 도 1에 대한 배면도.
도 3 -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4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사용예시도.
도 5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예시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에 있어 그랩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 110 : 상판
120 : 회전가이드 200 : 드럼
300 : 홀딩기구 310 : 회전체
320 : 암나사체 330 : 아암
400 : 구동부 500 : 콘트롤러
600 : 가공물 700 : 플로어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판의 중앙부에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부근의 하면에 수직하방으로 롤러가 부착된 다수의 회전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천공된 홀을 관통하며 중앙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최하측 외면에는 감아걸기 기구가 형성되도록 일련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의 롤러가 접촉되도록 궤도부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측면에 고정부착되고 좌우측에 상호 엇갈리는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체와 이에 물리게 되는 한쌍의 암나사체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이어지는 아암이 구비된 홀딩기구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과 감아걸기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에 가공대상물을장착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한곳에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은 가공대상물의 직경이 크고 무게가 무거운 제품을 원주방향으로 용접하거나 성형하는데 있어 적용됨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용접용 턴테이블은 원통상의 가공물뿐 만 아니라 다각형인 가공물을 고정시켜 용접등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은 두개로 분리된 가공물을 하나로 용접함에 있어서도 무거운 물건을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에 고정시킨 후 가벼운 물건을 그 상부에 위치시키고 부분적 혹은 전주에 걸친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키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도1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3은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상판(110)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하면에 드럼(200)을 지지하는 회전가이드(120)가 형성된 프레임(100)과, 회전되며 가공물을 수용하는 내부가 빈 원통형인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에 설치되며 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기구(300)와,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400) 및 상기 구동부(400)에 전원을 공급 혹은 차단시키고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콘트롤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이하와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는 좌우측에 설치되는 스포터(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10)은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드럼(200)이 삽입되고 상기 상판(110)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회전가이드(120)가 설치되어져 상기 드럼(2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회전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이드(120)는 그 단부에 회전되는 롤러가 부착되어져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베어링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에 설치되는 베어링은 드럼(200)에 형성되는 궤도부(210)에 그 외경이 직접 접촉되면서 상기 드럼(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며,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120)는 상기 드럼(2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하는 기능도 하게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가이드(120)는 120 °의 각도로 3개의 회전가이드(120)가 정면에 하나 배면에 2개가 설치되어 드럼(200)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20)는 드럼(200)의 하중이나 가공물의 하중에 따라 적절히 그 수를 조정가능하며 등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된 관통홀(140)에는 원통의 드럼(200)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원통 드럼(200)의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드럼(20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전주에 걸쳐 일정한 홈이 형성되어 감아걸기 기구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홈의 상부에는 또 하나의 연속된 궤도부(210)가 형성 되어져있다. 상기 궤도부(21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120)의 베어링의 외륜이 접하게 되어 상기 드럼(200)이 편심됨이 없이 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이와 동시에 드럼의 하중을 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200)의 최상면은 드럼의 직경보다 큰 보조판(220)이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보조판(220)은 그 하부에 설치되는 홀딩기구(300)를 보호하며 또한 작업기구를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럼(200)의 상부측 양측면은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후술할 홀딩기구(300)를 지지하고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설치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0)에 설치되는 홀딩기구(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홀딩기구(300)는 크게 좌우측에 상호 엇갈리는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체(310)와 이에 물리게 되는 한쌍의 암나사체(320)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3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 이어지는 아암(330)으로 구성 되어진다. 상기 회전체(310)는 상기 드럼(200)에 결합된 바닥판(315)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 되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측 양단에 설치되는 제 1베어링(316)과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 2베어링(317)으로 구성된다.
