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500Y1 -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 Google Patents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500Y1
KR200233500Y1 KR2020010005258U KR20010005258U KR200233500Y1 KR 200233500 Y1 KR200233500 Y1 KR 200233500Y1 KR 2020010005258 U KR2020010005258 U KR 2020010005258U KR 20010005258 U KR20010005258 U KR 20010005258U KR 200233500 Y1 KR200233500 Y1 KR 200233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printer
input 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환
Original Assignee
차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환 filed Critical 차상환
Priority to KR2020010005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500Y1/ko

Link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택시, 트럭등 각종 영업용 차량에 사용 가능한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고 데이터가 필요할 때 수시로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용지 이송을 위한 서보기구와 임팩트(impact), 논임팩트(nonimpact)형 인자수단과, 서보기구와 인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프린터에 있어서, 프린터의 입력포트에 차량의 휠 구동부에 설치된 회전감지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와 키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와,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속도, 이동거리등 주행 관련 데이터를 출력시키며 설정버튼 및 딥스위치에 의하여 현재로부터 원하는 이전의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선택,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프린터에 의하여 운행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여러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원하는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Printer for Vehicle having Runnig Related Data Output Function}
본 고안은 택시나 트럭등 각종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택시, 트럭 등과 같은 영업용 차량에 있어서, 차량 운행중의 속도, 이동거리, 급제동 등의 데이터는 차량의 합리적인 관리 및 사고 발생 시 과실 여부와 과실 정도의 판단을 위하여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 데이터이다.
이러한 필수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택시미터기의 내부에 속도, 이동거리, 급제동 데이터, 승하차 시각, 승차요금, 승차거리와 엔진 가동 및 정지 시각 등을 운행과정 중에 메모리에 저장하고, 운행이 종료된 후 이를 뽑아 내어 별도로 준비한 판독기에 삽입하며, 프린터에서는 이를 정하여진 형태로 출력하여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운행 과정중의 각종 데이터는 반드시 운행이 종료된후 판독기가 준비된 곳에서 읽어 낼 수 있는 것이므로, 사고현장이나 경찰서 등 데이터가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스나 트럭등 영업용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타코미터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타코미터는 단순히 속도만을 고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 기록한 단순한 기능의 것이어서 원하는 시간대의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된 속도, 이동거리, 엔진 가동 상황, 급제동데이타등 운행상황 기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의 확보가 어려우므로 용도가 극히 제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고 데이터가 필요할 때 수시로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출력물의 예를 보인 설명도.
도3은 차량의 이동거리 표시의 예를 보인 설명도.
도4는 차량의 엔진 가동 표시를 보인 설명도.
도5는 차량의 속도 표시의 예를 보인 설명도.
도6은 차량의 급제동 표시를 보인 설명도.
도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설정버튼과 딥스위치의 기능 설명을 위한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인자수단
2:서보기구
3:콘트롤러
4:입력포트
5:회전감지수단
6:키스위치
7:프로그램 메모리
8:데이타 메모리
9:설정 버튼
10:중앙처리부
11:리얼타임클럭
12:딥스위치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지 이송을 위한 서보기구와 임팩트(impact), 논임팩트(nonimpact)형 인자수단과, 서보기구와 인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프린터에 있어서, 차량의 휠 구동부에 설치된 회전감지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와 키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와,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속도, 이동거리 등 주행 관련 데이터를 출력시키며 설정버튼 및 딥스위치에 의하여 현재로부터 원하는 이전의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를 제안한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프린터로 운행관련 각종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여러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원하는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로 보인 바와 같은 인쇄 용지의 공급을 위한 서보기구(2)와 임팩트(impact), 논임팩트(nonimpact)형 인자수단(1)과, 서보기구(2)와 인자수단(1)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3)와, 차량의 휠 구동부에 설치된 회전감지수단(5)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와 키스위치(6)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4)와, 입력포트(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속도,이동거리,엔진시동여부,급제동상황등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프로그램 메모리(7)와, 속도, 이동거리, 엔진시동여부, 급제동 상황등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8)와, 하나 이상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현재로부터 원하는 전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설정버튼(9)과,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중앙처리부(CPU:10)와, 리얼타임클럭(11)과, 차량번호, 셈플링시간, 펄스당 거리 및 날짜, 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딥스위치(12)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3은 프로그램메모리에 탑재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메모리(8)와 이이피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직렬포트이며, 14은 차량번호, 셈플링시간 및 펄스당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을 위하여 휠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휠의 회전은 회전감지수단(5)에서 출력펄스가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출력펄스는 입력포트(4)로 인가되고, 중앙처리부(10)에서 이를 기초로 속도 계산을 실시하게 된다.
