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034Y1 - 분재용 화분 - Google Patents

분재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034Y1
KR200334034Y1 KR20-2003-0026103U KR20030026103U KR200334034Y1 KR 200334034 Y1 KR200334034 Y1 KR 200334034Y1 KR 20030026103 U KR20030026103 U KR 20030026103U KR 200334034 Y1 KR200334034 Y1 KR 200334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nsai
support piec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순
Original Assignee
배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순 filed Critical 배재순
Priority to KR20-2003-0026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재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식재된 나무의 용이한 관리와 미려함을 향상시켜 제품의 고품위화, 고품질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 분재용 화분은 자연석(대리석, 옥)등을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과 내주면을 도자기형의 형태를 띠게 가공한 것으로서,
이, 도자기형태의 상단 일측면에서 수평으로 절개 하여 몸체(20)와 덮개(10)로 형성한것이며,
이에, 덮개(10) 단 일측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곡선을 같는 손잡이(12)를 형성하여 덮개(10)를 손쉽게 개폐 및 밀폐할 수 있게 하였으며, 분재에 효율적인 수분공급과 통풍을 위해 상단의 돌출부에 통기공(14)을 형성하였다.
또한, 몸체(20)의 상단 수평으로 절개된 부분에는 외주면에서 내측하단방향으로 일정 곡선의 형태를 띠고 돌출하여,
상기 덮개(10)가 씌워졌을 때 걸림턱(22)의 역활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몸체(20)와 덮개(10)가 만나는 경계면의 일측방향에 식재를 삽입할 수 있는 원형의 형성을 같는 삽입공(16)을 형성하여 분재를 원활하게 관리를 할 수 있게 하였고, 몸체(20) 하단에는 받침편(24)과, 받침편(24)내에 적당한 크기의 배수구(26)와 배수홈(24a)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배수에 도움을 주고, 분내의 효율적인 수분관리와 통풍으로 식재 성장, 관리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분재용 화분{A apportioning flowerpot}
본 고안은 분재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재된 나무의 용이한 관리 및 미려함과 제품의 고품위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분재라 함은 관상을 위하여 화분에 줄기나 가지를 운치 있게 다듬거나 변형시켜 가꾼 나무, 또는 그렇게 가꾸는 일을 말한다.
따라서, 분재용 화분은 관상의 목적으로인하여 크기가 대부분작게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실외 보단 실내에 비치하여 가까이서 관상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위함이다.
한편, 분재에는 크게 나무를 심기 위한 용토, 이 용토를 안전하게 담기 위한 화분으로 분리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나무는 크게 가지와 뿌리로 분리 할 수 있으며, 가지는 광합성을 통해 나무에 영향을 공급하며, 뿌리는 용토내의 영향분 및 수분을 흡수하여 나무에 영향분을 공급 하는 역활을 한다할 수 있다.
따라서, 분재용 화분 또는 분은 이 뿌리를 담는 역활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분재용 화분 또는 분은 단순이 담는 역활을 만을하여 왔고, 외형적 맞내기에 치중하였었다.
이로인해 용토에서의 영향분 관리와, 수분 관리가 잘 되어지지 못하여 용토내가 건조해지는 현상과 과수분으로 인한 뿌리썩음 현상도 발생 하였었다.
