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25Y1 -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25Y1
KR200225825Y1 KR2020000036828U KR20000036828U KR200225825Y1 KR 200225825 Y1 KR200225825 Y1 KR 200225825Y1 KR 2020000036828 U KR2020000036828 U KR 2020000036828U KR 20000036828 U KR20000036828 U KR 20000036828U KR 200225825 Y1 KR200225825 Y1 KR 200225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horizontal
cargo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열
Original Assignee
박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열 filed Critical 박장열
Priority to KR2020000036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25Y1/ko

Links

Landscapes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이나 차량에 화물을 실을 때나 하역할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는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에 설치한 적재판이 회전시 절첩되지 않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회전되어 화물을 상하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병설된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유설한 적재판의 하부에

Description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Vertical feed conveyer device for cargo}
본 고안은 선박이나 차량에 화물을 실을 때나 하역할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는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에 설치한 적재판이 회전시 절첩되지 않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회전되어 화물을 상하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물을 이송하는 콘베이어장치는 실용신안공고번호 90-10543호로 공지된 화물승강용 콘베이어장치가 있으나 이는 1쌍의 체인에 상하지지간을 분기시킨 다수개의 받침간을 설치하되 상부지지간은 로울러와 함께 체인에 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착하고, 하부지지간은 로울러를 매개로 수직찬넬의 측면에 지지자재되도록한 구조이므로 받침간이 밑에서 위로 상승할 때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위에서 밑으로 하강할 때에는 수직으로 절첩되는 상태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화물을밑에서 위로 상승시킬 수는 있으나 위에서 밑으로 하차하거나 하역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체인에 설치한 적재판을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인에 의거 회전되게 하므로서 화물의 상하 이송작업을 모두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병설된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유설한 적재판의 하부에형상으로 된 수직판을 받침간으로 교착시켜 수직판의 상저면에 수직지지용 로울러를 그리고 그 상부의 상저면에는 수평지지용 로울러를 각각 부착시키고, 상기 로울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체인의 사이에 수직안내판과 수평안내판을 설치하여 수직지지용 로울러는 수직안내판에 그리고 수평지지용 로울러는 수평안내판에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활주되면서 적재판이 항상 수평상태로 회전되게 한 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3 은 적재판의 정면도
도 4 는 적재판의 방향 전환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체인 2 : 모터 3 : 구동스프라켓
4 : 연동스프라켓 5,5' : 적재판 6 : 수직판
7 : 받침간 8,9,9' : 로울러 10 : 취부간
11 : 수직안내판 12 : 수평안내판 13 : 받침로울러
14 : 안내로울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적재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적재판의 코너 회전시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체인(1)(1')이 모터(2)의 연동을 받는 구동스프라켓(3)과 연동스프라켓(4)에 나란히 치합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체인(1)(1')에는 체인(1)(1')과 함께 회전되는 다수개의 적재판(5)(5')이 일정간격으로 유설되어 있고 적재판(5)(5')의 기부에는 이와 직교되는형상의 수직판(6)이 받침간(7)으로 교착 설치되어 최저면에 수직지지용 로울러(8)가 유착되고, 그 상부의 상저면에는 수평지지용 로울러(9)(9')가 취부간(10)에 의해 전면으로 돌출되게 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울러(8)(9)(9')의 위치에 대응하는 체인(1)(1')의 사이에는 수직지지용 로울러(8)가 밀접되어 활주하는 수직안내판(11)과 수평지지용 로울러(9) (9')가 밀접되어 활주하는 수평안내판(1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 설치된 수평안내판(12)의 전방에는 적재판(5)(5')의 방향 전환시 적재판(5)(5')을 받치는 받침로울러(13)가 부착되어 있고 전면의 수직안내판( 11)의 저면에는 적재판(5)(5')의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안내로울러(14)가 유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구동모터(2)의 회전으로 구동스프라켓(3)이 회전하면 이에 권회된 체인(1)(1')이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적정간격으로 부착된 적재판(5)(5')도 체인(1)(1')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데, 여기서 체인(1)(1')에 설치된 적재판(5)(5')은 고정되지 않고 유설되어 자중에 의해 밑으로 하강하게 되어 있으나 이의 기부에 수직판(6)이 받침간(7)에 의해 교착되어 당해 수직판(6)이 상하 승강할 때에는 수직안내판(11)에 지지되고 또 수평으로 이동할 때에는 수평안내판(12)에 지지되게 되어 있으므로 적재판(5)(5')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인(1)(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적재판(5)(5')에 교착된 수직판(6)의 최저면에는 수직지지용 로울러(8)가 유착되어 수직안내판(11)과 당접되고 이 상부의 상저면에는 수평지지용 로울러 (9)(9')가 유착되어 수평안내판(12)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재판(5)(5')은 매우 유연하고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적재판(5)(5')이 상하 수직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저면의 수평지지용 로울러 (9)(9')는 허공에 위치한 상태로 최저면의 수직지지용 로울러(8)만이 수직안내판 (11)의 전면에 당접되어 활주하게 되고 수평으로 이동할 때에는 수직지지용 로울러 (8)는 수평안내판(12)의 저부로 들어가 자유상태에 있게 되는 반면에 상저면의 수평지지용 로울러(9)(9')가 수평안내판(12)의 상면에 당접되어 활주하게 되므로 적재판 (5)(5')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적재판(5)(5')이 하부의 수평부를 지나 수직부로 방향을 전환할 때 적재판(5)(5')의 수평지지용 로울러(9)(9')가 수평안내판(12)을 벗어나면 도 4와 같이 적재판(5)(5')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기울어지게 되나 이때에는 수평안내판(12)의 전방에 설치된 받침로울러(13)가 적재판(5)(5')을 받쳐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수직으로 상승시 수직안내판(11)의 하단에 설치된 안내로울러(14)가 적재판(5) (5')의 상승을 유도하여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적재판(5)(5')을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므로 화물을 상차나 선적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하차시나 하역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화물의 상승만을 가능하게 한 고안에 비해 현저히 진보된 효과가 있으며 인력감축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1)

