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47Y1 - 분재용 화분 - Google Patents

분재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47Y1
KR200227347Y1 KR2019990007287U KR19990007287U KR200227347Y1 KR 200227347 Y1 KR200227347 Y1 KR 200227347Y1 KR 2019990007287 U KR2019990007287 U KR 2019990007287U KR 19990007287 U KR19990007287 U KR 19990007287U KR 200227347 Y1 KR200227347 Y1 KR 200227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sai
body portion
potted plant
tree
protrud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232U (ko
Inventor
문중식
Original Assignee
전선희
문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희, 문중식 filed Critical 전선희
Priority to KR2019990007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47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4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분재(盆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분재된 나무의 용이한 관리 및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7873호(이하, 선출원이라 함)의 개량인 것으로서, 분재용 화분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의 제 1돌출턱이 형성되고, 보조 몸체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돌출턱과 대응되는 제 2돌출턱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거치편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구멍이 관통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부재가 내설됨에 따라, 분재시 노출부위를 최소화하여 노출에 따른 수분증발을 최소화하므로서 수분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화분의 외관을 도자기화하여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갈이시 화분으로부터 식재된 나무를 간편·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분재된 나무의 보다 더 효율적인 관리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재용 화분{Flowerport for a potted plant}
본 고안은 분재(盆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재된 나무의 용이한 관리 및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17873호(이하, 선출원이라 함)의 개량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재라 함은 관상을 위하여 화분에 심어서 줄기나 가지를 운치 있게 다듬거나 번형시켜 가꾼 나무, 또는 그렇게 가꾸는 일을 말한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상단에 다단형태의 플랜지부(2)와 반원형의 하부홈(4)이 형성된 몸체부(1)와, 하단에 상기 몸체부(1)의 플랜지(2) 및 하부홈(4)과 대응되는 플랜지부(12)와 상부홈(14)이 형성된 뚜껑체(1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체(10)의 플랜지부(2) 외측 저면과 단부에는 완충부재(16) 및 밀폐부재(18)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에 따른 분재용 화분에서는 분재시 노출부위를 최소화하여 노출에 따른 수분증발을 최소화하므로서 수분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화분의 외관을 도자기화하여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수 있음에 따라, 분재된 나무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기는 하나, 분재된 나무의 분갈이시 나무의 성장에 따라 뿌리 부위가 화분내의 넓은 범위에 걸쳐 확장·분포된 상태이고 뿌리를 덮고 있는 흙이 단단하게 굳은 상태이므로 화분으로부터 나무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나무를 화분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나무(특히, 뿌리부위)가 훼손되어 나무의 성장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분 분갈이시 화분으로부터 식재된 나무를 간편·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분재된 나무의 보다 더 효율적인 관리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분재용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분재용 화분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의 제 1돌출턱이 형성되고, 보조 몸체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돌출턱과 대응되는 제 2돌출턱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거치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구멍이 관통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부재가 내설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선출원된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몸체부, 20a:통기공,
22, 32:플랜지부, 24:제 1돌출턱,
30:뚜껑체, 34:상부홈,
40:보조 몸체부, 42:제 2돌출턱,
44:거치편, 46:루우프,
48:배수공, 50:단열부재,
52:구멍.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단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몸체부(20)와, 플랜지(32) 및 상부홈(34)이 형성된 뚜껑체(30)로 이루어진 분재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의 제 1돌출턱(24)이 형성되고, 보조 몸체부(40)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돌출턱(24)과 대응되는 제 2돌출턱(42)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환형의 거치편(4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보조 몸체부(40) 상단에는 루우프(46)가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48)이 관통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몸체부(20)내에 보조 몸체부(40)가 안착되데, 보조 몸체부(40)의 제 2돌출턱(42)가 몸체부(20)의 제 1돌출턱(24)상에 안착되고 몸체부(20)에 형성된 플랜지부(22)상에는 보조 몸체부(40)의 상단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거치편(44)이 얹혀져 결합되며, 몸체부(20) 상면에는 뚜껑체(30)가 플랜지(32)에 의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보조 몸체부(40)에 적당량의 자갈, 모래, 흙 및 나무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채움과 동시에 분재하고자 하는 나무를 식재한 상태로 몸체부(20)에 안착된 후, 상면을 뚜껑체(30)로 덮은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보조 몸체부(40)에 식재된 나무는 줄기 부분이 보조 몸체부(40)에 형성된 제 2돌출턱(42)과 뚜껑체(30)에 형성된 상부홈(3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몸체부(20) 내주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부재(50)를 내설한 후, 나무가 식재된 보조 몸체부(40)를 넣어 안착시키고 뚜껑체(30)를 덮은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몸체부(20)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공(20a)이 형성되고 단열부재(50)에는 상기 통기공(20a)과 연통되는 구멍(52)이 관통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보조 몸체부(40) 및 뚜껑체(30)가 구비된 화분을 이용하여 분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조 몸체부(40)에 자갈, 모래, 흙 및 영양분을 채워 넣어 나무를 식재한 상태에서, 보조 몸체부(40)를 몸체부(20)의 상방으로부터 넣어 몸체부(20)에 형성된 플랜지부(22)에 보조 몸체부(40)의 거치편(44)이 안착되도록 한 다음, 몸체부(20)의 상면에 뚜껑체(30)를 덮게 되면, 분재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때, 보조 몸체부(40)에 식재된 나무는 보조 몸체부(40)의 제 2돌출턱(42)과 뚜껑체(30)의 상부홈(3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지게 되고, 물의 공급은 뚜껑체(30)의 상면을 통하여 공급된 후, 보조 몸체부(40)의 배수공(48)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뚜껑체(30)의 상부홈(34)과 보조 몸체부(40)의 제 2돌출턱(42)을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진 나무의 줄기 부위에는 각종 이끼로 덮어 상부홈(34)과 제 2돌출턱(42)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공(20a)형성하고 내주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단열부재(50)를 내설하게 되면, 통기공(20a)을 통하여 나무의 성장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고 단열부재(50)에 의해 외부온도가 고온(약 30˚C) 및 저온(동절기)상태가 될 경우 기온차에 의한 발육에 저해요인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단열부재(50)에는 상기 통기공(20a)과 연통되는 구멍(52)이 관통되어 적절한 공기의 공급 및 내부 온도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분재가 완료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나무의 원활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분갈이가 요구되며, 분갈이를 위해서는 먼저, 뚜껑체(30)를 몸체부(20)로부터 이탈시켜 몸체부(20)의 상방이 개방되도록 한 후, 외부로 드러나진 보조 몸체부(40)의 루우프(46)를 파지하여 보조 몸체부(40)를 몸체부(2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태에서, 보조 몸체부(40)에 식제된 나무 손질(손질하는 과정은 생략함)하고 필요한 영양분 및 흙을 채워 넣어 분갈이를 완료한 후, 다시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부(20)에 보조 몸체부(40)를 넣어 안착시킨 후, 뚜껑체(30)를 덮게 되면 분갈이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이용함에 따라, 분재시 노출부위를 최소화하여 노출에 따른 수분증발을 최소화하므로서 수분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화분의 외관을 도자기화하여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갈이시 화분으로부터 식재된 나무를 간편·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분재된 나무의 보다더 효율적인 관리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몸체부(20)와, 플랜지(32) 및 상부홈(34)이 형성된 뚜껑체(30)로 이루어진 분재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의 제 1돌출턱(24)이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돌출턱(24)과 대응되는 제 2돌출턱(42)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에는 환형의 거치편(44)이 형성된 보조 몸체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통기공(20a)과 연통되는 구멍(52)이 관통된 단열부재(50)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
KR2019990007287U 1999-04-30 1999-04-30 분재용 화분 KR200227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287U KR200227347Y1 (ko) 1999-04-30 1999-04-30 분재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287U KR200227347Y1 (ko) 1999-04-30 1999-04-30 분재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232U KR20000020232U (ko) 2000-11-25
KR200227347Y1 true KR200227347Y1 (ko) 2001-06-15

