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215A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Google Patents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215A
KR20130062215A KR1020110138837A KR20110138837A KR20130062215A KR 20130062215 A KR20130062215 A KR 20130062215A KR 1020110138837 A KR1020110138837 A KR 1020110138837A KR 20110138837 A KR20110138837 A KR 20110138837A KR 20130062215 A KR20130062215 A KR 2013006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window
vehicle cra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ublication of KR2013006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을 감싸고 있는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부프레임의 배면 끝단과 우측면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대 및 패널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상태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은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주변에 구비되는 구조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일측면(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및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Cabin Of Drivers Seat For Vehicle Crane}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설치되는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석을 보호함으로써, 비, 눈 또는 바람 등으로부터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운전석 케빈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결합되거나 젖혀지는 상태에서도, 최근 출시되는 크레인 차량에서 설계 및 장착되는 하부프레임 주위에 돌출되는 크레인 모터 및 유압장치 등과 간섭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 제작사의 다양한 차량용 크레인 설계에 대응하여, 하나의 형태의 운전석 케빈으로도 다양한 크레인 운전석에 호환성 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크레인은 트럭과 같은 운반차량의 선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고철운반용 또는 각종 중량물의 상, 하역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크레인은, 붐대의 선단에 버켓을 연결한 후, 작업자가 승차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차량용 크레인(20)의 회전반(21) 상측으로 연결된 기둥(22)의 상측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전석(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는 다수의 운전바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운전석에 앉은 자세로 각종 운전바를 동작시킴으로써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운전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통상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23)은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행 도로교통법상 차량의 총 높이가 4미터를 초과할 수 없게 되어있고, 이에 준하여 각종 난간 및 터널 등의 높이도 4미터 20센티미터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23) 상부에는 추가적인 물건 또는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작업하는 경우, 눈이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작업자가 노출된 상태로 작업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37948호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1439호 등에서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을 덮어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높이 제한에 위반되지 않을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하부프레임은 운전석의 하단을 감싸고 있으며, 상부프레임은 운전석의 상단을 감싸고 있다. 한편, 작업자가 작업을 마친 후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크레인 유압장치 등을 정비 및 수리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부프레임을 도 1에서 차량의 운전석 방향, 즉,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의 운전석(23) 뒷부분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은 차량용 크레인 장착을 위해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차량(이하, 간단히 '차량'이라 함)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크레인 차량에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의 뒷부분에 별도의 기구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부프레임을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뒷부분으로 젖히거나, 상부프레임을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에 장착하는 경우, 케빈과 별도의 기구장치간에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장착하고 사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제작사에서 제작되어 출시되는 크레인 차량에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뒷부분 및 운전석 하부에 유압식 펌트, 유압장치 또는 모터와 같은 부대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10)을 새로운 차량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부프레임을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뒷부분으로 젖히거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부대 장치들에 걸리기 때문에, 기존 케빈으로는 케빈의 상부프레임이 완전히 젖혀지지 못하거나, 상부프레임을 완전하게 장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째, 크레인 차량 제작사의 부대 장치의 다양한 설계에 대응하여 하나의 형태의 케빈으로도 호환성 있게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을 감싸고 있는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후면)으로 젖혀질 수 있고, 둘째,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케빈 전체가 크레인 운전석의 부대장치와의 간섭없이 완벽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의 배면 끝단과 일측면(우측면)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대 및 패널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상태로 개방되어 있으며, 셋째, 상기 개방된 부분은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주변에 구비되는 구조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일측면(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및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을 감싸고 있는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으로 젖혀지거나 하부프레임과 장착되어 케빈 전체가 크레인 운전석에 장착되는 경우, 상부프레임의 배면 끝단과 우측면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대 및 패널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상태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은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후면) 근처에 구조물(부대 장치)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크레인 차량 제작사의 다양한 설계변경에 대응하여 하나의 형태의 케빈으로도 호환성 있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완전하게 장착되고 케빈 전체가 크레인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배면 근처에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부프레임이 구조물의 방해를 받지 않고, 하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고 배면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어 크레인 차량 제작사의 설계변경마다 간섭현상을 없애기 위해 그에 맞는 운전석 케빈을 그때마다 설계 및 제작해야 하는 수고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형태의 케빈으로도 여러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에 호환성있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우측면과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우측면과 배면의 개방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전면에 형성된 라이트 커버와 전면 커버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의 배면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우측면과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우측면과 배면의 개방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우측면과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우측면과 배면의 개방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전면에 형성된 라이트 커버와 전면 커버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의 배면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b)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결합되어 잇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의 배면으로 젖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우측면과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창문에 의해 우측면과 배면의 개방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로서, 배면창(120)의 구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배면창(120)의 구조와 다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이 