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26Y1 -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 Google Patents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26Y1
KR200227926Y1 KR2020000037128U KR20000037128U KR200227926Y1 KR 200227926 Y1 KR200227926 Y1 KR 200227926Y1 KR 2020000037128 U KR2020000037128 U KR 2020000037128U KR 20000037128 U KR20000037128 U KR 20000037128U KR 200227926 Y1 KR200227926 Y1 KR 20022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entral
septic tank
cylind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임재경
Original Assignee
이용호
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임재경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2020000037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26Y1/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기둥프레임(14)의 내부에 위에서 순차적으로 상부 금형(16), 중앙부 금형(18), 하부 금형(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금형(16)과, 중앙부금형(18)사이에는 성형을 원활히 하거나, 성형후 원활히 성형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통시키는 공기노즐(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금형(16)의 상부에는 상부금형을 상승, 하강시키는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와,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시에 상부금형(16)을 상하기둥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하기둥프레임(14)의 일부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상하밀림방지 고정유압기 및 고정핀(12,12`)과, 하부금형(17)에 형성된 노즐(4)은 사출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Mold for water-purifier tank}
본 고안은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폐비닐을 이용하여 대형 용기나 정화조의 본체와 격판을 일체형으로 압출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폐비닐 대형용기와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폐비닐을 이용하여 간단한 성형품을 즉 대형그릇등을 제조하여 왔으나, 불순물의 함유량이 많아 압출 성형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왔으며, 특히 오수합병 정화조 같이 초대형 성형물을 불가능 하여왔다.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압출성형생산 방식 외에 금형 내부에 진공으로 처리하여 불순물이 많은 폐비닐을 이용하여 오수합병 정화조 같은 초대형 폐비닐 성형물을 제조 가능하게 개량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정화조는 대형이면서 가로방향으로 보강띠를 세로방향으로 보강지주를 일정한 개수이상 성형시켜야 하며 원형이므로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없어서 원형의 본체중 상측부를 이등분하여 성형하고 하측부를 원형으로 성형한 후 열을 이용한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접합하여 정화조를 성형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화조는 접합부분이 지하에 매설된 후 상부압이나 토압에 의하거나, 시공시 시공자의 부주의로 충격을 가하면 접합부분이 벌어지면서 누수현상이 발행으로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결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정화조 본체를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완전한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기술의 개발은 어려운 점이 있어 왔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33492호에는 오수합병 정화조의 본체를 PE. 또는 PE재생원료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구획판과 입수구 및 출수구를 본체와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견고하여 유입물의 유출이 방지되는 구획판 일체형 정화조가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9-83843호에는 PE를 공급하여 대형용기나 정화조의 본체 또는 본체와 격판을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에틸렌 대형용기와 정화조의 일체형 성형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PE를 원료로 대형용량의 정화조를 제조할 경우 한번에 성형하지 못하고 여러등분으로 나누어 성형하게되며, 여러등분의 부속품을 전기를 이용하여 융착방법으로 다시 융착시켜 제조하여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높아지며, 조립시간의 장기화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성형된 후에는 온도 차이에 의해 각 부속품에 변형이 발생되고, 지하에 매설 후에 오페수가 유입되면 융착부분이 벌어지며, 토압을 이기지 못하여 오무라들어 정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폐비닐, 폐폴리에틸렌수지로 정화조의 각 부품을 분리 생산하여 가열 히터로 녹여 조립 제작하는 종래의 생산방법을 보안하고자, 하나의 금형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일회의 압출성형에 의해 정화조 와 정화조내부 구획판과, 구획판사이의 폐수순환 통로를 압출시 동시에 성형된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 본 고안의 금형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금형 정면세부상세도
도3 본 고안의 금형 측면 세부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중앙부금형 상부의 노즐을 나타낸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상부금형 단면도
도6 본 고안의 상부금형에 내장된 상하밀림방지고정핀 상세도
도7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 측면상세도
도8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 정면 상세도
도9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와 정화조 평면상세도
도10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와 정화조 중앙칸막이 정면상세도
