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577Y1 -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 Google Patents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577Y1
KR200393577Y1 KR20-2005-0010980U KR20050010980U KR200393577Y1 KR 200393577 Y1 KR200393577 Y1 KR 200393577Y1 KR 20050010980 U KR20050010980 U KR 20050010980U KR 200393577 Y1 KR200393577 Y1 KR 200393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
stopper
mushroom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20-2005-0010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관한 것으로 버섯 종균의 성형에 유리할 뿐 아니라 배양된 종균을 이식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있어서,
상, 하부 펄프층 사이에 천연 소재의 무독성 접착제로 경화시킨 톱밥층이 형성되며,
그 외관이 일반 종균 성형판 요홈의 개구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통기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하므로 버섯 종균이 성형되면서 균사체가 마개에 활착되어 성형판 내부에 충전된 균사 혼합물과 일체를 이루게 되므로 버섯 종균 이식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이식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 mushroom bed cap }
본 고안은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하므로 버섯 종균의 활착에 유리할 뿐 아니라 성형된 종균을 자목에 이식하는 작업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이식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관한 것이다.
버섯을 인공재배하기 위해서는 버섯 종균을 배양한 후 이를 자목에 접종하게 되는데,
종균 접종시 작업의 편리함과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종균을 일정 형태로 성형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일반 버섯 종균 성형판의 경우 종균 혼합물 성형을 위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홈 내부에 종균이 포함된 혼합물을 충전하고, 혼합물 상부에 마개를 씌우게 되는데,
기존 마개는 요홈의 개구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이되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티로폴 마개는 소재 자체가 통기가 원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여 요홈 내부에 충전된 종균 혼합물이 배양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종균이 배양되는 과정에서 마개 자체에는 종균이 활착되지 못하여 마개는 종균과 분리된 상태이어서 성형된 종균을 자목에 접종하는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성형종균을 자목의 접종구멍에 이식한 후 별도로 마개를 끼워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어 작업량은 늘어나는 반면 이식작업의 속도는 느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마개는 접종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언제든 분리될 수 있는 것이어서, 마개가 접종구멍에서 분리되는 경우 접종구멍 내부에 끼워진 종균 혼합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건조되어 성장 조건에 적합하지 못하므로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하여 버섯 종균의 배양에 유리할 뿐 아니라 배양된 종균을 자목에 이식하는 작업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이식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10)에 있어서,
상, 하부 펄프층(11, 12) 사이에 천연 소재의 무독성 접착제로 경화시킨 톱밥층(13)이 형성되며,
그 외관이 일반 종균 성형판 요홈의 개구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 펄프층(11), 톱밥층(13), 하부 펄프층(1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톱밥층(13)은 천연소재의 무독성 접착제에 의하여 경화된 것이며,
상, 하부 펄프층(11, 12)과 톱밥층(13)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두께에 차등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버섯 종균 성형판(20)에 마련된 요홈(22)의 개구부(22a)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성형판(20)의 요홈(22) 내부에는 종균이 접종된 혼합물(21)이 충전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종균 혼합물(21) 상부와 인접하여 요홈(22)의 개구부(22a)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요홈(22) 내부에서 종균 혼합물(21)은 활착 성형되면서 마개(10) 하부 즉 하부 펄프층(12)에도 활착 되는데,
이는 본 고안의 마개(10)가 무독성 천연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통기가 가능하고 일정 수분을 포함하므로 종균이 활착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며,
이때, 마개 상, 하부의 펄프층(11, 12)은 다량의 수분이 포함될 경우 그 형태가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그 상, 저면에 통공(11b, 12b)이 형성된 수지 코팅층(11a, 12a)을 마련하여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개(10) 자체에도 종균이 활착되면 성형된 종균 혼합물(21)과 마개(10)는 균사에 의해 얽혀 일체가 되므로,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종균 혼합물(21)이 버섯의 인공재배를 위해 준비된 자목(30)의 접종구멍(31)에 이식되는 과정에서 마개(10)는 혼합물(2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마개(10)와 종균 혼합물(21)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고도 쉽게 이식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마개(10)가 상, 하부 펄프층(11, 12)과 톱밥층(13)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나, 마개(10) 자체가 단일 펄프층 또는 단일 톱밥층으로 이루어져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있어서,
상, 하부 펄프층 사이에 천연 소재의 무독성 접착제로 경화시킨 톱밥층이 형성되며,
그 외관이 일반 종균 성형판 요홈의 개구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통기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하므로 버섯 종균 활착 및 성형기간을 단축할 뿐 아니라 버섯 종균이 성형되면서 균사체가 마개에 활착되어 성형판 내부에 충전된 균사 혼합물과 일체를 이루게 되므로 버섯 종균 이식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이식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개 11 : 상부 펄프층
12 : 하부 펄프층 13 : 톱밥층
20 : 성형판 21 : 종균 혼합물
22 : 요홈 22a : 개구부
30 : 자목 31 : 접종구멍

Claims (3)

  1.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에 있어서,
    상, 하부 펄프층 사이에 천연 소재의 무독성 접착제로 경화시킨 톱밥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펄프층 상면 또는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수지 코팅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가 단일 펄프층 또는 단일 톱밥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KR20-2005-0010980U 2005-04-20 2005-04-20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KR200393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80U KR200393577Y1 (ko) 2005-04-20 2005-04-20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80U KR200393577Y1 (ko) 2005-04-20 2005-04-20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577Y1 true KR200393577Y1 (ko) 2005-08-24

Family

ID=4369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80U KR200393577Y1 (ko) 2005-04-20 2005-04-20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03B1 (ko) 2013-09-24 2015-01-22 김유수 버섯재배 시설물의 톱밥 배지용 종균 삽입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03B1 (ko) 2013-09-24 2015-01-22 김유수 버섯재배 시설물의 톱밥 배지용 종균 삽입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577Y1 (ko) 버섯 종균 성형판 마개
KR200490422Y1 (ko) 수경어항화분
KR100840967B1 (ko) 식생매트리스
JP2012223177A (ja) 観葉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部材と植木鉢
CN201355954Y (zh) 植物栽培钵隔板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012127B1 (ko) 도자기 화분
NL2012270C2 (en) A plant growing device.
JP4701317B1 (ja) 岩石状植栽具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KR200363021Y1 (ko) 식물 재배용 인형 화분
KR102507785B1 (ko) 생분해 화분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따른 생분해 화분
CN111011190A (zh) 一种食虫植物组培苗移栽过渡的方法
JP3351787B1 (ja) 多肉植物の栽培法
JP2007037408A (ja)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CN219205324U (zh) 一种月季栽培容器
CN109122072A (zh) 一种北方地区竹子的栽植方法
KR101779779B1 (ko)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3775851U (zh) 一种石斛种植柱及种植盆
KR200379473Y1 (ko) 누드화분
CN218604145U (zh) 一种透气性强的陶瓷花盆
JP3219321U (ja) 多機能を兼ね備えた盆栽台
KR200394820Y1 (ko) 새싹 재배 용기
KR200303993Y1 (ko) 수경화분
KR200227347Y1 (ko) 분재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