하부프레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운영되는 차량용 크레인은, 차량용 크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바와, 운전바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운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바와, 운전석의 전체면을 덮어줌으로써, 운전석에 앉아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비, 바람, 눈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하부프레임(200)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기 위한 상부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200)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이하, 간단히 '운전석'이라 함)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양쪽 측면과 전면 및 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0)은 운전석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하우징(210)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어 라이트를 커버하기 위한 라이트커버(220)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210)은 운전석의 하부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도어가 구비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상부프레임(100)에 구비된 도어(170)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도울 수 있도록, 하부하우징(210)의 좌측면에는 개방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라이트커버(220)는 운전석에 장착되는 라이트(미도시)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하부하우징(210)의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는 라이트(Light)(미도시)가 노출될 수 있도록 라이트홀(240)이 형성되어 있는 라이트커버(220)가, 라이트커버힌지(230)에 의해 하부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자는 필요한 경우, 라이트커버(2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킨 상태에서 라이트커버 개방면(220a)을 통해 노출되는 라이트를 교체하거나, 또는 운전석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을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라이트커버(220) 중 라이트커버힌지(230)의 반대측면, 즉, 도 5에서와 같이 들어올려지는 부분(제1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하부하우징의 전면에는 별도의 잠금부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금부를 이용해 라이트커버(220)의 제1측면을 하부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200)의 전면 부분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과 체결되는 제2체결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체결부(290)는 상부프레임(100)의 전면 부분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부(190)와 체결된다.
이러한 제1체결부(190) 및 제2체결부(290)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부프레임(100)의 배면 부분(도 6의 도면 부호 300번 방향)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은 제1체결부(190)와 제2체결부(29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00)의 배면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이하, 간단히 '운전석'이라 함)의 상부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00)은, 상단면은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고 있으며 하단면은 개방되어 있는 상부하우징(110), 상부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창힌지(150)를 통해 개방될 수 있는 전면창(160), 상부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힌지(140)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170), 상부하우징의 우측면 하단부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린 형태로 동작되어 우측면 하단부의 전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우측면창(130) 및 상부하우징의 배면 하단부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하단부의 전체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배면창(120)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이 둥근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의 상단면의 높이는 작업자의 앉은키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작업자의 앉은키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이러한 상부하우징(110)의 상단면의 높이는, 차량의 총 높이가 4미터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는 도로교통법상의 제한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설명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배면 부분이 제1체결부(190) 및 제2체결부(290)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하우징의 전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의 (b)에서 상부프레임이 배면 방향으로 더욱 젖혀진다면, 전면의 평평한 부분이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인해, 지면으로부터 상부하우징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도로교통법상의 제한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전면창(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외부의 작업 공간을 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면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으로부터 하단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창이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설명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배면 부분이 하부프레임(200) 배면 방향으로 젖혀진 경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전체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전면창(160)은 상부하우징(110)의 상단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면창힌지(150)에 의해 상부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창(160)은 전면창힌지(15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전석의 각종 부품들을 교체하거나 점검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창을 상단면 방향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외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점검 작업 등을, 전면창(160)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외부에서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면창(160)의 외부면에는 윈도우 브러쉬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면창(160) 중 전면창힌지(150)의 반대측면, 즉, 도 6에서와 같이 들어올려지는 부분(제1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상부하우징의 전면에는 별도의 잠금부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금부를 이용해 전면창(160)의 제1측면을 상부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170)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170)는 상부하우징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힌지(140)에 의해 상부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170)에는 개폐가능한 도어창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는 차량용 크레인을 구동하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운전석 외부에 있는 작업자가 차량용 크레인을 구동시키는 경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해 도어(170)가 열려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차량용 크레인을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에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우측면창(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의 우측면에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면창(130)은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내부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측면창(13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우측면창은 두 개의 우측면창틀로 구성되어 있다. 