<도면의 부호 설명>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하부 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 노즐(4), 중앙부금형상승하강 유압기 및 실린더(5), 중앙부 금형 상승하강 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 배출통공형성 유압기 및 실린더(7, 8), 중앙부 금형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 공기노즐(10), 버팀벽(11), 상하밀림방지고정유압기 및 고정핀 (12,12`), 상 하 기둥 프레임(14), 압출기(15), 상부 금형(16), 하부 금형(17), 중부 금형(18), 진공펌프(19), 블로아(20), 오수합병정화조(21)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기둥프레임(14)의 내부에 위에서 순차적으로 상부 금형(16), 중앙부 금형(18), 하부 금형(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금형(16)과, 중앙부금형(18)사이에는 성형을 원활히 하거나, 성형후 원활히 성형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통시키는 공기노즐(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금형(16)의 상부에는 상부금형을 상승, 하강시키는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와,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시에 상부금형(16)을 상하기둥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하기둥프레임(14)의 일부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상하밀림방지고정유압기 및 고정핀(12,12`)과, 하부금형(17)에 형성된 노즐(4)은 사출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부 정화조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왔으나, 정화조 내부의 칸막이부분은 일체형으로 성형하기 어려웠으며, 더구나 칸막이와, 외부의 일부에 통공을 형성시키는 기술은 어려웠으며, 더구나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압출성형할 경우 폐플라스틱에 불순물이 많이 형성되어 초대형 금형내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불량률이 높아 진공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동일한 압력과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초대형의 정화조를 동시에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는 원리를 응용하여 본 고안을 창안 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금형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금형 정면세부상세도, 도3 본 고안의 금형 측면 세부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중앙부금형상부의 노즐을 나타낸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상부금형 단면도, 도6 본 고안의 상부금형에 내장된 상하밀림방지고정핀 상세도, 도7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 측면상세도, 도8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 정면 상세도, 도9 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와 정화조 평면상세도, 도10본 고안의 오수합병정화조와 정화조 중앙칸막이 정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하부 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 노즐(4), 중앙부금형상승하강 유압기 및 실린더(5), 중앙부 금형 상승하강 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 배출통공형성 유압기 및 실린더(7, 8), 중앙부 금형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 공기노즐(10), 버팀벽(11), 상하밀림방지고정유압기 및 고정핀 (12,12`), 상 하 기둥 프레임(14), 압출기(15), 상부 금형(16), 하부 금형(17), 중부 금형(18), 진공펌프(19), 블로아(20) 및 오수합병정화조(21)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설명하면, 도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기둥프레임(14)의 내부에 위에서 순차적으로 상부 금형(16), 중앙부 금형(18), 하부 금형(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금형(16)과, 중앙부금형(18)사이에는 성형을 원활히 하거나, 성형후 원활히 성형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통시키는 공기노즐(10)(도4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금형(16)의 상부에는 상부금형을 상승, 하강시키는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와,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 시에 상부금형(16)을 상하기둥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하기둥프레임(14)의 일부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상하밀림방지고정유압기 및 고정핀 (12,12`)(도5 및 도6참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금형(18)은 정화조 외형과, 정화조 내부에 3개의 칸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형태로서, 내측에 두 개로 양분되어 있으며, 좌우외측에 2개 총4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내측 외부와, 외측내부가 맞닿는 상하부 좌우측으로 'ㄱ'자 또는 'ㄴ'자로 형성된 버팀벽(11)과,
양분된 중앙부 금형(18)의 중앙에 위치하여 벌어지게하거나 밀착시키게 하는 중앙부 금형(18)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와,
중앙부금형(1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조의 폐수 출입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통공형성 유압기 및 실린더(7, 8)와,
상기 중앙부금형(18)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금형(18)을 상승, 하강시키는 중앙부금형 상승하강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과,
상기 중앙부금형 상하강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과 하부로 연결되어있으며, 하부 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에 설치된 중앙부금형 상승하강유압기및 실린더(5)와,
하부 금형(17)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과, 압축성형을 위하여 용융된 폐플라스틱이 주입되는 두 개의 노즐(4)로 구성된 장치인 것이다.