즉, 회전감지수단(5)에서 입력된 펄스의 수는 차량의 이동거리에 비례하게 되며, 예를 들면 1000m을 주행하였을 시 입력된 펄스의 수가 N이라 하고 펄스 1개에 해당하는 거리가 D라고 하면 D=1000/N이 된다. 이러한 D는 차량의 종류와 타이어의 직경에 의하여 달라지며, 또한, 차량의 주행 시 입력되는 펄스와 펄스사이의 시간 간격을 T라고 하면 속도 V[Km/Hr]=1/T ×3.6 ×D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속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펄스의 수와 펄스의 간격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1바이트로 하여 데이터 메모리(8)에 저장한다. 이러한 속도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주기를 예를 들면 1초 내지 60초로 설정하여 1초에 한번씩 실행하거나 60초에 한번씩 계산할 수 있도록 샘플링 시간을 1초에서 60초 사이의 값으로임의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 메모리(8)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주행기간동안 발생하는 펄스의 개수를 적산하면 이동거리가 되며, 이것을 샘플링 시간동안 가산하여 1바이트의 이동거리 데이터를 만들고 샘플링 주기마다 속도데이터 1바이트를 저장한 후 연속하여 이동거리 데이터 1바이트를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샘플링시간 간격으로 속도와 거리 데이터가 저장되어서 리얼타임클럭(11)으로 얻어진 기준시각에 의해 각 속도와 이동거리데이터의
시각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엔진 키 스위치의 상태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포트(4)로 인가되며이역시 회전감지수단(5)의 출력과 같이 중앙처리부(10)에 의하여 인식되어 주행에서 정지 또는 정지에서 주행으로 될 때마다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현재 속도가 1초 전의 속도에 비하여 예를 들면 30Km 감속되었을 시 급제동인 것으로 간주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급제동 데이터는 급제동이 발생할 때마다 저장하여 모두 16개를 저장하도록 한다. 아울러, 16개의 급제동 데이터가 저장된 후 17번째의 급제동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최초에 저장시킨 급제동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위에 현재의 급제동 데이터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주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데이터를 하나의 용지에 연속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쇄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수직 상으로 배열된 384도트의 열전사 방식 인자수단(1)을 사용하며, 데이터의 샘플링 시간 간격을 예를 들면 1분으로 지정하여 1분 간격으로 용지가 좌에서 우로 1스텝씩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제의 인쇄 사례를 도2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384개의 도트를 분할하여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16번 도트에서 39번 도트 사이에는 현재의 시각을 인쇄하기 위한 구간으로, 40번 도트에서 80번 도트 사이는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구간으로, 112번 도트에서 127번 도트까지는 엔진 가동 및 정지 표시를 위한 구간으로, 184번 도트에서 384번 도트까지는 속도표시 또는 급제동 표시를 위한구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표시방식을 항목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하여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본 고안에서는 이동거리가 500m 축적될 때마다 용지의 우측 상방으로 도트를 1개씩 표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20Km를 이동하였을 때 40개의 도트를 인쇄하고 다시 우측 하방으로 도트를 1개씩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40Km를 주행하였을 시 80개의 도트를 인쇄하게 되는 것이며, 계속 주행하게 되면 500m 축적될 때마다 용지의 우측 상방으로 도트를 1개씩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출발시간에서 현재 시간에 이르기까지 총 이동거리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112번 도트에서 127번 도트까지 엔진 가동과 엔진 정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127번 도트는 엔진의 가동을 표시하고, 112번 도트는 엔진의 정지를 표시하며, 112번 도트에서 127번 도트 사이의 수직선은 엔진의 가동, 정지의 상태 반전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5로 보인 바와 같이 184번 도트에서 384번 도트 사이에는 각 샘플링 시간별 속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좌측의 인덱스를 참조하여 해당 속도 표시 위치에 도트를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60Km/Hr에서 감속된 급제동 데이터를 인쇄할 경우에는 185번 도트와 244번 도트까지를 이용하여 속도변화를 인쇄하게 되는 것이며, 급제동의 발생 시 현재 시간과 지난 16초간 1초에 1회씩 샘플링된 속도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급제동 발생 시간과 급제동한 현재의 속도와 직전 16초간의 주행 속도 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딥스위치(12)와 설정버튼(9)을 조작함으로써 각종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딥스위치(12)를 모두 '0'위치에 놓으면 설정버튼(9)을 조작하여 현재의 시간에서 지난 1시간 30분전까지의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1시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1회 누르고, 이어서 10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3회 누르면 중앙처리부(10)는 1시간 30분전부터 현재까지 도2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딥스위치(12)의 