상기한 분재용 화분의 문제점을 보환하여, 수분증발 억제 및 용토내의 영향소 보호를 할 수 있고, 더블어 관상용으로서의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은 분재용 화분을 자연석(대리석, 옥)등을 사용,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을 도자기형을 띠게 가공한 것으로서, 자연친화적인 미려함을 부곽 시킬 수 있고, 동양적 곡선미를 부각시켜 미려함을 더욱 부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덮개(10)내부 안쪽면을 반구형의 곡선부(18)을 주어 미세수증기와 미세기포를 덮개(10)내부의 곡선을 따라 일부는 외부로 토출되고 일부는 용토로 용입 되게 하였으며, 덮개(10)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기공(14)을 통하여 통기성을 주어 몸체(20)내를 괘적하게 하였으며, 몸체(20)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수구(26)를 형성하여 용토내에 물고임 현상을 방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편, 몸체(20)와 덮개(10)가 만나는 일측방향에 식재를 삽입할 수 있는 원주 형태의 삽입공(16)을 형성하여, 분재시 식재의 성장과 뿌리의 성장을 원활 하게 하는 것이며, 뿌리나 용토를 외부적 요인과 노출을 최소화하여 노출에 따른 용토와 뿌리의 변화를 최소화하므로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시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자연석(대리석, 옥)등을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을 도자기형의 형태를 띠게 가공한 것으로서, 이 도자기형태의 상단 일측면에서 수평으로 절개 하여 하단은 몸체(20)로 상단은 덮개(10)로 형성한 것이며, 몸체(20)내부는 일정한 두께를 두고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한것이며,
상기한, 상단의 절개 분리한 것을 덮개(10)로 사용하고, 하단을 몸체(20)로 사용하여서, 하나의 일체된 형성을 이루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10)에는 덮개(10) 상단 수직방향에 일정한 두께를 같는 원주 형태에서 외주면을 일정한 곡선을 두어 손잡이(12)를 형성하였고, 이 손잡이(12) 상단을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 형태의 통기공(14)을 설치하였으면, 덮개(10)안쪽면은 일정한 두께를 두어 외주면의 곡선을 그대로 내주면으로 살여서, 외주면과 내주면을 덮개(10) 하단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수 있게 내주면의 곡선부(18) 하단 끝부분을 외주면의 방향으로 곡선 처리 하였고,
또한, 덮개(10) 외주면의 하단부의 일측면의 일부를 원호 형태로 절개하여 개방한 형태의 상부 삽입공(16a)을 형성하였다.
상기, 몸체(20)는 도자기형태의 수직방향의 일측면을 수평으로 절개한 하단부를 사용한 것으로서, 상단의 수평으로 절개한 끝부분의 외주면에서 내측 하단방향으로 향하는 일정한 두께를 같는 곡선을 주어 걸릴 수 있게 걸림턱(22)을 형성하였으며,
이에, 몸체(10)의 내주면의 곡선과 걸림턱(22)의 곡선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게 하였고, 몸체(20) 상단의 개방된 부분의 일측면을 원호의 형태로 절개하여 하부 삽입공(16b)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몸체(20)의 하단 끝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된 받침편(24)을 몸체(20) 하단으로 돌출 하였으며,
이에, 받침편(24) 원주 하단 중에서 상단 몸체로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배수구(26)를 형성하였고, 받침편(24)의 양측면의 하단에 원호의 형태를 한 배수홈(24a)을 형성한 분재용 화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덮개(10)의 외주면과 덮개(10)내부의 곡선부(18)가 만나는 부분이 몸체(20)내부에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2)에 안착되어 있고, 덮개(10) 일측면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16a)과, 몸체(20) 상단에 형성된 하단 삽입공(16b)이 결합된 형태의 삽입공(16)이 나타나 있으며, 덮개(10)내부에 형성된 곡선부(18), 덮개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2)와, 손잡이(12)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기공(14)과, 몸체(20)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편(24), 받침편(24) 양측에 형성된 배수홈(24a)과, 받침편(24)과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26)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0)내부에 적당량의 자갈, 흙, 모래, 및 영양분을 채워 넣어 나무를 식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3a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외주면이 도자기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면, 몸체(200)내부는 일정한 두께를 두고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한것이며, 이 도자기형의 상단 수직방향의 일측면을 수평으로 절개하여 몸체(200)와 덮개(100)로 분리 하였으며,
상기한, 상단의 절개 분리한 것을 덮개(100)로 사용하고, 하단을 몸체(200)로 사용하여서, 하나의 일체된 형성을 이루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100)는 덮개(100) 상단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같는 원주형태에서 외주면을 일정한 곡선을 주어 손잡이(102)를 형성하였고, 이 손잡이(102) 상단을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을 형성하여 통기공(104)을 설치하였으면,
상기, 덮개(100) 외주면의 하단 끝부분을 따라 원기둥의 형태를 한 일정한 두께를 같는 고정체(108)를 형성하여서, 고정체(108)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태를 한 고정부재 걸림홈(108a)을 형성 하였으며, 원주에 일정 두께를 주어 단면 절개시단면부의 형상이 타원형태를 같는 고정부재(300) 형성하고,
상기, 덮개(100)의 일측면을 원호의 형태로 절개, 개방하여 상부 삽이공(106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몸체(200)는 도자기형의 수직방향의 일측면을 수평으로 절개한것으로서, 상단의 수평으로 절개한 끝부분의 외주면의 내측면을 내측면 하단으로 소정의 두께를 같게 하였으며,