하부금형(17)의 상부는 상부에 형성된 중앙부금형(18)의 하부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하부금형(17)의 일측 상부 좌우측으로 'ㄱ'자 또는 'ㄴ'자로 형성되어 상부 중앙부 금형(18)의 하부와 결합되어 형성된 버팀벽(11)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오수합병정화조의 성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부금형(18)의 상승하강유압기 및 실린더(5)를 작동시켜 중앙부금형(18)을 일정높이로 하강시킨 다음, 중앙부금형(18)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부 금형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를 작동시켜 중앙부 좌우금형을 합치시키고, (이때 중앙부금형(18)이 오므라져 맞닿아서, (6)가이드에 의해 상승한 중앙부금형(18)이 내려가 B-B부분이 맞닿아서 압출을 위하여 상부와 중앙부 금형의 하강 압착시 상, 중,하금형(16,18,17)의 중심을 잡고 압출시 엄청나 팽창을 막아 주기위한 버팀벽(11)을 형성한다.)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를 작동시켜 상부 금형(16)과,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을 하강시킨다. 상부 금형(16)이 중앙부 금형(18)에 맞닿아 A-A부분이 결합되어 버팀벽(11)을 형성하면, 상기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내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밀림방지 고정유압기 및 고정핀(12,12`)가 전진 작동되어 상하기둥프레임(14)에 고정되어, 압출성형시 상부금형(16)이 엄청난 압력으로 상승하려는 것을 억제한다.
이로써 상부금형(16), 중앙부금형(18), 하부금형(17)의 결합이 완성되면, 중앙부금형(18)내부에 설치된 합병정화조 칸막이 구멍용 실린더(7)를 전진시켜 칸막이 부분의 구멍 부분을 막은 후에 하부 금형(17)에 부착된 2개의 노즐(4)에서 고압의 폐비닐을 녹인 수지가 압출이 시작과 동시에 진공펌프(19)가 작동되어, 금형 내부의 진공을 위한 20개의 노즐(10)에서 공기 흡입이 고압으로 이루어져 오수 합병정화조를 완벽하게 성형한다.
일정시간 냉각수에 의해 냉각이 진행되면 역순에 의해 제품 탈영이 진행된다.
먼저 블로아(20)가 작동되어 공기노즐(10)을 따라, 공기를 불어넣으면서, 중앙부 금형(18) 내부에 설치된 합병정화조 칸막이 구멍용 실린더(7)를 작동시켜 후퇴시키고,
중앙부금형(18) 상승하강유압기 및 실린더(5)를 작동시켜 중앙부금형(18)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중앙부금형(18)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부 금형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를 작동시켜 제품을 탈영 할 수 있도록 중앙부 좌우금형(18)을 일정 넓이로 분리시킨 후에, 동시에 상기 상부금형(16)의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내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밀림방지 고정유압기 및 고정핀(12,12`)을 후퇴시켜 상하기둥프레임(14)에서 상부금형(16)을 자유롭게 한 다음, 상기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를 작동시켜 상부 금형(16)과,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을 상승시켜 제품을 뺄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하면 1개의 합병정화조가 생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오수합병정화조(21)은 도7내지 도9에 나타나 있으며, 도10은 오수합병정화조 내부의 중앙칸막이의 상부가 파도형 형상을 나타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전의 생산 불가능한 일체형의 초대형 오수 합병정화조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각부(측면, 밑단, 내피)등을 융착 조립하던 것을 특히 내부 칸막이에 폐수순환 구멍을 압출시 동시에 형성시키는 등, 단 한 번의 진공, 압축 생산 방법이라는 획기적인 기술로 생산업계의 인건비 절감은 물론 정화조의 내구성 파괴 강도 등을 향상시켰고, 사회적으로 심각한 공해 문제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농촌의 비닐 하우스, 도시 쓰레기 봉투 등을 처리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에 있어서, 상하기둥프레임(14)의 내부에 위에서 순차적으로 상부 금형(16), 중앙부 금형(18), 하부 금형(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금형(16)과, 중앙부금형(18)사이에는 성형을 원활히 하거나, 성형후 원활히 성형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통시키는 공기노즐(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금형(16)의 상부에는 상부금형을 상승, 하강시키는 상부유압기 및 실린더(1)와, 상부 금형을 고정하고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로 운동하는 중간 분력(2)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시에 상부금형(16)을 상하기둥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하기둥프레임(14)의 