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085Y1 -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085Y1
KR200233085Y1 KR2020010006036U KR20010006036U KR200233085Y1 KR 200233085 Y1 KR200233085 Y1 KR 200233085Y1 KR 2020010006036 U KR2020010006036 U KR 2020010006036U KR 20010006036 U KR20010006036 U KR 20010006036U KR 200233085 Y1 KR200233085 Y1 KR 200233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pit
cargo crane
crane
cabin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배
Original Assignee
임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배 filed Critical 임현배
Priority to KR2020010006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085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고크레인의 조정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석을 외부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단하고 보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성을 향상시킨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판위의 운전반과 착석시트에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받침판을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탑승이 쉽도록함과 아울러 차량 이동시 높이제한이 있는 도로를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카고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조정석과, 상기 조정석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정석을 보호하는 캐빈과, 상기 조정석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정석을 승강운동시키는 조정석 승강장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A operation seat protection device of cargo crane with ascent and descent device}
본 고안은 카고크레인의 조정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석을 외부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단하고 보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성을 향상시킨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고크레인은 트럭등의 차량 후방 또는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과 같이 이동되어 작업현장에서 별도의 장비 없이 트럭에 물건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레인의 지브가 고정되어 있는 중심회동축 측면에 별도로 조정석이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에 착성하여 작업현장을 보면서 상기 크레인을 조종함으로써, 지브의 신축이나 물건의 이동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일반적인 카고크레인의 조정석을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은 카고 크레인(100)의 중심회동축(102) 일측면에 받침판(103)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103)위에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착석용 시트(104)와 상기 크레인(100)을 조정하기 위한 운전반(10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면에서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작업현장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가 있으며 작업능률을 높일 수가 있다.
그러나, 착석 시트와 운전반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채로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환경의 변화가 작업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즉, 비 또는 눈 등과 같이 한파가 몰아치거나 강렬한 태양열이 내리쪼이는 등 열악한 작업환경에 작업자가 노출된 채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작업자가 위험에 바로 노출되어 있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많을 뿐 아니라, 운전반 또한 외부 이물질에 의해 파손 또는 부식의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판위의 운전반과 착석시트에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받침판을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탑승이 쉽도록함과 아울러 차량 이동시 높이제한이 있는 도로를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카고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조정석(20)과,상기 조정석(20)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정석(20)을 보호하는 캐빈(30)과, 상기 조정석(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정석(20)을 승강운동시키는 조정석 승강장치(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빈(30)은 상기 조정석(20)을 감싸도록 구비된 캐빈프레임(31)과, 상기 캐빈프레임(31)에 씌어지는 보호덮개(32)와, 상기 캐빈프레임(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캐빈개폐부재(33)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석 승강장치(40)는 상기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이 구비되는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조정석(20)이 안착되는 유압실린더(41)와, 상기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석(20)의 승하강시 유동이 없도록 안내하는 안내기둥(42)과, 상기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기동(42)에 접하는 안내부재(43)와, 상기 안내기둥(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재(4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캐빈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일반적인 카고크레인의 조정석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심회동축 20 : 조정석
30 : 캐빈 31 : 캐빈프레임
32 : 보호덮개 33 : 캐빈개폐부재
34 : 결합공 35 : 결합돌기
36 : 비닐창 37 : 지퍼
40 : 조정석 승강장치 41 : 유압실린더
42 : 안내기둥 43 : 안내부재
44 : 위치감지센서 50 : 회전판
60 : 운전석 70 : 적재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캐빈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의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조정석(20)이 구비되며 상기 조정석(20)하부에 유압실린더(41)를 구비하였는데 상기 유압실린더(41)는 상기 카로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이 구비된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캐빈(30)은 상기 조정석(20)을 소정 형상으로 감싸도록 캐빈프레임(31)을 상기 조정석(20) 하부에 고정설치하였으며 상기 캐빈프레임(31)을 덮도록 천막재질이며 상기 캐빈프레임(31)의 형상에 맞게 덮을 수 있도록 보호덮개(32)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캐빈프레임(31)에 캐빈개폐부재(33)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캐빈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공(34)을 구비하였고, 상기 캐빈개폐부재(33)의 일측에는 결합돌기(35)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32)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투명한 비닐창(36)을 구비하였으며 상기 비닐창(36)을 개폐가능하도록 일측에 상기 비닐창(36)의 외형을 따라 지퍼(37)를 구비하였고, 상기 캐빈개폐부재(33)의 소정위치에도 비닐창(36) 및 지퍼(37)를 구비하였다.
