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19Y1 -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19Y1
KR200227319Y1 KR2019960012355U KR19960012355U KR200227319Y1 KR 200227319 Y1 KR200227319 Y1 KR 200227319Y1 KR 2019960012355 U KR2019960012355 U KR 2019960012355U KR 19960012355 U KR19960012355 U KR 19960012355U KR 200227319 Y1 KR200227319 Y1 KR 200227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rupt
interrupt source
source device
offset valu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754U (ko
Inventor
이상용
정재호
김기안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2019960012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19Y1/ko
Publication of KR970063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19Y1/ko

Links

Landscapes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종래 사용하던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가 하드웨어의 낭비가 심하고 구성이 복잡했던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각의 인터럽트 소스마다 존재하던 카운터를 분리시켜 공통으로 하나만 사용하고, 인터럽트 소스마다 글리치 제거부를 두며, 하나의 디바이스에 하나의 인터럽트 소스가 존재하던 것을 하나의 디바이스에 다수개의 인터럽트 소스가 존재하도록 하여,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수개의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2 : 인터럽트 발생기
3 : 디코더부 4 : 공통 카운터부
5 : 개별 오프셋 저장부 6 : 개별 비교기
7 : 글리치 제거부
본 고안은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하나의 디바이스(EPLD)에서 다수개의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터럽트 발생기를 집약한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이다.
종래에는 1개씩의 카운터, 비교기, 래치등으로 하나의 인터럽트 발생기를 구성하고, 디바이스 용량에 따라 다르나 하나의 디바이스에 일반적으로 소수(1~2개)의 인터럽트 발생기가 존재하며, 각각의 인터럽트 발생기에서 하나의 인터럽트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 의해 다수개의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려면, 다수개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가 필요했다.
예를들어 N개의 채널이 있으면 2N개의 인터럽트 신호가 필요(하나의 보드(채널)에 필요한 인터럽트 신호가 2개이기 때문)하고, 2N개의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많은수의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2N개의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를 구성하려면 2N개씩의 카운터, 비교기, 래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다수개의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야하는 회로에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회로적으로 복잡해지고 하드웨어의 낭비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인터럽트 발생기마다 존재하던 카운터를 분리시켜 공통으로 하나만 사용하고, 인터럽트 발생기마다 글리치 제거부를 두며, 하나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에 하나의 인터럽트 발생기가 존재하던 것을 하나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에 다수개의 인터럽트 발생기가 존재하도록 하여, 하나의 인터럽스 소스 디바이스에서 다수개의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새롭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디바이스만을 가지고도 다수개의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인터럽트 발생기를 집약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1개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1)가 입력된 신호에 의해 개별 오프셋 저장부(5)를 지정하는 1개의 디코더부(3)와, 입력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오프셋 값을 개별 비교기(6)로 입력하는 1개의 공통 카운터부(4) 및, 실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N개의 인터럽트 발생기(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인터럽트 발생기(2)는 각 인터럽트 발생기(2)의 고유 오프셋 값을 저장하고 있는 개별 오프셋 저장부(5)와, 카운터를 통하여 들어 온 오프셋 값과 고유 오프셋 값을 비교하는 개별 비교기(6) 및, 출력신호의 글리치 성분을 제거하는 글리치 제거부(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디코더부(3)로 어드레스와 트랜스미트 라이트 신호(TWR*)와 리시브 라이트 신호(RWR*)가 입력되면, 디코더부(3)에서 상기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그 결과가 지정하는 개별 오프셋 저장부(5)를 인에이블하고, 개별 오프셋 저장부(5)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가 개별 오프셋 저장부(5)로 입력되며, 개별 오프셋 저장부(5)에서는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개별 비교기(6)로 출력하고, 공통 카운터부(4)로 8KHZ와 50HZ의 신호가 입력되면, 8KHZ를 카운팅하여 한번 카운팅된 후 다음 카운팅되기까지에 해당하는 50HZ 신호의 오프셋값을 개별 비교기(6)로 입력하고, 개별 비교기(6)에서는 개별 오프셋 저장부(5)에 저장된 데이터와 공통 카운터부(4)에서 입력되는 오프셋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인터럽트 신호를 글리치 제거부(7)로 입력하여 글리치 제거부(7)를 인에이블시키며, 글리치 제거부(7)에서는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의 글리치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상기에서 8KHZ와 50HZ의 신호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임의의 주파수를 사용한 것으로, 실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동기가 맞는 주파수에 한하여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1KHZ와 10HZ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트랜스미트 라이트 신호(TWR*)와 리시브 라이트 신호(RWR*)에 의해 송,수신이 결정되며, 개별 오프셋 저장부(5)에 저장된 데이타는 그 개별 오프셋 저장부(5)를 포함하고 있는 인터럽트 소스의 고유 오프셋값이 되고, 공통 카운터부(4)를 통하여 들어온 오프셋값에 따라 인터럽트 발생 소스가 결정된다.
상기에서 트랜스미트 라이트 신호(TWR*)는 인터럽트를 송신하는 신호이고, 리시브 라이트 신호(RWR*)는 수신하는 신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하드웨어를 구성하여 인터럽트 발생기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하드웨어 낭비를 줄였으며, 하나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에서 다수개의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프로그램적 지움 가능 로직 디바이스(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말한다.