일부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상하밀림방지 고정유압기 및 고정핀(12,12`)과, 하부금형(17)에 형성된 노즐(4)은 사출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금형(18)은 정화조 외형과, 정화조 내부에 3개의 칸막이를 형성하기 위한 형태로서, 내측에 두 개로 양분되어 있으며, 좌우외측에 2개 총4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중앙부금형(18)의 내부 상부 좌우측은 상부금형(16)의 하부와 일치하며, 내부하부 좌우측은 하부금형(17)의 상부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ㄱ'자 또는 'ㄴ'자로 형성되어 상부금형(16)의 하부 및 하부금형(17)의 상부와 결합되어 형성된 버팀벽(11)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분된 중앙부 금형(18)의 중앙에 위치하여 벌어지게 하거나 밀착시키게 하는 중앙부 금형(18)의 좌, 우 벌림을 위한 양방향 유압기 및 실린더(9)와,
    중앙부금형(1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조의 폐수 출입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통공형성 유압기 및 실린더(7, 8)와,
    상기 중앙부금형(18)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금형(18)을 상승, 하강시키는 중앙부금형 상승하강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7)은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17)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과,
    하부금형(17)의 상부는 상부에 형성된 중앙부금형(18)의 하부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하부금형(17)의 일측 상부 좌우측으로 'ㄱ'자 또는 'ㄴ'자로 형성되어 상부 중앙부 금형(18)의 하부와 결합되어 형성된 버팀벽(11)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중앙부금형 상하강유압 실린더 가이드레일(6)과 하부로 연결되어있으며, 하부 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하부 블록(3)에 설치된 중앙부금형 상승하강유압기및 실린더(5)와,
    압축성형을 위하여 용융된 폐플라스틱이 주입되는 두 개의 노즐(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KR2020000037128U 2000-12-29 2000-12-29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KR20022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28U KR200227926Y1 (ko) 2000-12-29 2000-12-29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28U KR200227926Y1 (ko) 2000-12-29 2000-12-29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187A Division KR100386675B1 (ko) 2000-12-29 2000-12-29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및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26Y1 true KR200227926Y1 (ko) 2001-06-15

Family

ID=7309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128U KR200227926Y1 (ko) 2000-12-29 2000-12-29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7263B (zh) 在多层吹塑塑料油箱内部放置嵌件的吹塑成型方法
CN206264251U (zh) 加重泡沫箱注塑成型模具装置
KR100386675B1 (ko)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및 성형방법
KR200227926Y1 (ko) 오수합병정화조 제조를 위한 금형
CN213860477U (zh) 一种注胶均匀的支架注塑模具
CN103144281A (zh) 一种在多层吹塑塑料油箱内部放置崁件的吹塑成型方法
CN109177059A (zh) 一种o型橡胶圈注射模具及其加工o型橡胶圈的方法
CN216032297U (zh) 汽车喇叭网注塑模具
CN208914490U (zh) 一种o型橡胶圈注射模具
CN212498622U (zh) 一种复合压缩模具
CN210758880U (zh) 一种塑胶件加工用注塑模具
CN212288077U (zh) 一种市政排水混凝土承插式管管枕预制塑料模具
CN211763152U (zh) 一种注塑成型模具
CN211616519U (zh) 一种精密模具注塑冷却结构
CN219543896U (zh) 一种防止收缩缺陷的注塑结构
CN207579060U (zh) 湿定型模具供水系统及具有该系统的挤塑定型台
CN216032126U (zh) 一种便于拆装检修的热半模
CN112536944A (zh) 一种电池包hp-rtm两腔成型模具
CN220548564U (zh) 一种护套硫化模具
CN214605634U (zh) 有机硅胶包装针筒反注热流道胶筒模具
CN219445932U (zh) 一种散热风扇生产用速冷式注塑模具
CN220720186U (zh) 一种注塑深孔板的开模结构
CN207120430U (zh) 一种塑料水龙头本体制造模具
CN213166601U (zh) 一种用于制造汽车塑料翼子板的模具
CN220219559U (zh) 一种易脱模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