상기 캐빈프레임(31)은 상기 카고크레인의 회전시 차량의 운전석(60)과, 적재함(70)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
한편 상기 카고크레인의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안내기둥(42)을 구비하여상기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에 구비된 안내부재(43)에 접하여 상기 조정석(20)의 승하강시 안내기둥(42)을 따라 유동없이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안내기둥(42)의 하부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44)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43)가 안내기둥(42)을 따라 하강시 이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조정석을 하강시킨다.
이 때, 유입실린더의 피스톤에 구비된 안내돌기는 안내기둥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조정석을 흔들림이 없이 하강하게된다.
그런다음 작업자는 조정석에 탑승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조정석이 하강되어 작업자가 탑승하기에 용이하다,
작업자가 탑승한 다음 유입실린더를 작동하여 상기 조정석을 상승시켜 카고크레인을 작동시켜 소정 작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크레인의 회전시 조정석에 구비된 캐빈은 차량의 운전석 및 적재함에 걸리지 않는다.
이 때 주위의 주변 환경에 따라 캐빈개폐부재를 분리하여 작업을 할 수가 있으며 또한 보호덮개 및 캐빈개폐부재의 비닐창을 열고 작업을 할 수가 있다.
한편,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하면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조정석을 하강시킨다음 작업자는 조정석에서 나오게 된다.
만약, 작업자가 조정석을 하강시키지 않고 내려와 차량을 움직이려 할 때 상기 안내기둥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구비된 안내돌기를 감지하지 못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음을 발생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사고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카고크레인의 조정석에 탑승하기가 쉬우며 차량이동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차단되어 열악한 작업환경에서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에 설치된 카고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조정석(20)과, 상기 조정석(20)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정석(20)을 보호하는 캐빈(30)과, 상기 조정석(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정석(20)을 승강운동시키는 조정석 승강장치(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30)은,
    상기 조정석(20)을 감싸도록 구비된 캐빈프레임(31)과, 상기 캐빈프레임(31)에 씌어지는 보호덮개(32)와, 상기 캐빈프레임(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캐빈개폐부재(33)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석 승강장치(40)는,
    상기 카고크레인의 중심회동축(10)이 구비되는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조정석(20)이 안착되는 유압실린더(41)와, 상기 회전판(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석(20)의 승하강시 유동이 없도록 안내하는 안내기둥(42)과, 상기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기동(42)에 접하는안내부재(43)와, 상기 안내기둥(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재(4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KR2020010006036U 2001-03-07 2001-03-07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KR200233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36U KR200233085Y1 (ko) 2001-03-07 2001-03-07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36U KR200233085Y1 (ko) 2001-03-07 2001-03-07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085Y1 true KR200233085Y1 (ko) 2001-10-18

Family

ID=7309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36U KR200233085Y1 (ko) 2001-03-07 2001-03-07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68B1 (ko) * 2003-11-13 2006-01-11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KR200496412Y1 (ko) * 2019-11-11 2023-01-26 허성규 시위대 진입방지를 위한 경찰용 차벽 트레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68B1 (ko) * 2003-11-13 2006-01-11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KR200496412Y1 (ko) * 2019-11-11 2023-01-26 허성규 시위대 진입방지를 위한 경찰용 차벽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7039C (en) Lateral operator restraint system and position sensor for material handler
CA2648417C (en) Work platform
KR101037948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CN205395738U (zh) 用于建筑机器的紧急出口系统
ITUB20159622A1 (it) Macchina operatrice semovente
JP4514656B2 (ja) 作業機
KR200233085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KR200233086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KR101765421B1 (ko)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EP1201833B1 (en) A cab for earth-moving machines
JPH0940381A (ja)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KR20090068717A (ko) 산업차량의 캐빈 회전장치
KR200435485Y1 (ko) 고소차량용 탑승장치
KR200261439Y1 (ko) 카고크레인및 집게차량의 장비운전석 덮게장치
KR20020051730A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CN216545734U (zh) 一种推土机用安全开关装置
JP3070150B2 (ja) トラクタのリフトアーム牽制装置
KR20130062215A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JP2571756Y2 (ja) バックホーにおけるキャノピ構造
CN207747857U (zh) 一种牵引车车身防护防盗装置
JP2872094B2 (ja) クレ−ンの旋回範囲制限装置
KR20160132793A (ko)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JPH0540290U (ja) ホイール式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