1번을 '1'위치에 놓고 나머지 2,3,4번을 모두 '0','0','0'위치에 놓으면 1시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조작하여 년(年)이 변화되고, 10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누르면 월(月)이 변화되며,딥스위치(12)의 2번을 '1'위치에 놓고 나머지 1,3,4번을 모두 '0','0','0'위치에 놓으면 1시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조작하여 일(日)이 변화되고, 10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누르면 시(時)가 변화되며,딥스위치(12)의 1,2번을 '1'위치에 놓고 나머지 3,4번을 모두 '0'위치에 놓으면 1시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조작하여 펄스당 거리의 상위 2자리가 변화되고 , 10분으로 설정된 설정버튼(9)을 누르면 펄스당 거리의 하위 2자리가 변화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차번호, 펄스당 거리, 샘플링 시간 간격 등의 입력도 가능하며 기타 여러 가지 값을 세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으로 저장한 펄스당 거리 및 차번호, 샘플링 시간 간격 등의 각종 변수는 이이피롬(14)에 저장되고 중앙처리부(10)의 작동시에 활용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직렬 포트(13)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거나 각종 데이터 및 설정 값 등을 변경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회전감지소자와 키스위치(6)에 연결된 입력포트(4)를 구비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속도, 이동거리, 엔진 정지, 가동, 급제동등 각종 주행관련 데이터를 판독기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유사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쇄용지의 공급을 위한 서보기구(2)와 임팩트(impact), 논임팩트(nonimpact)형 인자수단(1)과, 서보기구(2)와 인자수단(1)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중앙처리부(10)를 구비한 콘트롤러(3)와, 리얼타임클럭(11)과, 날짜, 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딥스위치(12)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프린터의 입력포트(4)에 차량의 휠 구동부에 설치된 회전감지수단(5)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와 키스위치(6)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4)와, 입력포트(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입력포트(4)로 부터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속도,이동거리,엔진시동여부,급제동상황등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프로그램 메모리(7)와, 속도, 이동거리, 엔진시동여부, 급제동 상황등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8)와, 하나 이상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현재로부터 원하는 전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설정버튼(9)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KR2020010005258U 2001-02-27 2001-02-27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KR200233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58U KR200233500Y1 (ko) 2001-02-27 2001-02-27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58U KR200233500Y1 (ko) 2001-02-27 2001-02-27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500Y1 true KR200233500Y1 (ko) 2001-09-28

Family

ID=730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258U KR200233500Y1 (ko) 2001-02-27 2001-02-27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5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2556B2 (ja) 事故評価に適した測定値表示部を有する自動車用走行記録装置
CA2465866A1 (en) Vehicle tampering protection system
US5463373A (en) Device for verifying disturbances in signal transmission in motor vehicles
JP2000194895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車両運行記録装置
KR200233500Y1 (ko) 운행 관련 데이터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린터
US5750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vehicle types
KR200269885Y1 (ko) 운행 관련 데이터의 도표인쇄 기능을 갖는 택시요금미터기
JPH0558299A (ja) 列車運転曲線モニタリング装置
KR20010023415A (ko) 속도 및 거리 측정 장치 보정 방법
JPS592071B2 (ja) 運行記録装置
JPS62245919A (ja) 車両運行記録装置
JP2598999B2 (ja) 車輌の運行記録方式
JP2931590B1 (ja) スタート通信装置
JP2003072419A (ja) 自動車用計器
JP2772353B2 (ja) 車輛の運転状況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6052Y2 (ja) 車両の運転時間計測装置
JPH07113644B2 (ja) 自動車用の走行記録計
JPS5827444B2 (ja) クルマノ ソウコウアンナイソウチ
JPS6227937Y2 (ko)
KR100216837B1 (ko) 자동차의 주행정보 디스플레이장치
JPH0781875B2 (ja) 運行管理装置
JPS59195119A (ja) 車両の運行記録及び分析装置
GB2302179A (en) Vehicle monitoring units
JPS5829554B2 (ja) 運行記録装置
JPH01223312A (ja) 自動車用計器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