제2우측면창틀은 우측면창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우측면창틀의 슬라이딩프레임에 의해 제1우측면창틀에 포개어져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제2우측면창틀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우측면창틀은 제1우측면창틀의 슬라이딩프레임을 따라 우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상부하우징의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상부하우징의 우측면 하단부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없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우측면창(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배면창(120)도 우측면창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부하우징의 배면 하단부 역시 어떠한 구조물도 없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은 배면창(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면창(130)은 상부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제1배면창틀 및 제1배면창틀의 슬라이딩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2배면창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우측면창(130)과 배면창(120)을 구성하는 이유는, 상부프레임(1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질 경우에, 하부프레임(200)에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300)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상부프레임(100)이 하부프레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최근 출시되는 크레인 차량에서 설계 및 장착되는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돌출되는 크레인 모터 및 유압장치 등과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프레임(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체결부(190) 및 제2체결부(290)에 의해 하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들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후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부(190) 및 제2체결부(290)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구조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0)은 수동 또는 자동 방식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에는, 운전석의 배면,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배면 주변(우측면) 또는 케빈이 장착되어 차지하게 되는 공간에, 차량용 크레인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같은 구조물(300)이 일측(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배면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부프레임(100)의 우측면 하단과, 배면의 우측면 하단이 구조물(300)과 맞닿게 되어, 상부프레임(100)이 완전히 젖혀질 수 없게 되고, 캐빈 전체 또한 크레인 운전석에 완전하게 장착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물(300)이 장착되어 있는 방향인 상부하우징(110)의 우측면과 배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및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과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만나는 공간에는 어떠한 프레임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구조물(300)은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과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과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다면 운전석에 앉은 작업자를 비, 바람 또는 추위 등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과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우측면창(130)과 배면창(12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구조물(3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의 우측이 아닌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면, 본 발명에는 좌측면창과 배면창이, 상기한 바와 같은 우측면창(130)과 배면창(120)의 원리로 상부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창(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배면창(120)의 상단면은 힌지 등을 통해 상부하우징(110)과 연결되고, 하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면창(120)의 하단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형성되는 개방면을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배면창(120)의 하단면이 하부프레임(200)의 배면과 닿아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비, 눈 또는 바람 등을 막아줄 수 있다.
그러나, 상부프레임(100)의 배면 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배면창(120)의 하단면이 구조물(300)과 맞닿으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방향으로 젖혀진다. 따라서, 상부프레임은 구조물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젖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부프레임 110 : 상부하우징
120 : 배면창 130 : 우측면창
140 : 도어힌지 150 : 전면창
160 : 전면창 170 : 도어
200 : 하부프레임 210 : 하부하우징
220 : 라이트커버 230 : 라이트커버힌지
240 : 라이트홀

Claims (11)

  1.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주변에 구비되는 구조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및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어 라이트를 커버하기 위한 라이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커버에는 상기 라이트가 노출될 수 있도록, 라이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커버는, 라이트커버힌지에 의해 상기 하부하우징으로부터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단면이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의 상부를 감싸고 있으며 하단면은 개방되어 있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창;
    상기 상부하우징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우측면 하단부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린 형태로 동작되어 상기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우측면창;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배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배면창을 포함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창은,
    상기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창힌지를 통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창 또는 상기 배면창 각각은,
    상기 상부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제1창틀; 및
    상기 제1창틀의 슬라이딩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창틀에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또는 상기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2창틀을 포함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창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단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창의 외부면에는 윈도우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용 크레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려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용 크레인을 구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 하단부의 개방면 및 상기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창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면창의 하단면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배면 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면에 의해 상기 배면 하단부의 개방면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20110138837A 2011-12-02 2011-12-21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20130062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12 2011-12-02
KR20110128012 2011-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215A true KR20130062215A (ko) 2013-06-12

Family

ID=4886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837A KR20130062215A (ko) 2011-12-02 2011-12-21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452A (ko) * 2014-01-28 2015-08-05 박일훈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452A (ko) * 2014-01-28 2015-08-05 박일훈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618B2 (ja)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JP5647186B2 (ja)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KR101037948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US9027986B2 (en) Wiper device, open/close guard with wiper device, an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RU251667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KR101831479B1 (ko)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RU251714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US20070145779A1 (en) Rotatable cab with toe guard
CN105564516A (zh) 清扫车驾驶室及清扫车
CN100436232C (zh) 组合式发动机罩和后栏板
KR20130062215A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WO2014196257A1 (ja) 車両
KR20090068717A (ko) 산업차량의 캐빈 회전장치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EP3312077B1 (en) Work vehicle
JP5054802B2 (ja) 建設機械
KR20040027344A (ko) 유압셔블의 공구수납장치
KR200230350Y1 (ko)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커버장치
JP4783922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5798801B2 (ja) クレーンの運転室とそれを搭載したクレーン
JP5054805B2 (ja) 建設機械
JP3652226B2 (ja) 旋回作業機
JP5758441B2 (ja) 車両
KR200233086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JP2004034783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