Claims (2)

  1.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1개의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1)가, 입력된 신호에 의해 인터럽트 발생기(2)를 지정하는 1개의 디코더부(3)와, 입력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오프셋 값을 인터럽트 발생기(2)로 입력하는 1개의 공통 카운터부(4) 및, 실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N개의 인터럽트 발생기(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럽트 발생기(2)는 각 인터럽트 발생기(2)의 고유 오프셋 값을 저장하고 있는 개별 오프셋 저장부(5)와, 카운터를 통하여 들어온 오프셋 값과 고유 오프셋 값을 비교하는 개별 비교기(6) 및, 출력신호의 글리치 성분을 제거하는 글리치 제거부(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KR2019960012355U 1996-05-17 1996-05-17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KR200227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355U KR200227319Y1 (ko) 1996-05-17 1996-05-17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355U KR200227319Y1 (ko) 1996-05-17 1996-05-17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754U KR970063754U (ko) 1997-12-11
KR200227319Y1 true KR200227319Y1 (ko) 2001-09-17

Family

ID=6093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355U KR200227319Y1 (ko) 1996-05-17 1996-05-17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99A (ko) * 1997-01-27 1998-10-15 구자홍 다중 인터럽트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382A (ko) * 1997-12-27 1999-07-15 구자홍 인터럽트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99A (ko) * 1997-01-27 1998-10-15 구자홍 다중 인터럽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754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674B1 (en) Clock generation and distribution in an emulation system
KR960027292A (ko) 클럭신호발생장치
KR200227319Y1 (ko) 인터럽트 소스 디바이스
KR960025082A (ko) 데이타 전송장치
JPH1198007A (ja) 分周回路
US4267512A (en) Digital frequency divider
KR0174707B1 (ko) 클럭 발생기
KR0183798B1 (ko) 리모콘의 반송파 발생기
Comoretto A microprocessor-controlled multichannel counter for a digital autocorrelator (radioastronomical application)
KR920000698Y1 (ko) 클럭 소스 선택시 글리치 제거회로
KR10024270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선 클럭 수용 장치
RU20998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иска радиостанций
SU6921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 адреса
KR0170746B1 (ko) 별도의 동기신호가 없는 직렬 데이터의 전송 클럭 발생 장치
KR930022764A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입력 기준 클럭 선택 및 분주회로
SU16760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импульсных сигналов
SU6464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групповой такто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SU6587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селективного вызова
KR100258213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시분할 엔비트 카운터회로
SU993460A1 (ru) Пересч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0136433B1 (ko) 가변 분주기
SU12382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лучени разностной частоты импульсов
SU1241283A1 (ru) Генератор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дл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RU2130692C1 (ru) Таймер
KR960020590A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 분할 스위치 시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