  1.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병설된 체인(1)(1')에 일정간격으로 유설한 적재판(5)(5')의 하부에형상으로 된 수직판(6)을 받침간(7)으로 교착시켜 수직판(6)의 상저면에 수직지지용 로울러(8)를 그리고 그 상부의 상저면에는 수평지지용 로울러(9)(9')를 각각 부착시키고, 상기 로울러(8)(9)(9')의 위치에 대응하는 체인 (1)(1')의 사이에 수직안내판(11)과 수평안내판(12)을 설치하여 수직지지용 로울러 (8)는 수직안내판(11)에 그리고 수평지지용 로울러(9)(9')는 수평안내판(1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활주되면서 적재판(5)(5')이 항상 수평상태로 회전되게 한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KR2020000036828U 2000-12-28 2000-12-28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KR200225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28U KR200225825Y1 (ko) 2000-12-28 2000-12-28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28U KR200225825Y1 (ko) 2000-12-28 2000-12-28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825Y1 true KR200225825Y1 (ko) 2001-06-01

Family

ID=7309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828U KR200225825Y1 (ko) 2000-12-28 2000-12-28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21Y1 (ko) 2007-10-18 2009-08-19 주식회사 유니빅 화물 적재장치
KR101632165B1 (ko) * 2016-03-10 2016-06-20 반성욱 목재 자동 수직이송 적재기
KR20230023913A (ko) * 2021-08-11 2023-02-20 김덕후 탄환 회수 장치
CN116177232A (zh) * 2022-12-08 2023-05-30 广东锦顺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流水线在线堆叠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21Y1 (ko) 2007-10-18 2009-08-19 주식회사 유니빅 화물 적재장치
KR101632165B1 (ko) * 2016-03-10 2016-06-20 반성욱 목재 자동 수직이송 적재기
KR20230023913A (ko) * 2021-08-11 2023-02-20 김덕후 탄환 회수 장치
KR102576359B1 (ko) * 2021-08-11 2023-09-11 김덕후 탄환 회수 장치
CN116177232A (zh) * 2022-12-08 2023-05-30 广东锦顺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流水线在线堆叠设备
CN116177232B (zh) * 2022-12-08 2023-11-03 广东锦顺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流水线在线堆叠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8116A (en) Device for selective repositioning of pieces of freight
CA2171423A1 (en) Continuous vertical conveyor
KR20080020437A (ko) 자동창고
KR200225825Y1 (ko)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JP3375061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200423135Y1 (ko) 승강반전장치
CN218023634U (zh) 一种立式料斗提升机
KR200232821Y1 (ko)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CN213230201U (zh) 一种快捷式e型连续提升机
JP2591674Y2 (ja) クロスコンベヤ
JP4289200B2 (ja) 搬送設備
JP3812345B2 (ja) 荷受け渡し装置
JPH06345248A (ja) ケース内への物品投入方法及び投入装置
CN221025887U (zh) 冷藏箱地板自动分料及输送装置
JPH0739853Y2 (ja) 円筒状物の搬送装置
CN203653190U (zh) 料斗提升装置
JPH08319020A (ja) コンベア搬送装置及びコンベア搬送方法
JPH0948513A (ja) コンベヤ
KR20120121551A (ko) 벨트 컨베이어
JPS6032014Y2 (ja) リフトコンベア
CN219950363U (zh) 一种地牛提升机
KR10068208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방지장치
JP3041580U (ja) コンベアライン移載姿勢制御装置
JP3591617B2 (ja) コンベヤ装置
JPH0643064Y2 (ja) 仕分けコンベ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