Family

ID=5476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287U KR200227347Y1 (ko) 1999-04-30 1999-04-30 분재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27B1 (ko) * 2010-07-08 2011-02-07 김숭배 도자기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232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3538A1 (en) Flowerpot equipped with light-shade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100336417B1 (ko) 천마재배방법
KR200227347Y1 (ko) 분재용 화분
KR200142264Y1 (ko) 화분
JP2557844Y2 (ja) 水耕栽培プランター
KR200206688Y1 (ko) 목재화분
JPS6322850Y2 (ko)
JP3073780U (ja) 盆栽用陶磁器鉢
KR200182767Y1 (ko) 분재(盆栽)용 화분
KR200393577Y1 (ko)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KR200403635Y1 (ko) 분재용 화분
KR20230001276U (ko) 풍란재배용 석부작 구조
JP2572198B2 (ja) 岩石景観体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成育方法
KR890004267Y1 (ko) 정원수나 화분의 덮개판
KR200334034Y1 (ko) 분재용 화분
KR200195623Y1 (ko) 화분
JPH10313703A (ja) 植物育成容器
KR200187755Y1 (ko) 개폐식 화분커버
KR200260730Y1 (ko) 목재화분
KR200227348Y1 (ko) 분재(盆栽)용화분
KR200275726Y1 (ko)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JPH0453734Y2 (ko)
JP3105172U (ja) 植え替え不要植木鉢
KR200214100Y1 (ko) 버섯재배겸용 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