한편, 이 내측면의 하단 끝부분에 원주를 따라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같는 걸림턱(202)을 형성하였고,
상기, 몸체(200) 상단의 수평으로 절개한 끝부분의 외주면의 일측방향을 원호의 형태로 절개 하여 하단 삽입공(106b)을 형성하였으며, 몸체(200)의 하단 끝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 받침편(204)을 몸체(200) 하단으로 돌출 하였고,
이에, 받침편(204) 하단 원주를 중으로 상단 몸체로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배수구(206)를 형성하였고, 받침편의 양측면의 하단 끝부분에 원호의 형태를 한 배수홈(204a)을 형성 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의 사용상태도로서, 몸체(200)에 적당량의 자갈, 모래, 흙, 및 나무성장에 필요한 영향분을 채움과 동시에 분재하고자 하는 나무를 식재한 상태를 나타낸것이며, 덮개(100)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삽입홈(108a)에 압착된 고정부재(300)가 몸체(200)내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나고 있고, 덮개(100) 외주면에 원호형태의 상단삽입공(106a)과, 몸체(200)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단 삽입공(106b)이 만나 하나의 삽입공(106)을 이루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몸체(200) 하단에 형성된 받침편(204)과, 받침편(204) 원주를 중으로 관통된 배수구(206)와, 받침편(204) 양단에 형성된 배수홈(204a)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연석(대리석, 옥)등을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을 도자기형의 형태를 띠게 가공한 것이며, 이 도자기형태의 상단 일측면에서 수평으로 절개 하여 몸체(20)와 덮개(10)로 형성한 것으로서,
한편, 상단의 절개 분리한 것을 덮개(20)로 사용하고, 하단을 몸체(10)로 사용하여서, 하나의 일체된 형성을 이루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20)는 덮개 상단 수직방향에 일정한 두께를 같는 원형형태에서 외주면을 일정한 곡선을 두어 손잡이(12)를 형성하여, 덮개(10)를 덮고 열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손잡이(12) 상단을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주 형태의 통기공(14)을 형성하여, 몸체(20)내부에 식재된 나무와 용토에 공급될 수분과, 공기의 흐름을 용이 하게 하였으며,
또한, 덮개(10)안쪽면은 일정한 두께를 두어 외주면의 곡선을 그대로 내주면으로 연개하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덮개(10) 하단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수 있게내주면의 곡선부(18) 하단 끝부분을 외주면의 방향으로 곡선 처리 하여, 몸체(20)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온도 변화에 의한 미세량의 수증기와 미세기포를 일정량은 외부로 발산하고 일정량은 내부의 용토로 다시 용입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10)를 몸체(20)에 지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몸체(20) 상단 수평 절개 끝부분에서 외주면을 따라 내측 하단으로 방향하는 일정한 두께를 하고 곡선으로 형성된 걸림턱(22)을 형성하여,
상기한, 덮개(10)가 몸체(20)과 결합될 수 있게 하였으며, 덮개(10)내에 위치한 곡선부(18)와 연개하여 걸림턱(22)의 곡선도 미세 수증기와 미세 기포가 용토내로 원활이 용입 될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몸체(20)의 하단 끝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몸체(20) 하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편(24)을 두어 몸체(20)를 지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받침편(24) 하단 원주를 중심으로 상단 몸체(20)로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배수구(26)를 형성하고, 받침편(24)의 양측면 하단 끝부분에 원호의 형태를 한 배수홈(24a)을 형성하여, 몸체(20)내로 용입된 수분이 몸체(20)에서 배수되지 않고 고이지 않게 하여 용토내의 식재와 뿌리를 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하게 하였다.
한편, 도3a 내지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도자기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면, 몸체(200)내부는 일정한 두께를 두고 석재가공기를 이용하여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한것이며,
상단의 절개 분리한 것을 덮개(100)로 사용하고, 하단을 몸체(200)로 사용하여, 하나의 일체된 형성을 이루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100)는 덮개(100) 상단 수직방향에 일정한 두께를 같는 원형형태에서 외주면을 일정한 곡선을 두어 손잡이(102)를 형성하여, 덮개(100)를 덮고 열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손잡이(102) 상단을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주 형태의 통기공(104)을 형성하여, 몸체(200)내부에 식재된 나무와 용토에 공급될 수분과, 공기의 흐름을 용이 하게 하였으며,
상기, 덮개(100) 외주면의 하단 끝부분을 따라 원기둥의 형태를 한 일정한 두께를 같는 고정체(108)를 형성하였고, 고정체(108)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태를 한 고정부재 걸림홈(108a)을 형성하여, 고정부재 걸림홈(108a)에 안착할 수 있는 원주에 일정 두께를 주어 단면 절개시 단면부의 형상이 타원형태를 같으며 일정한 탄성력을 같는 고정부재(300) 형성하여서 고정부재 걸림홈(108a)에 안착하였으며,
이에, 몸체(200)내부에 삽입시 고정부재(3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몸체(200)내부에 압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몸체(200)내에서 덮개(100)가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였다.