수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회전체(310)는 상기 제 1 및 제 2베어링에 그 양단부와 중앙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 2베어링(317)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나사산은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310)에는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나사체(320)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암나사체(320)의 상면에 ㄷ자형으로 성형된 아암(330)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아암(330)의 타단은 상기 드럼(200)에 형성된 미끄럼베어링에 삽입결합된다. 상기 아암(330)의 타단부측의 중간부, 즉 상기 미끄럼베어링에 삽입되어 좌우이동이 되는 부위는 정밀한 연마가공이 되어있고 최단부는 원통형의 가공물을 감싸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의 그랩퍼(grapper)(335)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310)와 동일축에 손잡이(319)가 형성되어져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319)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체(310)는 좌우이동은 없이 회전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회전체(3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좌우측에 설치된 상기 암나사체(3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암나사체(320)에 결합된 좌우측의 아암은 동시에 바깥으로 벌어지거나, 내부로 오므라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400)는 전기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410)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410)의 돌출된 회전축 단부에는 감아걸기 기구가 결합될 수 있는 벨트풀리(420)가 결합 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아걸기 기구는 평벨트(430)로 하여 구성되어지며, 상기 드럼(200)에 형성되는 홈도 상기 평벨트(43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아걸기 기구 및 상기 드럼(200)에 형성되는 홈 그리고 원동축이 되는 상기 벨트풀리(420)는 벨트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가능하며, 보다 정확한 회전력의 전달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감아걸기 기구는 체인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함을 밝혀둔다. 상기 감아걸기 기구가 체인인 경우 상기 벨트풀리는 스프로켓이 될 것이며 상기 드럼에는 다수의 기어이빨이 부착되거나 성형된다.
상기 구동부(400)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되도록 하고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콘트롤러(500)는 크게 페달(510)과 속도조정죠그(520)로 구성 되어진다. 상기 페달(5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발로 그 상면을 가압하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모터(410)는 회전하게 되고, 힘을 제거하면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속도조정죠그(520)는 작업자가 작업중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속도조정죠그(520)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모터(410)의 알피엠(rpm)이 변하게 되어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는 제어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의 작동에 관해 사용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의 실제 사용예시도이며, 구체적으로는 파이프의 단부에 박판을 씌워 끝단을 마무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의 드럼(200)에 설치된 아암(330)에 가공물(600)을 고정시킨다. 이를위해 상기 회전체(310)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서 아암(330)의 단부에 형성된 그랩퍼(335)를 가공물(600)의 외면에 접촉시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600)을 드럼(200)에 고정시킨 후 페달(510)을 가압하게 되면 모터(410)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모터(410)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된 벨트풀리(420)는 회전되면서 평벨트(4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속도에 따라 상기 속도조정죠그(520)를 회전시키면서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을 사용한 또 다른 사용예시도로서 길이가 긴 가공물의 단부를 용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또 다른 사용예시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과 지상보다 높게 설치된 플로어(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어(700)의 중앙부는 관통되어있다. 길이가 긴 파이프등과 같은 가공물의 단부에 용접작업을 하는 경우 높게 설치된 플로어(700)상에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드럼(200)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기 플로어(700)에 형성된 홀에 대응되도록 용접용 턴테이블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길이가 긴 가공물(600)을 상기 드럼(200)의 중공부에 삽입시킨 후 일단부가 상기 드럼(200)에 부착된 보조판(220)위로 조금 돌출되게 회전체(310)를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면서 용접작업을 행함으로써 길이가 길고 무거운 가공물을 손쉽게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에 있어 가공물에 접촉되어 척킹하는 상기 그랩퍼(grapper)(335)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아암(330)의 단부에 부착된 상기 그랩퍼(grapper)(335)는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아암(33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굴곡진 보조 그랩퍼(336)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그랩퍼(grapper)(336)는 상기 그랩퍼(grpper)(335)의 두께보다 얇으며 최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이 형성되어 가공물을 아래방향에서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은, 길이가 길거나 무거운 가공물의 용접을 작업자의 이동없이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시에 양측이 아암이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므로 일인의 작업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가공물을 드럼에 고정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신속한 셋팅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작업중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또한 있다.