이는, 분재된 화분을 이동하거나 분재의 관리 손질시 화분에 충격이 가해저 몸체(200)에서 덮개(1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몸체(200)에는 덮개(100)의 고정부재(300)가 삽입된 끝부분에 몸체(200)의 내측면 원주를 따라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같는 걸림턱(202)을 형성하여, 덮개(100)가 몸체(200)내부로 과다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몸체(200)의 하단 끝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몸체 하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편(204)을 두어 몸체를 지지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받침편(204) 하단 원주를 중심으로 상단 몸체(200)로 관통하는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형태로 배수구(206)를 형성하고, 받침편(204)의 양측면 하단 끝부분에 원호의 형태를 한 배수홈(204a)을 형성하여, 몸체(200)내로 용입된 수분이 몸체(200)에서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지 않게 하여 용토와 식재의 뿌리를 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을 이용함에 따라, 식재된 나무의 뿌리 및 용토내의 영양분이 최소한의 외부적 요인과 접촉하게 되어 관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고,
또한, 나무에 공급되는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식재된 나무의 뿌리를 용이하게 관리할수 있으며, 본 고안을 자연석(대리석, 옥 등)을 석재가공기등을 이용하여 외주면과 내부면을 도자기형태로 가공하여, 분재에서 중요시하는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여 자연친화적인 미려함을 부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연석을 이용하여 덮개(10)와 몸체(20)를 가공하되,
    상기, 덮개(10)는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12)와, 손잡이(12)와 덮개(1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기공(104)과, 덮개(10)의 외주면과 덮개(10)안쪽의 곡선부(18)의 연개와, 덮개(10)의 외주면의 일측면을 절개 개방하여 형성된 상부 삽입공(16a)으로 구성되고, 몸체(20) 상단의 외주면의 일측면을 절개 개방하여 형성된 하부 삽입공(16b)과, 몸체(20) 상단외주면과 연개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22)과, 몸체(20) 하단에 형성된 받침편(24), 받침편(24)에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구(26)와, 받침편(24)의 양측에 형성된 배수홈(24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
KR20-2003-0026103U 2003-08-13 2003-08-13 분재용 화분 KR200334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03U KR200334034Y1 (ko) 2003-08-13 2003-08-13 분재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03U KR200334034Y1 (ko) 2003-08-13 2003-08-13 분재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034Y1 true KR200334034Y1 (ko) 2003-11-22

Family

ID=4941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103U KR200334034Y1 (ko) 2003-08-13 2003-08-13 분재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0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662A (ko) 연속적인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단
KR200334034Y1 (ko) 분재용 화분
JP2007325582A (ja) ランを栽培するための花瓶
JP2004065228A (ja) 植木鉢植物根腐れ防止木片水分調整装置
KR100945414B1 (ko)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JP4544905B2 (ja) 苔玉及び苔玉栽培用器具並びに苔玉栽培方法
KR200427161Y1 (ko) 참나무로 제작한 화분
JP3772795B2 (ja) 側面部に容易に植込みが可能な植栽容器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KR200182767Y1 (ko) 분재(盆栽)용 화분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KR200227347Y1 (ko) 분재용 화분
KR200403635Y1 (ko) 분재용 화분
KR200339660Y1 (ko) 화분
KR200463419Y1 (ko) 옹부작
KR200268990Y1 (ko) 대나무 숯이 내장된 화분.
KR200242446Y1 (ko) 이중화분
KR200303993Y1 (ko) 수경화분
KR200364363Y1 (ko) 향발산 캔 화분
KR920004620Y1 (ko) 화 분
KR200350600Y1 (ko) 화분
KR200195623Y1 (ko) 화분
KR200356737Y1 (ko) 화분
KR200432375Y1 (ko) 분재용 화분
KR20220160742A (ko) 기능성 화분을 만드는 장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