Claims (4)

  1. 상판(110)의 중앙부에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부근의 하면에 수직하방으로 롤러가 부착된 다수의 회전가이드(120)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된 천공된 홀을 관통하며 중앙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최하측 외면에는 감아걸기 기구가 형성되도록 일련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120)의 롤러가 접촉되도록 궤도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드럼(200);
    상기 드럼(200)의 측면에 고정부착되고 좌우측에 상호 엇갈리는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체(310)와 이에 물리게 되는 한쌍의 암나사체(320)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3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 이어지는 아암(330)이 구비된 홀딩기구(3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200)과 감아걸기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400)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하는 콘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드럼에 가공대상물을 장착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한곳에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330)은,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 이어지는 아암의 단부가 원통체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10)는,
    좌우측 단부 및 중앙부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회전체(310)의 일측에 손잡이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턴테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회전가이드(120)가 120 °각도의 등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120)을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하는 용접용 턴테이블.
KR2020010004865U 2001-02-19 2001-02-19 용접용 턴테이블 KR200234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65U KR200234301Y1 (ko) 2001-02-19 2001-02-19 용접용 턴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65U KR200234301Y1 (ko) 2001-02-19 2001-02-19 용접용 턴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01Y1 true KR200234301Y1 (ko) 2001-10-06

Family

ID=7306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865U KR200234301Y1 (ko) 2001-02-19 2001-02-19 용접용 턴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0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18B1 (ko) * 2017-07-04 2018-05-21 이보선 용접용 턴테이블
CN109986515A (zh) * 2017-12-29 2019-07-09 中核建中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阻力塞组件组装装置
CN110332290A (zh) * 2019-07-17 2019-10-15 陕西天鼎无线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可连续调节静音转台
KR20200013427A (ko) 2018-07-30 2020-02-07 최덕용 가스 전달부가 구비된 용접용 턴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2176046B1 (ko) * 2020-06-01 2020-11-06 주식회사 정현씨앤씨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춘 노트북 컴퓨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18B1 (ko) * 2017-07-04 2018-05-21 이보선 용접용 턴테이블
CN109986515A (zh) * 2017-12-29 2019-07-09 中核建中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阻力塞组件组装装置
KR20200013427A (ko) 2018-07-30 2020-02-07 최덕용 가스 전달부가 구비된 용접용 턴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CN110332290A (zh) * 2019-07-17 2019-10-15 陕西天鼎无线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可连续调节静音转台
KR102176046B1 (ko) * 2020-06-01 2020-11-06 주식회사 정현씨앤씨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춘 노트북 컴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0757A1 (en) Device for holding a milling and/or grinding machine
EP1993753A1 (en) Vertical spinner
KR200234301Y1 (ko) 용접용 턴테이블
KR20070034150A (ko)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JP2013006234A (ja) 粘着テープロールの切断装置
KR100819163B1 (ko)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CN116765477B (zh) 一种汽车配件铣削工装
CN117086244A (zh) 一种高强度螺栓螺纹加工用夹料装置
CN201685162U (zh) 一种抛光机
KR20090120191A (ko) 엔진 블록용 터닝장치
CN217647708U (zh) 一种成型件的激光焊接装置
CN207823970U (zh) 一种首饰饰带车花机的车花机构
CN112317864B (zh) 一种用于大口径钢管加工的切割设备
JP2002052402A (ja) 端面加工装置
JPH0639052B2 (ja) 超精密研削装置
KR20020030554A (ko) 공작기계용 작업지그
JPH07237101A (ja) ばり取り装置
CN216576248U (zh) 辊轴堆焊装置
JP2000141216A (ja) クランクシャフト研削盤
JP4550952B2 (ja) 面取り装置
JPH0966447A (ja) 研削装置
CN219787215U (zh) 一种焊接变位机
US3205336A (en) Crankshaft welding machine
CN219113329U (zh) 一种焊接工装
JPH09155667A (ja) 旋回多軸スピンドル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